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주의와 토마스주의에 대한 비교 연구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에 관하여 성 토마스의 변형을 중심으로- = On the Study of Comparision Aristotelianism with Thomism -focused on ST. Thomas`s transformation about Aristotle`s "eudaimoni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155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아리스토텔레스의『니코마코스 윤리학』안에서 언급되고 있는 교설들을 성 토마스가 어떻게 변형시켰는가에 관해서, 최근 학자들 사이에서 두 가지의 상반된 주장을 펼치고 있는 것을 볼 ...

      아리스토텔레스의『니코마코스 윤리학』안에서 언급되고 있는 교설들을 성 토마스가 어떻게 변형시켰는가에 관해서, 최근 학자들 사이에서 두 가지의 상반된 주장을 펼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하나는 철학적인 해석이다. 이것은 성 토마스가 아리스토텔레스의 본래적인 의도를 명확하게 드러내려고 노력함으로써 순수하게 철학적인 토대 위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들을 변형시켰다는 주장이다. 또 다른 하나는 신학적인 해석이다. 이것은 성 토마스의 변형은 그리스도교의 신념들의 빛 안에서 아리스토텔레스를 해석함으로써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들을 신학적으로 변형시켰다는 주장이다. 이에 대하여 본 연구자는 성 토마스의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eudaimonia)에 관한 교설에 관하여 철학적인 해석을 하는 학자들 중에서 도이그(James C. Doig)의 주장을 중심으로 그의 성 토마스에 대한 논의들이 무엇인지를 검토해볼 것이다. 그리고 나서, 본 연구자는 제이퍼(Harry V. Jaffa), 도나토(Antonio Donato), 브래들리(Denis J. M. Bradley) 등의 학자들의 주장을 중심으로 해서 도이그의 논의들에 대한 반론을 제기할 것이다. 이에 대하여 첫째, 본 연구자는 도이그가 성 토마스의 교설들에 대하여 동의하면서 그의 교설들을 설명하고 있는 성 토마스의 “인간 본성으로서의 행복”에 관한 내용으로서 관조적인 행복의 우월함, 도덕적인 행복의 열등함, 그리고 하나의 본성적인 목적으로서 완전한 행복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알아볼 것이다. 그리고 나서, 이에 대한 도이그의 성 토마스의 교설들에 관한 주장에 대한 반론으로서 브래들리(Denis J. M. Bradley), 도나토(Antonio Donato), 제이퍼(Harry V. Jaffa) 등의 주장들을 중심으로 해서, 성 토마스의 신학적인 변형과 신학적인 의도로서 철학적인 변형 등을 제시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자는 도이그(James . C. Doig)가 성 토마스의 교설에 관하여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 설명하고 있는 “인간인 한에서 지극히 복된 사람”과 “신적인 것”에 관하여 논의할 것이다. 그리고 나서 이에 관하여, 브래들리(Denis J. M. Bradley), 도나토(Antonio Donato), 제이퍼(Harry V. Jaffa) 등의 주장들을 중심으로 해서 여러 가지의 반론들을 제시할 것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자는 도이그의 주장, 즉 성 토마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에 관한 교설에 관하여 철학적인 변형만을 시도했다는 주장은 전혀 설득력 없다는 주장을 펼칠 것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자는 비록 성 토마스가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들을 토대로 하여 그의 교설들을 전개했을지라도, 성 토마스는 한 사람의 철학자로서가 아닌 한 사람의 신학자로서 그의 행복에 관한 교설을 전개한 것임에 틀림없다는 결론을 내릴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n the discussion that how St. Thomas transforms teachings in Aristotle`s Nicomachean Ethics, There are two different allegations between the recent scholars. One is a philosophical elucidation. It is the averment that St. Thomas transforms Aristotle`...

      On the discussion that how St. Thomas transforms teachings in Aristotle`s Nicomachean Ethics, There are two different allegations between the recent scholars. One is a philosophical elucidation. It is the averment that St. Thomas transforms Aristotle`s teachings on the purely philosophical basis by trying to reveal crealy Aristotle`s primary intention. The other is a theological elucidation. It is the averment that St. Thomas`s exposition transforms theologically Aristotle`s teaching by elucidating Aristotle`s teaching in the light of Christian beliefs. As for this, I will try to find what St. Thomas`s discussion is, by centering about James C. Doig`s assertion among scholars who interpret philosophically on St. Thomas`s teaching about Aristotle`s eudaimonia. And then, I will refute against James C. Doig`s assertion by centering about allegations of Harry V. Jaffa, Antonio Donato, and Denis J. M. Bradley. First, I will try find concretely on St. Thomas`s superiority of the contemplative happiness as "happiness on human nature, inferiority of moral happiness, and “the complete happiness as a natural end”. And as a refutation against James C. Doig`s and St. Thomas`s teachings about this, by centering about the assertions of Denis J. M. Bradley, Antonio Donato, and Harry Jaffa, I will offer St. Thomas`s theological transformation, and philosophical transformation as a theological intention. Second, I will examine “the blessed as men” and “the divine” which James C. Doig estimates affirmatively and explains detailedly. And as for this, I will offer several counterargument revolving around the opinions of Denis J. M. Bradley, Antonio Donato, and Harry V. Jaffa. And then I will set forth argument that James C. Doig`s assertion, that is, the assertion which St. Thomas tries only a philosophical transformation about the teaching of Aristotle`s happiness is never persuasive. Consequently, I will form a conclusion that St. Thomas must have expound on Aristotle`s happiness, not as a philosopher but as a theologian although st. Thomas evlves his teachings by being based on Aristotle`s teaching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