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의 동영상 콘텐츠 이용과 양육자의 미디어 리터러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390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알파 세대라고 불리는 현대 사회의 유아는 수동적인 수용자에서 이제 디지털 미디어 를 이용하여 직접 콘텐츠를 생산하며 소비하고 재창조하는 능동적인 주체가 되었다. 이 러한 디지털 네...

      알파 세대라고 불리는 현대 사회의 유아는 수동적인 수용자에서 이제 디지털 미디어 를 이용하여 직접 콘텐츠를 생산하며 소비하고 재창조하는 능동적인 주체가 되었다. 이 러한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 세대에게 미디어 교육도 새로운 변화가 요구되 고 있으며, 이에 따라 유아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에 대한 국가적인 접근과 제도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심층 인터뷰(In-depth interview) 방법론을 통해 유아의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동영상 콘텐츠의 이용 현황, 유아의 미디 어 동영상 콘텐츠 이용과 관련하여 부모와 교사, 전문가 및 전문 기관의 미디어 리터러 시 인식 동향, 유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인식과 방향, 대안 등에 대해 조사하 였다. 연구 결과, 변화하는 디지털 미디어 생태계와 유아, 부모를 비롯한 양육자 및 사 회의 환경적인 요인은 유아의 올바른 미디어의 수용 및 인식에 주요한 변인이며 이들의 영향력은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유아-부모-교사-기관의 유기적인 연계와 함께 올바른 미디어 교육의 지속적인 연구의 중요성을 확인하며 미래 세대인 유 아를 위한 올바른 미디어 리터러시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fants in modern society, called the Alpha Generation, are now active agents of producing, consuming, and recreating content directly using digital media. Media education is also requiring new changes for this digital native generation, which require...

      Infants in modern society, called the Alpha Generation, are now active agents of producing, consuming, and recreating content directly using digital media. Media education is also requiring new changes for this digital native generation, which requires national access to early childhood media literacy and improvements in systems. In this study, in-depth interview methodology, we investigated the use of video content through digital media by infants, trends in Media Literacy perception by parents, teachers, experts and professional organizations, and alternatives to Media Literacy education. Studies have shown that the changing digital media ecosystem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caregivers and society, including infants and parents, are major variables in the acceptance and recognition of correct media for infants and their influence is great. This work confirms the importance of continuing research in correct media education, along with organic links between infants-parents-teachers-institutions, and raised the need for correct media literacy for future generations, childre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1. 문제의 제기
      • 2. 이론적 배경
      • 1) 디지털 미디어와 이용자로서의 유아
      • 2) 양육자의 미디어 인식에 따른 유아 미디어 수용
      • 요약
      • 1. 문제의 제기
      • 2. 이론적 배경
      • 1) 디지털 미디어와 이용자로서의 유아
      • 2) 양육자의 미디어 인식에 따른 유아 미디어 수용
      • 3) 유아교육과 미디어 리터러시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 1) 유아의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동영상 콘텐츠 이용 경험
      • 2) 유아 동영상 콘텐츠 이용에 관한 부모, 교사, 전문가 및 전문 기관 인식
      • 3) 유아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인식과 방향, 대안
      • 5.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성훈, "혹사당해도 법적 보호 못받는 백만장자 꼬마 유튜버"

      2 이재은, "텍스트 중심 유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한국아동학회 38 (38): 77-93, 2017

      3 이숙정, "청소년 인터넷 이용과 부모 중재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17) : 5-42, 2011

      4 이숙정, "인터넷 중독에 대한 부모 중재 효과 연구" 한국방송학회 24 (24): 289-322, 2010

      5 김승한, "인터넷 이용자 60% 유튜브 검색채널로 활용한다"

      6 성영화, "유아컴퓨터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 12 (12): 195-211, 2012

      7 배구택,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모 양육행동, 유아 전자미디어 놀이시간, 외현화 문제행동 간 구조분석"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8 (18): 69-94, 2019

