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역량과 역할갈등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Nursing Competency and Role Conflict on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es in Long Term Care Hospita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303113

      • 저자
      • 발행사항

        광주 : 남부대학교 대학원, 201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남부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 2018. 2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광주

      • 형태사항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최봉실

      • UCI식별코드

        I804:24018-200000220301

      • 소장기관
        • 남부대학교 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초록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역량과 역할갈등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권진희 지도교수: 최봉실 ...

      국문초록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역량과 역할갈등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권진희
      지도교수: 최봉실
      남부대학교 보건경영대학원
      간호학과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역량과 역할갈등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에 소재한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203명이었다. 연구 도구로 간호역량은 김은재(2016)가 개발한 간호역량 도구를, 역할갈등은 박소은과 염은이(2016)의 요양병원 간호사의 역할갈등 경험 연구를 근거로 본 연구자가 구성한 도구를, 간호전문직관은 윤은자 등(2005)이 개발한 간호전문직관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7년 6월 15일부터 3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와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간호역량은 5점 만점에 3.49점, 역할갈등은 5점 만점에 3.48점, 간호전문직관은 5점 만점에 3.49점이었다.
      둘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간호역량은 연령, 직위, 근무형태, 병원유형, 건강상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령은 40∼50세 미만이(F=4.75, p=.003), 직위는 간호부서장이(F=6.63, p=.002), 근무형태는 상근근무가(F=9.14, p<.001), 병원유형은 개인병원이(F=2.91, p=.036), 건강상태는 매우 건강하다가(F=2.78, p=.042) 간호역량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역할갈등은 근무형태, 병상수, 건강상태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근무형태는 데이/이브닝 교대가(F=3.37, p=.011), 병상수는 300병상 이상이(F=4.07, p=.019), 건강상태는 매우 건강하다와 건강하지 않다가(F=2.78, p=.042) 역할갈등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전문직관은 연령, 최종학력, 직위, 근무형태. 건강상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령은 50세 이상이(F=6.19, p<.001), 최종학력은 4년제대학 졸업자가(F=4.74, p=.010), 직위는 간호부서장이(F=3.35, p=.037), 근무형태는 상근근무와 기타가(F=3.67, p=.007), 건강상태에서는 매우 건강하다와 건강하다가(F=9.09, p<.001) 간호전문직관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간호전문직관과 간호역량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60, p<.001). 그러나 간호전문직관과 역할갈등(r=.05, p=.524), 간호역량과 역할갈등(r=.04, p=.563)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간호역량(β=.533 p<.001)이었고, 다음으로 최종학력으로 4년제대학 졸업(β=.123, p<.025)이었다. 특히 연령이 30∼40세 미만(β=-.132, p<.019)인 경우와 건강상태가 그저 그렇다(β=-.130, p<.021)인 경우는 간호전문직관을 감소시키는 특성을 나타냈다. 간호전문직관에 대한 연령, 최종학력, 건강상태, 간호역량 설명력은 약 41%이었다(F=35.60, p<.001, R²=.418, Adj-R2=.407).

      이상의 연구를 종합해 볼 때, 간호역량이 높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간호전문직관이 높아지고, 연령이 30∼40세 미만인 경우와 건강상태가 그저 그렇다인 경우에는 간호전문직관이 감소되는 특성으로 나타났다. 급변하는 의료서비스 환경에서 요양병원 간호사의 효율적인 간호업무 수행과 질 높은 간호의 제공 및 전문직 간호사로서의 자리매김을 확고히 하고 의료서비스 기관의 간호 인력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 요양병원 간호사의 긍정적인 간호전문직관의 확립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요양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간호전문직관 연구를 지속적으로 시행하여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긍정적 간호전문직관을 형성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
      주요어 : 요양병원 간호사, 간호역량, 역할갈등, 간호전문직관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국문초록 ⅴ
      • Ⅰ. 서론 1
      • 목 차
      • 국문초록 ⅴ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목적 4
      • 3. 용어의 정의 4
      • Ⅱ. 문헌고찰 6
      • 1. 요양병원 간호사 6
      • 2. 간호역량 7
      • 3. 역할갈등 10
      • 4. 간호전문직관 12
      • Ⅲ. 연구방법 17
      • 1. 연구 설계 17
      • 2. 연구 대상 17
      • 3. 연구 도구 18
      • 4. 자료 수집 19
      • 5. 자료 분석 20
      • Ⅳ. 연구 결과 21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1
      • 2. 간호역량, 역할갈등 및 간호전문직관의 정도 25
      •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역량, 역할갈등 및 간호전문직관의 차이 27
      • 4. 간호역량, 역할갈등 및 간호전문직관과의 상관관계 34
      • 5. 간호전문직관의 영향 요인 35
      • Ⅴ. 논의 37
      • 1. 간호역량, 역할갈등 및 간호전문직관의 정도 37
      •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역량, 역할갈등 및 간호전문직관의 차이 40
      • 3. 간호역량, 역할갈등 및 간호전문직관과의 상관관계 44
      • 4. 간호전문직관의 영향 요인 47
      • Ⅵ. 결론 및 제언 50
      • 1. 결론 50
      • 2. 제언 51
      • 참고문헌 53
      • ABSTRACT 66
      • 부록 69
      • 설문지 8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