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비만도에 관련된 대학생의 식이효능감, 식습관 및 자기효능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948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식이효능감, 식습관 및 자기효능감이 대학생의 비만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한 자료는 대전대학교의 남녀 대학생 247 명을 대상자로 하였으며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식이효능감, 식습관 및 자기효능감이 대학생의 비만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한 자료는 대전대학교의 남녀 대학생 247 명을 대상자로 하였으며 , SPSS program 을 사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 t-test, 상관관계,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조사 대상자의 65.3%가 정상체중, 22.1%가 과체중 또는 비만이였으며 12.7% 가 저체중이였으며 비만한 남학생 수가 비만한 여학생 수보다 많았다 . 대학생의 식이효능감, 식습관, 자기효능감과 대학생의 비만도는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여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식이효능감, 식습관, 자기효능감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 조사 대상자의 식이효능감, 식습관과 자기효능감이 대학생의 비만도에 미치는 상대적영향력은 규칙적인 식습관이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plore the differences in dietary self-efficacy , food habit, self-efficacy, obesity index according to gender, and the effects of dietary self-efficacy , food habit, self-efficacy on obesity index among university st...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plore the differences in dietary self-efficacy , food habit, self-efficacy, obesity index according to gender, and the effects of dietary self-efficacy , food habit, self-efficacy on obesity index among university student.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247university student who had been life in Daejeon city. The pilot study was used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survey instrument, Data were analyzed by the method of frequency , percentage. Cronbach 's a, factor analysis , t-test ,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WIN program .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partially differences in dietary self-efficacy , food habit. self-efficacy , obesity index according to gender 2) for university student. Food Habit had predicted to obesity index.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1
      • 연구내용 및 방법 3
      • 1. 연구대상 및 기간 3
      • 2. 연구도구 및 방법 3
      • 1) 식이 효능감 ( Dietary self-efficacy) 3
      • 서론 1
      • 연구내용 및 방법 3
      • 1. 연구대상 및 기간 3
      • 2. 연구도구 및 방법 3
      • 1) 식이 효능감 ( Dietary self-efficacy) 3
      • 2) 식습관(Food habit) 4
      • 3) 자기 효능감 (self-efficacy) 4
      • 4) 비만도 (Obesity index) 5
      • 3. 자료분석 6
      • 결과 및 고찰 6
      • 1.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6
      • 2. 성에 따른 식이효능감, 식습관, 자기효능감과 비만도의 차이 8
      • 3. 식이효능감, 식습관, 자기효능감이 대학생의 비만도에 미치는 영향 10
      • 요약 및 결론 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