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용전문가의 미용전공 일반대학원 교과과정 선호도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632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13년 미용전공 일반대학원 개설현황을 조사하고 각 대학원의 교과과정을 분석하고 정리하여 일반대학원 교과과정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각 교과목에 따른 필요...

      본 연구는 2013년 미용전공 일반대학원 개설현황을 조사하고 각 대학원의 교과과정을 분석하고 정리하여 일반대학원 교과과정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각 교과목에 따른 필요성과 불일치 교과목명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해 미용전문가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회수된 182부의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일반적인 특성에서 성별은 남자 7명(3.8%), 여자 176명(96.2%)으로 나타났고, 연령은 40-49세 75명(41.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전공영역별 교 과목 필요도에서 공통에서 논문연구(M=4.62), 헤어에서 헤어커트(M=4.20), 메이크업에서 색채학(M=4.18), 피부미용에서 테라피 (M=4.29)가 가장 필요도가 높은 교과목으로 나타났다. 셋째, 불일치 교과목명에 대한 선호도에서 공통에서 논문작성법(42.3%), 헤어 에서 모발과학 특론(34.1%), 메이크업에서 뷰티일러스트레이션 연구(70.9%), 피부미용에서 피부과학 특론(51.1%) 등이 선호도가 높 은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cosmetology-related graduate courses in 2013 and analyze related curricula in order to set a direction for graduate programs. And to find out the necessity of each course and the students’ preference for course ti...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cosmetology-related graduate courses in 2013 and analyze related curricula in order to set a direction for graduate programs. And to find out the necessity of each course and the students’ preference for course title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200 cosmetologists. Among them, 182 copi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this surve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in terms of gender, women represented 96.2% (176) of the respondents while men represented 3.8% (7). In terms of age, ‘40-49’ was the highest age group with 75 respondents (41.2%). Second, according??to an analysis on the necessity of courses by major, ‘Study on Thesis (M=4.62)’, ‘Haircut (M=4.20)’, ‘Chromatology (M=4.18)’ and ‘Therapy (M=4.29)’ were the highest in common courses, with hair, makeup and skin care ranking highest respectively. Third, in the preference for course titles, ‘Thesis Preparation Skills (42.3%)’, ‘Special Topics on Hair Science (34.1%)’, ‘Study of Beauty Illustration (70.9%)’ and ‘Special Topics on Skin Science (51.1%)’ were the most preferred titles for common courses, with hair, makeup and skin care ranking highest respectivel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태경, "한국문헌정보학 교육에서 정보이용자교육 교과과정 모형개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2 김남희, "한국과 일본의 미용교육에 관한 비교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아트·디자인대학원 2010

      3 조영희, "한국 특수체육교육(학)과의 특수체육지도자 양성을 위한 교과과정모형 개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4 류 진, "미용전공자의 네일 교육과정 만족도와 개선방안"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3

      5 최정선, "미용교육 교과과정의 미용계열 졸업생의 직무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7 (7): 121-141, 2006

      6 김희숙, "미용관련학과 2년제 대학의 헤어디자이너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개발 - 프랜차이즈미용실 교육프로그램과 비교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13 (13): 7-20, 2012

      7 박보경, "미용관련과 재학생들의 교육과정 만족도" 고신대학교 보건대학원 2006

      8 신단주, "미용계열 대학원 교과과정의 개발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산업대학원 2004

      9 임인숙, "미용 관련 학과 변화 조사 -1990년 이후 2004 · 5년까지 내용 자료를 중심으로-" 6 (6): 183-198, 2005

      10 김보람, "국내 대학원 무용학과 교과과정 현황 분석연구 : 인식 및 만족도 조사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8

      1 김태경, "한국문헌정보학 교육에서 정보이용자교육 교과과정 모형개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2 김남희, "한국과 일본의 미용교육에 관한 비교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아트·디자인대학원 2010

      3 조영희, "한국 특수체육교육(학)과의 특수체육지도자 양성을 위한 교과과정모형 개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4 류 진, "미용전공자의 네일 교육과정 만족도와 개선방안"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3

      5 최정선, "미용교육 교과과정의 미용계열 졸업생의 직무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7 (7): 121-141, 2006

      6 김희숙, "미용관련학과 2년제 대학의 헤어디자이너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개발 - 프랜차이즈미용실 교육프로그램과 비교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13 (13): 7-20, 2012

      7 박보경, "미용관련과 재학생들의 교육과정 만족도" 고신대학교 보건대학원 2006

      8 신단주, "미용계열 대학원 교과과정의 개발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산업대학원 2004

      9 임인숙, "미용 관련 학과 변화 조사 -1990년 이후 2004 · 5년까지 내용 자료를 중심으로-" 6 (6): 183-198, 2005

      10 김보람, "국내 대학원 무용학과 교과과정 현황 분석연구 : 인식 및 만족도 조사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8

      11 교육학사전편찬위원회, "교육학사전" 대한교육연합회 1965

      12 김대현,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학지사 2005

      13 정병선, "교육과정" 배영사 1986

      14 황미경, "4년제 미용관련 대학교 교육과정 분석 연구"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5 양복희, "2년제대학 미용관련과 교육과정 실태조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0

      16 김순옥, "2년제 미용대학 교과과정과 전공교육의 개선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웰니스학회 -> 한국웰니스학회지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for Wellness -> Journal of Wellnes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8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77 0.7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