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사상(韓國思想) 문학(文學) : 김사량의 문학세계에 나타난 토포스와 서사적 의미 -「천마」, 「무궁일가」, 「향수」를 중심으로- = Literature : Topos and its Narrative Meanings in Kim Sa-ryang`s Nove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7281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김사량의 「천마(天馬)」, 「무궁일가(無窮一家)」, 그리고 「향수(鄕愁)」 나타난 공간적 배경에 주목하여 토포스와 그 서사적 의미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작품들에는 일...

      본 연구는 김사량의 「천마(天馬)」, 「무궁일가(無窮一家)」, 그리고 「향수(鄕愁)」 나타난 공간적 배경에 주목하여 토포스와 그 서사적 의미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작품들에는 일제강점기 조선의 경성, 일본의 도쿄, 중국의 북경이 무대로 등장한다. 「천마」는 경성을 배경으로 현룡이 등장하여 식민지 지식인의 주체성 분열을 보여준다. 이때 경성은 물리적 장소 이상의 기능을 하는 토포스적 의미를 지닌다. 「무궁일가」의 도쿄는 이곳에 이주한 조선인의 삶은 더욱 비참하게 만들면서, 그들을 공간적, 의식적, 민족적으로 식민주체에 종속된 하위주체로 범주화 시켜 버린다. 「향수」의 북경은 제 3의 공간으로 볼 수 있다. 이곳에 온 조선인은 주로 도피가 목적이다. 그들은 어디에도 소속되지 못하고 이방인으로서 삶을 영위하고 있다. 이는 우리 민족의 참담했던 삶의 현장을 생생하게 재현한 공간으로 당대 사회의 혼란과 모순을 표상하는 토포스가 된다. 김사량의 문학에 나타나는 이 세 공간은 각 공간 나름대로의 토포스적 의미를 지니면서 작품의 서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작가는 작품에서 동아시아 3국을 문학에 재현함으로써 당대 조선인의 삶을 입체적으로 그려냈다고 볼 수 있다. 본고는 작품에 나타나는 이와 같은 공간성에 주목하여 일제 강점기 경성, 도쿄, 북경 3국의 공간을 분석함으로써 공간의 문학적 재현에 주목하여 그 토포스와 서사적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작가의 공간 체험과 그의 문학 작품의 불가분성이 도출되며 그리고 문학에서 당대의 토포스와 그 서사적 의미가 드러나게 되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word ‘topos’ can be defined broadly as the affective bond between people and place or setting. Evidently, Kim Sa-ryang`s novels have shown the specific experience and imagination of place, such as Kyong-sung, Tokyo, and Beijing. The aim of thi...

      The word ‘topos’ can be defined broadly as the affective bond between people and place or setting. Evidently, Kim Sa-ryang`s novels have shown the specific experience and imagination of place, such as Kyong-sung, Tokyo, and Beijing.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opos and its narrative meanings in Kim Sa-ryang`s novels. He was active in the literature during the period when the colonial occupation by Japan reached its peak. The backgrounds of his novels, “Chunma”「천마」, “Moogoong Family”「무궁일가」, and “Nostalgia”「향수」, are Kyong-sung, Tokyo, and Bejing respectively. Its space has its own meaning. As for the remarkable things in the novels, Hyun Ryong, an abnormal character in “Chunma”, was lacated on the boundary between the conquerors and the colonists, the Chios family, in “Moogoong Family”, they were the representatives of subordinate in subjective country, and Lee Hyun, in “Nostalgia”, was a wait-and-see character. In conclusion, Kim Sa-ryang`s novels can be considered a process pursuing a narrative jouissance by putting characters for a particular place, ‘topos’. In relation to his experience of life, such a writing can be also seen a repetitive narration-as-performance of the story tied with a traumatic spa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남용, "金史良 문학 속에 나타난 북경체험과 북경 기억" 중국연구소 45 : 63-80, 2009

      2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5" 지식산업사 1994

      3 정백수, "한국근대의 식민지체험과 이중언어문학" 아세아문화사 2002

      4 서연호, "한국 근대지식인의 민족적 자아형성 : 일제 식민지 체험을 넘어서" 소화 2004

      5 김혜연, "한국 근대문학과 이중어 연구―김사량을 중심으로" 국학자료원 2012

      6 김윤식, "한․일 근대문학의 관련양상 신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

      7 나카무라 유지로, "토포스" 그린비 2012

      8 김학동, "재일조선인의 문학과 민족, 김사량․김달수․김석범의 작품세계" 국학자료원 2009

      9 김재용, "일제말 김사량 문학의 저항과 양극성" 83 : 501-518, 2006

      10 노상래, "이중어 소설 연구 -<국민문학> 소재 비친일 일본어소설을 중심으로-" 한국어문학회 (86) : 307-339, 2004

      1 박남용, "金史良 문학 속에 나타난 북경체험과 북경 기억" 중국연구소 45 : 63-80, 2009

      2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5" 지식산업사 1994

      3 정백수, "한국근대의 식민지체험과 이중언어문학" 아세아문화사 2002

      4 서연호, "한국 근대지식인의 민족적 자아형성 : 일제 식민지 체험을 넘어서" 소화 2004

      5 김혜연, "한국 근대문학과 이중어 연구―김사량을 중심으로" 국학자료원 2012

      6 김윤식, "한․일 근대문학의 관련양상 신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

      7 나카무라 유지로, "토포스" 그린비 2012

      8 김학동, "재일조선인의 문학과 민족, 김사량․김달수․김석범의 작품세계" 국학자료원 2009

      9 김재용, "일제말 김사량 문학의 저항과 양극성" 83 : 501-518, 2006

      10 노상래, "이중어 소설 연구 -<국민문학> 소재 비친일 일본어소설을 중심으로-" 한국어문학회 (86) : 307-339, 2004

      11 오다 마코토, "어떤 부정하기 힘든 힘-김사량의 「향수(鄕愁)" 1 : 429-444, 2009

      12 안우식, "빛 속으로" 소담출판사 4-7, 2001

      13 가와무라 미나토, "빛 속으로" 소담출판사 8-13, 2001

      14 김사량, "빛 속으로" 소담출판사 2001

      15 이춘매, "김사량의 소설에 반영된 일제 강점기 한민족의 삶과 이산(離散)" 한중인문학회 (29) : 71-88, 2010

      16 이석중, "김사량, 이메일 해설" 창비 266-289, 2007

      17 안우식, "김사량 평전" 문학과지성사 2000

      18 김석희, "김사량 평가사 - ‘민족주의’의 레트릭과 김사량 평가-" 한국일어일문학회 57 (57): 190-201, 2006

      19 김사량, "김사량 작품과 연구 4" 열락 2014

      20 김사량, "김사량 작품과 연구 2" 열락 2009

      21 김사량, "김사량 작품과 연구 1" 열락 2009

      22 노상래, "김사량 소설 연구" 한국어문학회 (73) : 367-398, 2001

      23 박은희, "김사량 문학의 특수성과 동아시아적 보편성" 한국학연구소 (29) : 91-118, 2013

      24 Tuan, Yi-Fu, "Topophilia: A Study of Environmental Perception, Attitudes, and Values" A Morningside Books 1990

      25 김열규, "Topophilia : 토포스를 위한 새로운 토폴로지와 시학을 위하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7 (7): 9-20, 2003

      26 Tuan, Yi-Fu, "Space and Place: The Perspective of Experience" The U. of Minnesota P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8 0.811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