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일 음차 공간(飮茶空間)의 조형특징과 내재의미 비교 = A Comparative Study of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Implicit Meanings of Tea Drinking Space between Korea and Jap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865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차(茶)는 동양 문화에서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갖고 있다. 시대가 발전함에 따라 차와 관련된 독특한 문화가 동양 여러 나라에서 꽃을 피웠고, 문화 유형으로서의 차례(茶禮)나 차회(茶會)뿐만 ...

      차(茶)는 동양 문화에서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갖고 있다. 시대가 발전함에 따라 차와 관련된 독특한 문화가 동양 여러 나라에서 꽃을 피웠고, 문화 유형으로서의 차례(茶禮)나 차회(茶會)뿐만 아니라 문학과 예술 영역에서도 차시(茶詩)와 아집도(雅集圖)를 통하여 차문화(茶文化)의 영향을 엿볼 수 있다. 건축은 어느 한 지역의 문화와 인간 정신의 외재적인 표현이다. 따라서 문화의 형성에 따라 반드시 일정한 문화적 공간이 형성된다.
      일본에서 차문화의 산물로서 ‘다정(茶庭)’라는 음차 공간(飮茶空間)이 명확하게 존재하다는 것은 사실이다. 오늘 날에도 일본에는 다정의 명소가 많이 남아있다. 뿐만 아니라 일본에서 다정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많은 연구 성과를 거두었다.
      한반도에서 차문화의 기원이 오래되었다. 차문화는 한국 전통 문화의 일환이라고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처럼 중요한 문화가 인간의 지역성과 문화성을 제대로 체현할 수 있는 건축의 영역에서 보면, 한국에서는 일본의 다정같은 건축 유형은 말할 것도 없고, 음차 공간과 관련된 문헌 기록조차 찾기 힘든 편이다.
      본 논문은 한국과 일본 차문화의 성격, 한 걸음 더 나아가 한·일 양국의 문화와 민족적인 성격을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하여 한국과 일본의 음차 공간으로서의 건축 유형을 탐구해 보고자 한다. 또한 중국의 영향과 불교의 전래 등 역사적 배경 아래 한국과 일본 음차 공간의 조형적 특징과 미적 성향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것도 본 연구의 목적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ea culture space is not only a kind of reflection of residential culture, but also can be used to generally describe the culture lives and value systems of a society. In Japan, the research on tea garden is relatively adequate. But there are not much...

      Tea culture space is not only a kind of reflection of residential culture, but also can be used to generally describe the culture lives and value systems of a society. In Japan, the research on tea garden is relatively adequate. But there are not much researches about tea drinking space in Korea. The main reason for which is that the concept of tea drinking space was not explicit in Korea. And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space for tea drinking in Korea and that in Japan. The main goal of this paper is to discover this difference and to analyze the causes of it.
      Although there are many studies about tea culture of Japan and Korea, or Japanese tea garden, or traditional Korean garden. I have not found a comparative study on tea culture space of Korea and Japan which is got by studying tea culture of the two countries, and thus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national characters between Korea and Japan by this comparative study.
      In addition, the researches on Japanese culture and Korean culture almost belong to the category of history, sociology or anthropology. I think it is appropriate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social spirits and degrees of residential culture between Korea and Japan by studying the specific garden architectur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동아시아선학연구소, "茶禪一味" 월간 차의 세계 2005

      2 최선호, "한국의 美 산책" 해냄 2007

      3 鄭英善, "한국 茶文化" 너럭바위 2007

      4 권혁란, "차와 선 수행에 관한 연구 : 고려시대의 불교 차문화를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1

      5 정동효, "차생활문화대전" 홍익재 2012

      6 김동욱, "조선시대 건축의 이해"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3

      7 자크 브누아 메샹, "정원의 역사" 르네상스 2005

      8 센겐시쓰, "일본다도의 정신" 시사출판 2008

      9 이진수, "일본다도의 이해" 이른아침 2013

      10 徐兢, "선화봉사 高麗圖經" 움직이는 책 1998

      1 동아시아선학연구소, "茶禪一味" 월간 차의 세계 2005

      2 최선호, "한국의 美 산책" 해냄 2007

      3 鄭英善, "한국 茶文化" 너럭바위 2007

      4 권혁란, "차와 선 수행에 관한 연구 : 고려시대의 불교 차문화를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1

      5 정동효, "차생활문화대전" 홍익재 2012

      6 김동욱, "조선시대 건축의 이해"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3

      7 자크 브누아 메샹, "정원의 역사" 르네상스 2005

      8 센겐시쓰, "일본다도의 정신" 시사출판 2008

      9 이진수, "일본다도의 이해" 이른아침 2013

      10 徐兢, "선화봉사 高麗圖經" 움직이는 책 1998

      11 정민, "새로 쓰는 조선인의 차문화" 김영사 2011

      12 韓國學文献硏究所, "高麗史節要" 亞細亞文化社 1973

      13 朝鮮畵報社, "高句麗古墳壁畵" 학연문화사 1990

      14 閔庚玹, "韓國庭苑文化-始源과 變遷論-" 藝耕産業社 1991

      15 韩国文集编纂委员会, "阮堂先生文集一" 景仁文化社 1990

      16 李丙燾, "譯註三國遺事" 한국학술정보(주) 2012

      17 申緯, "警修堂全藁" 民族文化推進會 2002

      18 船越徹, "茶室空間入門" 彰國社 1992

      19 이종찬, "艸衣詩稿 外" 동국역경원 2001

      20 寂庵宗澤, "禪茶錄" 淡交社 1961

      21 徐居正, "東文選Ⅱ·詩" 민족문화문고간행회 1982

      22 黎靖德(宋), "朱子語類" 中華書局 1999

      23 李荇, "新增東國輿地勝覽" 東國文化社 1958

      24 李丙燾, "國譯三國史記" 한국학술정보(주) 2012

      25 岡田孝南, "京の茶室" 學藝出版社 1989

      26 李安訥, "(國譯)東岳先生集 Ⅲ" 덕수이씨문혜공파종회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20-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11-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Next-Generati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3-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2차)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8 0.08 0.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2 0.14 0.359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