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흰색 팽이 신품종 '설한' 육성 = Breeding of a new cultivar of White Flammulina velutipes, 'Seolh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212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팽이(Flammulina velutipes)는 주름버섯목(Agaricales), 뽕나무버섯과(Physalacriaceae)에 속하는 담자균류로서, 국내 생산량은 연간 31,818톤('19)으로 전체 생산량의 약 18%이며 버섯 전체 수출액의 약 36%를 ...

      팽이(Flammulina velutipes)는 주름버섯목(Agaricales), 뽕나무버섯과(Physalacriaceae)에 속하는 담자균류로서, 국내 생산량은 연간 31,818톤('19)으로 전체 생산량의 약 18%이며 버섯 전체 수출액의 약 36%를 차지할 정도로 대표적인 식용버섯이다. 그러나 국내 재배되고 있는 팽이 국산품종의 비중이 31.6%(20')로 매우 낮으므로 국제 경쟁력이 우수한 국내육성 품종확보가 필요하며 수출 버섯으로서 보다 품질이 우수한 품종 육성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농진청에서 육성한 '백승'과 '우리1호'의 단핵균주를 확보하여 mon-mon교잡을 통해 '설한' 품종을 육성하였다. 균사배양 특성은 25℃에서 균사생장이 가장 좋았으며 20, 25℃에서 대조품종보다 균사 생장속도가 빨랐다. 병재배 시 배양 최적온도는 15~17℃로 배지온도가 20℃이상 되지 않게 관리해야하며 생육온도는 7~8℃로 대조품종에 비해 다소 높다. 또한 자실체 수량은 병당(850 mL) 226.5±8.0 g으로 대조품종에 비해 18.4% 증수하였으며 초발이일수가 2일 빨라 전체적인 생육기간이 단축되었다. 또한 설한의 외형은 대조품종보다 갓이 작고 대는 굵었으며 갓 색이 더 밝았다. 대치배양과 유전적 다형성 검정 결과, 설한이 다른 흰색 품종들과 유전적으로 구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lammulina velutipes is the representative edible mushroom in Korea. It makes up around 18% of the total mushroom production and accounts for about 36% of the total mushroom export. Despite being one of the most industrially important mushroom in Kore...

      Flammulina velutipes is the representative edible mushroom in Korea. It makes up around 18% of the total mushroom production and accounts for about 36% of the total mushroom export. Despite being one of the most industrially important mushroom in Korea, the distribution rate of domestic cultivar was low (~31.6%) in 2020. Therefore, we need a new domestic cultivar with high quality as the main export mushroom. We developed a new white domestic cultivar, 'Seolhan', bred by mating two monokaryotic strains isolated from Baekseung and Woori-1ho. The optimum mycelial growth temperature was 25℃ and Seolhan had higher mycelial growth than the control at 20 and 25℃. In bottle cultivation, the optimum temperature of incubation was from 15℃ to 17℃ and the growth temperature of Seolhan was 7-8℃, which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The yield of Seolan was 226.5±8.0 g, an increase of 18.4% compared to the control. The period of primodia formation also was a couple of days ahead. In morphological traits, the pileus of Seolhan was smaller than that of the control, the stipe was thicker, and the color brighter. As the results of replacement culture and genetic diversity test, it was confirmed that Seolhan was genetically different from other white variet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지훈, "황금색 팽이 신품종 ‘아람’ 육성" 한국버섯학회 17 (17): 218-223, 2019

      2 공원식, "한국형 백색 팽이버섯 ‘백아’ 육성경과 및 품종 특성" 한국버섯학회 11 (11): 159-163, 2013

      3 우성이, "팽이버섯 신품종 ‘백승’의 특성" 한국버섯학회 15 (15): 25-30, 2017

      4 임지훈, "팽이 신품종 ‘백이’ 육성" 한국버섯학회 16 (16): 299-303, 2018

      5 김민자, "재배기간이 짧은 갈색 팽이버섯 신품종 ‘금향’의 육성 및 특성" 한국버섯학회 13 (13): 92-96, 2015

      6 김민자, "고온성 연갈색 팽이버섯 신품종 ‘여름향1호’의 육성 및 특성" 한국버섯학회 16 (16): 287-292, 2018

      7 김은선, "고온성 백색 팽이버섯 ‘백중’ 육성경과 및 품종 특성" 한국버섯학회 13 (13): 203-206, 2015

      8 김민자, "고식미 갈색 팽이버섯 신품종 ‘흑향’의 육성 및 특성" 한국버섯학회 13 (13): 103-107, 2015

      9 Yeh MY, "Hypolipidemic and Antioxidant Activity of Enoki Mushrooms(Flammulina velutipes)" 2014 : 1-6, 2014

      10 Kitamoto, Y., "Genetics and Breeding of Edible Mushrooms" Country of publication 1993

      1 임지훈, "황금색 팽이 신품종 ‘아람’ 육성" 한국버섯학회 17 (17): 218-223, 2019

      2 공원식, "한국형 백색 팽이버섯 ‘백아’ 육성경과 및 품종 특성" 한국버섯학회 11 (11): 159-163, 2013

      3 우성이, "팽이버섯 신품종 ‘백승’의 특성" 한국버섯학회 15 (15): 25-30, 2017

      4 임지훈, "팽이 신품종 ‘백이’ 육성" 한국버섯학회 16 (16): 299-303, 2018

      5 김민자, "재배기간이 짧은 갈색 팽이버섯 신품종 ‘금향’의 육성 및 특성" 한국버섯학회 13 (13): 92-96, 2015

      6 김민자, "고온성 연갈색 팽이버섯 신품종 ‘여름향1호’의 육성 및 특성" 한국버섯학회 16 (16): 287-292, 2018

      7 김은선, "고온성 백색 팽이버섯 ‘백중’ 육성경과 및 품종 특성" 한국버섯학회 13 (13): 203-206, 2015

      8 김민자, "고식미 갈색 팽이버섯 신품종 ‘흑향’의 육성 및 특성" 한국버섯학회 13 (13): 103-107, 2015

      9 Yeh MY, "Hypolipidemic and Antioxidant Activity of Enoki Mushrooms(Flammulina velutipes)" 2014 : 1-6, 2014

      10 Kitamoto, Y., "Genetics and Breeding of Edible Mushrooms" Country of publication 1993

      11 Kong WS, "Characterization of a new white variety ‘Baengno’developed by crossing with selected lines adaptable to elevated-temperature in Flammulina velutipes" 6 : 121-125, 2008

      12 Kong WS, "Characterization of a new brown commercial strain ‘Garlmoe’ of Flammulina velutipes developed by crossing between wild collected strains" 6 : 115-120, 2008

      13 Tomita T, "Assembly of flammutoxin, a cytolytic protein from the edible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into a pore-forming ring-shaped oligomer on the target cell" 333 : 129-137, 1998

      14 Bao HN, "Antioxidative activity and antidiscoloration efficacy of ergothioneine in mushroom(Flammulina velutipes)extract added to beef and fish meats" 56 : 10032-10040, 2008

      15 Bao HN, "Antioxidative activity and antidiscoloration efficacy of ergothioneine in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extract added to beef and fish meats" 56 : 10032-10040,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5-04-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Mushroom Science and Production -> Journal of Mushrooms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