      8 임명희, "유아의 스마트폰·태블릿 PC 이용실태와 부모인식과 유아의 중독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 14 (14): 237-260, 2014

      9 이원석, "유아의 스마트폰 이용과 관련한 어머니의 인식" 육아정책연구소 6 (6): 20-38, 2012

      10 강연주,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실태와 어머니의 인식 및 유아행동특성간의 관계"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 전성훈, "혹사당해도 법적 보호 못받는 백만장자 꼬마 유튜버"

      2 이재은, "텍스트 중심 유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한국아동학회 38 (38): 77-93, 2017

      3 이숙정, "청소년 인터넷 이용과 부모 중재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17) : 5-42, 2011

      4 이숙정, "인터넷 중독에 대한 부모 중재 효과 연구" 한국방송학회 24 (24): 289-322, 2010

      5 김승한, "인터넷 이용자 60% 유튜브 검색채널로 활용한다"

      6 성영화, "유아컴퓨터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 12 (12): 195-211, 2012

      7 배구택,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모 양육행동, 유아 전자미디어 놀이시간, 외현화 문제행동 간 구조분석"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8 (18): 69-94, 2019

      8 임명희, "유아의 스마트폰·태블릿 PC 이용실태와 부모인식과 유아의 중독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 14 (14): 237-260, 2014

      9 이원석, "유아의 스마트폰 이용과 관련한 어머니의 인식" 육아정책연구소 6 (6): 20-38, 2012

      10 강연주,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실태와 어머니의 인식 및 유아행동특성간의 관계"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1 조정진, "유아의 스마트폰 게임 과몰입 정도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5 (15): 647-657, 2015

      12 박소영,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사용실태 과다사용에 향을 미치는 변인연구" 가톨릭대학교 2015

      13 정지용, "유아용 뉴미디어 콘텐츠의 재미 요소" 한국콘텐츠학회 18 (18): 40-52, 2018

      14 지옥정, "유아교육과 미디어 활용" 창지사 2018

      15 김연진, "유아교육개론" 태영출판사 2013

      16 문혁준, "유아교사의 비디오 활용 방법 및 문제점 분석" 39 (39): 35-47, 2001

      17 허경아, "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진단 및 관련 변인"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3 (13): 479-494, 2012

      18 정봄마지, "유아 주도의 UCC 제작활동 참여여부에 따른 유아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정보윤리의식 변화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309-332, 2013

      19 장석준, "유년층의 스마트 미디어 리터러시 유형과부모와 교사의 중재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6 (16): 122-134, 2016

      20 이정림, "영유아의 스마트폰 노출 실태" 육아정책연구소 2013

      21 이현정, "영·유아의 스마트 기기 이용 실태에 대한 부모 인식"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2 남경희,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미디어 중재역할이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육아지원학회 13 (13): 117-137, 2018

      23 나은영, "어린이의 인터넷?컴퓨터게임 몰입에 미치는 자기통제성의 매개 역할과 어머니의 개방적 커뮤니케이션의 영향" 한국언론학회 50 (50): 116-147, 2006

      24 황보원주, "아동을 위한 디지털미디어 리터러시 성장성 연구: 라캉의 욕망이론을 중심으로"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 (20): 420-428, 2017

      25 심숙영, "아동놀이와 뉴미디어 게임" 한국아동권리학회 13 (13): 107-129, 2009

      26 임남균, "부모의 제한적 시청지도에 대한 자녀의 지각이 그들의 TV 프로그램 시청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언론학회 12 (12): 98-129, 2012

      27 김은미, "부모와 자녀의 인터넷 리터러시의 관계: 인터넷 리터러시는 대물림되는가?" 한국언론학회 55 (55): 155-177, 2011

      28 임성호, "미디어 환경의 변화 속에서 미디어교육의 필요성" 3-27, 2003

      29 고유미, "미디어 콘텐츠와 아동의 놀이: ‘캐리와 장난감 친구들’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7 (17): 53-65, 2017

