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중전도운동과 민족복음화운동 1970-1980 = Korea Mass Evangelism 1970-1980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513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교회는 1970년대 놀라운 부흥운동이 일어났다. 필자는 1970년대 일어난 일련의 부흥운동은 1907년 부흥운동과 차별화되는 일종의 대중전도운동으로 평가한다. 1973년 빌리 그래함 전도대회...

      한국교회는 1970년대 놀라운 부흥운동이 일어났다. 필자는 1970년대 일어난 일련의 부흥운동은 1907년 부흥운동과 차별화되는 일종의 대중전도운동으로 평가한다. 1973년 빌리 그래함 전도대회를 기점으로 일어난 놀라운 대중전도운동은 1974년 엑스플로 `74, 1977년 민족복음화대성회, 1980년 `80 세계복음화대성회, 그리고 1984년 한국선교 100주년기념대회로 이어졌다. 일련의 대중전도운동은 한국교회에 놀라운 교회 성장을 가져다 주었고, 복음주의운동의 발흥을 촉진시켰으며, 해외선교를 진작시킨 중요한 전기가 되었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대중전도운동이 어떤 배경 속에서 발흥했는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어떤 결실을 가져다주었는지를 집중적으로 조명하려고 하였다. 1970년대 대중전도운동은 국내에서 일어난 일종의 민족복음화운동, 해외에서 일어나고 있던 대중전도운동과 복음주의운동, 그리고 국내에서 강하게 일어난 초교파 대학생선교단체들이 한데 어우러져 하나의 거대한 운동으로 폭발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자연히 빌리 그래함과 빌 브라이트를 비롯한 외국의 부흥운동 지도자들이나 초교파선교단체 지도자들이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국내에서는 한경직, 김준곤, 조동진, 김장환을 비롯한 비교적 복음주의적이고 보수적인 이들이 중요한 리더십을 발휘하였다. 대중전도운동의 발흥으로 한국교회는 평양대부흥운동 이후 제2의 전성기를 맞았으며, 놀라운 해외선교운동이 일어났다. 하지만 과거 평양대부흥운동과 달리 개인의 영적각성이 사회개혁과 사회각성으로 이어져 사회변혁을 촉발시키지는 못했다. 바로 이것이 1907년 평양대부흥운동과 1970년대 대중전도운동의 차이라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ise of a series of mass evangelism movements took placed for over ten years since 1970s in Korea. The rapid growth of Korean church 1970s and 1980s was from these mass evangelism movements. It also became a great factor to stimulate a rise of Kor...

      The rise of a series of mass evangelism movements took placed for over ten years since 1970s in Korea. The rapid growth of Korean church 1970s and 1980s was from these mass evangelism movements. It also became a great factor to stimulate a rise of Korean evangelicalism as one of national phenomena and a spiritual catalyst to have vitalized the foreign mission movement in Korea for twenty years. In that sense, th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mass evangelism movements in 1970s is one of the main keys to understand the modern Korean church history.
      This paper has studie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its emergence, process, and results of evangelism movement in Korea from the evangelical perspective. The writer has illuminated objectively the Korea mass evangelism movements in 1970s and 1980s such as the Billy Graham Seoul Crusade of 1973, the Explo `74 of 1974, the conference for the National Evangelism Movement of 1977, the conference for world evangelism of 1980, and the national memorial conference of the one hundred year commemoration of Korea mission in 1984, throughout evaluating primary resources positively. This paper, however, will show critical view on these Korea mass evangelism movement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