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통신사 사행록 연구 = 『海東諸國紀』와 『和國志』의 同異点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7308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글은 통신사 사행록 중 ‘日本國志’의 성격을 지닌, 『海東諸國紀』와 『和國志』의 同異点을 분석하여 조선전기와 후기의 일본인식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신숙주시대 대일관...

      이글은 통신사 사행록 중 ‘日本國志’의 성격을 지닌, 『海東諸國紀』와 『和國志』의 同異点을 분석하여 조선전기와 후기의 일본인식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신숙주시대 대일관계의 주요목표는 왜구금압과 통교체제의 구축이었다. 따라서 『海東諸國紀』의 주요내용도 일본인의 약탈적 습성을 이해하고, 그에 대한 대책으로 朝鮮來朝者들에게 통교를 허락해 줌으로써 우호관계를 구축해 가는 것이었다.
      반면, 원중거시대의 한일관계는 동아시아 국제정세도 안정되고, 조·일간에 큰 외교 갈등도 없었다. 『和國志』는 일본개관에서부터, 역사, 전쟁사,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산업등 방대한 분량으로 다양하게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원중거는 여러 곳에서 일본은 조선을 침략한 원수의 나라이니 경계를 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 일본의 실상을 정확히 파악할 것을 주장했다.
      즉 신숙주의 경우, 왜구에 의한 피해의식, 약탈을 막기 위해 일본과 통교체제를 구축하여 교린을 지속해야 한다는 목적이 있었고, 원중거의 경우는 임진왜란에 의한 피해의식, 일본을 복수의 대상, 재침략을 막기 위한 경계의 대상으로 인식했고, 〈通信有五利〉를 강조함으로써 통신사의 왕래를 통해 교린관계는 유지해야 한다고 했다.
      이점에서 두 책은 일본과의 교린관계를 유지하려는 외교적인 목적을 위해 쓰여졌다는 공통점을 가지는 반면, 『海東諸國紀』가 약탈자 일본과 어떻게 하면 통교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가가 목적이었다면, 『和國志』는 침략자 일본을 어떻게 이해하고, 대비해가면서 우호관계를 유지해 갈 것인가가 목적이었다는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nalyzed the characters of ‘Ilbongukji’(日本國志) through the analysis of 『Haedongjegukgi』 and 『Hwagukji』 to understand Joseon’s awareness upon Japan in early and later Joseon period respectively. In the era of Shin S...

      This article analyzed the characters of ‘Ilbongukji’(日本國志) through the analysis of 『Haedongjegukgi』 and 『Hwagukji』 to understand Joseon’s awareness upon Japan in early and later Joseon period respectively.
      In the era of Shin Sook-Joo, the main target of the relation with Japan was to prevent Waegu(Japanese pirate raiders) and to construct diplomatic relation. Accordingly, major contents of 『Haedongjegukgi』 is to figure out the plundering habit of the Japanese and to establish relationship by allowing friendly relationship with Joseon’s foreign envoys.
      On the other hand, the Joseon and Japan relation in the era of Won Jung-Geo was stable in terms of international politics without any huge diplomatic conflicts. 『Hwagukji』 describes the introductory survey of Japan including history, history of warfare, political, economical, social, cultural and industrial aspects. However, Won Jung Geo argued that Joseon should take alert against Japan as a country of invasion, and also understand the actual state of Japan accurately.
      While Shin Sook-Joo intended to establish friendly relationship with Japan to prevent plunder, Won Jung-Geo saw Japan as a country to be alerted to prevent another invasion thanks to the victim mentality caused by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But as he emphasizes 〈Tongsinyuori〉(通信有五利) he argued to maintain the foreign diplomatic relation through the exchange of the Tongsinsa.
      In this sense, both books have similarities to keep foreign diplomatic relations with Japan. But they have differences: 『Haedongjegukgi』 considered how to maintain friendly relation with Japan as a plunder, but, 『Hwagukji』 intended how to keep friendly relation with Japan as an invader while understanding their characters and preparing measurement against the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편찬동기 및 목차
      • 3. 『海東諸國紀』와 『和國志』의 내용 및 특징
      • 4. 맺음말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편찬동기 및 목차
      • 3. 『海東諸國紀』와 『和國志』의 내용 및 특징
      • 4.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