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소와 고향 의식을 통한 한국미의 재현에 관한 연구-「고향회귀의 노래」소 그림을 중심으로- = A Study of Realization of the Beauty of Korea through Bull Painting and Nostalgia - Focusing on the Bull Painting Titled ‘The Homecoming So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994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적으로 나날이 황폐해져 가는 현대인에게 소와 고향 의식으로 그린 소 그림을 통해 인간의 순수한 감성으로 회귀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소 그림을 통한 한국미의 재...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적으로 나날이 황폐해져 가는 현대인에게 소와 고향 의식으로 그린 소 그림을 통해 인간의 순수한 감성으로 회귀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소 그림을 통한 한국미의 재조명을 통해 전통문화 역량을 상승시키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소와 고향의 표상성‚ 상호성, 한국미의 자생성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고 김성운의 「고향회귀의 노래」소 그림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소와 고향 전원은 고향 의식을 추억하는 상(像)이다. 고향의 상(像)은 작가의 독자성에 의해 형(形)의 원칙이 초월되어 한국 고유의 아졸미(雅拙美), 고졸미(古拙美)가 나타났다. 소와 아이들 동심은 실향 또는 이상향에 대한 회귀본능의 비표상적 상(像)이며 소와 아이들의 맑은 심상을 통해 고향 의식을 증폭시킨다.

      아이들의 전통놀이와 세시 명절의 풍속놀이는 고향 의식에 의한 소 그림의 주요 화재(畵材)이며 한국인만의 자생적 미학을 견고히 하는 항목이다. 소와 민화, 문자도는 고향 의식과 정감으로 이루어진 옛 그림으로서 현대 소 그림 작가들이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작품에 투영한다.

      고향 의식을 통한 소 그림에 대한 문제점은 국제화 미비, 한우의 대한 인식, 현대 민화에 대한 집중과 선택이며 문화융성을 위한 과제로 대두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영필, "한국의 美를 다시 읽는다" 돌베게 2005

      2 최몽룡, "한국미술의 자생성" 한길아트 1999

      3 김형국, "장욱진 張旭鎭 모더니스트 民畵匠" 悅話堂 2004

      4 이서지, "이서지‚ 한국풍속화집" 서문당 1999

      5 정병모, "민화, 가장 대중적인 그리고 한국적인" 돌베개 2012

      6 윤열수, "민화 1" 예경 2000

      7 전창운, "다시 풍경도둑놈‚ 전창운의 글과 그림" 미술공론사 1998

      8 강영희, "금빛 기억의 기쁨‚ 한국인의 미의식" 일빛 2004

      9 국립현대미술관, "근대의 꿈: 아이들의 초상" 컬처북스 2006

      10 김성운, "고향회귀의 노래 Ⅶ‚ 작품집" 갤러리라메르 2013

      1 권영필, "한국의 美를 다시 읽는다" 돌베게 2005

      2 최몽룡, "한국미술의 자생성" 한길아트 1999

      3 김형국, "장욱진 張旭鎭 모더니스트 民畵匠" 悅話堂 2004

      4 이서지, "이서지‚ 한국풍속화집" 서문당 1999

      5 정병모, "민화, 가장 대중적인 그리고 한국적인" 돌베개 2012

      6 윤열수, "민화 1" 예경 2000

      7 전창운, "다시 풍경도둑놈‚ 전창운의 글과 그림" 미술공론사 1998

      8 강영희, "금빛 기억의 기쁨‚ 한국인의 미의식" 일빛 2004

      9 국립현대미술관, "근대의 꿈: 아이들의 초상" 컬처북스 2006

      10 김성운, "고향회귀의 노래 Ⅶ‚ 작품집" 갤러리라메르 2013

      11 김성운, "고향회귀의 노래 Ⅵ‚ 작품집" 갤러리수 2012

      12 김성운, "고향회귀의 노래 Ⅴ‚ 작품집" 갤러리수 2010

      13 김성운, "고향회귀의 노래 Ⅳ‚ 작품집" 경인미술관 2009

      14 김성운, "고향회귀의 노래 Ⅲ‚ 작품집" 인사아트센터 2008

      15 김성운, "고향회귀의 노래 Ⅱ‚ 작품집" 단성갤러리 2007

      16 김성운, "고향회귀의 노래 Ⅰ‚ 작품집" 대림아트갤러리 2001

      17 노병곤, "고향 의식의 양상과 의미 - 지용시와천명시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6 : 1995

      18 竹內敏雄, "美學事典" 弘文堂 1993

      19 "http://krdic.naver.com (2014.05.02.)"

      20 "http://hanja.naver.com (2014.04.30.)"

      21 "http://blog.daum.net/gemgem (2014.05.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6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2-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보디자인학회(이윤수) -> 한국정보디자인학회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