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환경정치와 생태민주주의 = 일본의 환경 담론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498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민주주의의 담론을 살펴보면 일련의 강력한 ‘심의적 전회’(deliberative turn)를 발견할 수 있다. 심의에 대한 주목은 민주주의의 진정성에 대한 관심과 열망을 반영하고 있는데, 참된 심...

      최근 민주주의의 담론을 살펴보면 일련의 강력한 ‘심의적 전회’(deliberative turn)를 발견할 수 있다. 심의에 대한 주목은 민주주의의 진정성에 대한 관심과 열망을 반영하고 있는데, 참된 심의는 다양한 선호들에 대한 자기성찰을 요청한다. 이러한 논의는 오늘날의 환경사상 이론과 공명하고 있는데, 심의민주주의는 자기이익의 자기성찰 및 재정의함으로써 생태의 요청과 민주주의를 접합하게 된다. 민주주의와 환경문제에 대한 서구의 학술 담론들은 다양한 측면과 실제적인 검토를 하고 윤리규범과 정치적 실천 사이를 연결하는 가교(Cross-link)의 모색을 강조한다. 반면, 일본의 경우 환경윤리적 관점이 강조되고 있는데, 자연물의 존재양식에서 인간사회의 규범을 이끌어내고자 하는 매우 특수한 자연주의 윤리에 근거한 것이다. 그 때문에 현실적인 규범으로 수행될 수 있는 정치적 실천을 언급하지 않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환경에 대한 적합한 개념은 생태적 전체의 한 부분으로 자신의 발전을 이해시켜 준다. 우리가 우리 자신을 포함한 자연 세계의 모든 제반 요소의 상호관계를 제대로 이해한다면, 윤리적 배려와 정치적 실천은 자연스럽게 합당한 위치와 관계를 맺을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have recently witnessed the powerful ‘deliberative turn’ in the discourse of democracy. Attention to the deliberations is intended to reflect the interest and craving for the authenticity of democracy. These discussions are resonating with toda...

      We have recently witnessed the powerful ‘deliberative turn’ in the discourse of democracy. Attention to the deliberations is intended to reflect the interest and craving for the authenticity of democracy. These discussions are resonating with today’s environmental discourse. Deliberative Democracy compromises with the request of ecology and democracy by self-reflection and redefinition of self-interest. Western academic discourse on democracy and environmental issues for Cross-link of the connection between ethical norms and political practices and sought to highlight the various aspects and practical review. On the other hand, the case of Japan, the academic environment in terms of political discourse is still strong environmental ethical prejudices have. This natural objects exist in the form of very special crusade led naturalism norms of human society based on ethics. Because it has the features, not to mention the political practice that can be done in a realistic norms. Appropriate concept of the environment let it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oneself as part of ecological integrity. In other words, if we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interaction of all elements in the natural world, including our own, ethical considerations and political practices imply that an appropriate fit naturally into the correct position and relationship.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문제의 제기
      • Ⅱ. 환경정치 담론과 민주주의의 문제
      • Ⅲ. 일본의 환경정치와 생태민주주의 담론
      • Ⅳ. 마치며
      • 요약
      • Ⅰ. 문제의 제기
      • Ⅱ. 환경정치 담론과 민주주의의 문제
      • Ⅲ. 일본의 환경정치와 생태민주주의 담론
      • Ⅳ. 마치며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