      30 안정임, "미디어 리터러시 구성요인과 부모의 중재 행위, 아동의 이용조절 인식간의 상관관계" 한국지역언론학회 13 (13): 161-192, 2013

      31 문해성, "미디어 교육학"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2003

      32 최창섭, "미디어 교육의 이론경향 고찰" 1998

      33 김종길, "디지털시대의 '가족혁명': 신화인가 현실인가?" 한국사회이론학회 (38) : 143-174, 2010

      34 안정임, "디지털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 리터러시: 의미와 연구방향의 모색"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8 (8): 5-24, 2002

      35 김양은, "디지털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36 배진아, "디지털 미디어와 가족 커뮤니케이션: 모자간 소통을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7 (27): 53-91, 2010

      37 송요셉, "다매체 환경에서 청소년의 미디어 활용 방식에 대한 FGI 연구: 성별과 환경적 요인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소 46 (46): 33-65, 2009

      38 안정임, "국내 미디어 리터러시 연구 동향 분석 : 연구 특성 및 미디어 역할,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요인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31 (31): 5-49, 2017

      39 최명호, "개인방송 서비스 동향과 전망" 33 (33): 64-70, 2016

      40 이병호, "가정에서 유아의 스마트 기기 사용에 관한 탐색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511-532, 2012

      41 정은혜, "‘구독자 66만’ 키즈 유튜버 ‘대왕문어 먹방’ 논란..아버지사과"

      42 Barr, R., "Transfer of learning between 2D and 3D sources during infancy : Informing theory and practice" 30 (30): 128-154, 2010

      43 Lauricella, A. R., "Toddlers’ learning from socially meaningful video characters" 14 (14): 216-232, 2011

      44 Bakir, A., "The ethics of food advertising targeted toward children : Parental viewpoint" 91 (91): 299-311, 2010

      45 Barr, R., "The effect of repetition on imitation from television during infancy" 49 (49): 196-207, 2007

      46 Ministry of Education, New Zealand, "Te Whāriki-Early childhood curriculum"

      47 Department for Education, "Statutory framework for the early years foundation stage" 2012

      48 OECD, "Starting strong Ⅲ: A quality toolbox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49 UNESCO, "Recognizing the potential of IC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Analytical survey" UNESCO Institute for Information Technologies in Education 2010

      50 Shuler, C., "Pockets of potential : Using mobile technology to promote children’s learning" 2009

      51 Livingstone, S., "Parental mediation of children Internet use" 52 : 309-329, 2008

      52 Moon, H. S., "Media education"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2004

      53 Linebarger, D. L., "Infants’ and toddlers’ television viewing and language outcomes" 48 (48): 624-645, 2005

      54 UNESCO., "Education for all global monitoring report 2009"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55 Prensky, M., "Digital natives, digital immigrants" 9 (9): 1-6, 2001

      56 Copple, C.,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in early childhood programs" NAEYC 2009

      57 Berson, M. J., "Developing thoughtful ‘cybercitizens’" 16 (16): 5-8, 2004

      58 Grey, A., "Cybersafe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36 (36): 77-81, 2011

      59 Leavis, F. R., "Culture and environment : The training of critical awareness" Chatto & Windus 1993

      60 Evans, N. J., "Coddling our kids: Can parenting style affect attitudes toward advergames?" 42 (42): 228-240, 2013

      61 Strasburger, V. C., "Children, adolescents, and the media" Sage Publications 2014

      62 진향희, "6살 유튜버 95억 빌딩매입, ‘보람튜브 뭐길래’"

      63 나스미디어, "2019 인터넷 이용자 조사(NPR)" 디지털 미디어렙 나스미디어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8-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 한국소통학보
      외국어명 : Speech & Communication -> Journal of Speech, Media and Communication Research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4-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스피치커뮤니케이션학회 -> 한국소통학회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6 1.21 1.511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