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위내로 배출된 담석을 동반한 담낭-위 누공 1예 = The Cholecystogastric Fistula and the Transmigration of the Gallston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6043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nternal biliary fistula between the gallbladder or bile duct and intestinal tract is a rare disease. Because symptoms and signs of biliary fistula are not specific, these patients are commonly investigated with computed tomography, endoscopic ret...

      The internal biliary fistula between the gallbladder or bile duct and intestinal tract is a rare disease. Because symptoms and signs of biliary fistula are not specific, these patients are commonly investigated with computed tomography,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and barium study. Among them, a cholecystogastric fistula is a very rare type of biliary fistula. We recently experienced a case of cholecystogastric fistula and transmigration of the gallstone to the stomach. A 53-year- old woman was transferred with the impression of gallbladder cancer. On evaluating the cause of right upper abdominal pain and nausea, we confirmed the cholecystogastric fistula with gastroscopy, upper GI series and ERCP. Cholecystectomy and the repair of the fistula was don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담도 누공은 담도와 주위 장기와의 비정상적인 통로가 형성되는 것이다. 담도 누공은 대부분 담석에 의해 발생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담도 누공은 전구 증상 없이 나타날 수 있으며, 특이적...

      담도 누공은 담도와 주위 장기와의 비정상적인 통로가 형성되는 것이다. 담도 누공은 대부분 담석에 의해 발생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담도 누공은 전구 증상 없이 나타날 수 있으며, 특이적인 증상이 없고 진단이 다소 어렵다. 담도 누공은 대부분 담낭-십이지장 누공의 형태로 발견되나 위와 담낭 사이에 발생하는 누공은 매우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개인 의원에서 담낭암으로 의심되어 전원된 환자에서 담낭-위 누공 및 이 누공을 통해 위내로 배출된 담석을 진단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무증상 담낭-위 누공 1예" 20 : 322-326, 2000

      2 "담도 위누공 2예" 10 : 79-83, 1990

      3 "Spontaneous gastrointestinal biliary fistula" 82 : 723-730, 1946

      4 "Spontaneous enterobiliary fistulas" 137 : 769-772, 1973

      5 "Spontaneous biliary- enteric fistulas:some considerations on the management of gallstones" 131 : 680-683, 1976

      6 "ERCP로 진단된 총담관 - 십이지장 누공 97예의 임상적 분석" 31 : 82-91, 1998

      7 "Cholecystoenteric fistulas:significance and radiographic diagnosis" 65 : 168-173, 1976

      8 "Cholecystoenteric fistula(CF)is not a contraindication for laparoscopic surgery" 15 : 1038-1041, 2001

      9 "Cholecystocolonic fistula presenting as massive lower GI hemorrhage" 58 : 142-144, 2003

      10 "CT imaging of biliary enteric fistula" 23 : 172-176, 1998

      1 "무증상 담낭-위 누공 1예" 20 : 322-326, 2000

      2 "담도 위누공 2예" 10 : 79-83, 1990

      3 "Spontaneous gastrointestinal biliary fistula" 82 : 723-730, 1946

      4 "Spontaneous enterobiliary fistulas" 137 : 769-772, 1973

      5 "Spontaneous biliary- enteric fistulas:some considerations on the management of gallstones" 131 : 680-683, 1976

      6 "ERCP로 진단된 총담관 - 십이지장 누공 97예의 임상적 분석" 31 : 82-91, 1998

      7 "Cholecystoenteric fistulas:significance and radiographic diagnosis" 65 : 168-173, 1976

      8 "Cholecystoenteric fistula(CF)is not a contraindication for laparoscopic surgery" 15 : 1038-1041, 2001

      9 "Cholecystocolonic fistula presenting as massive lower GI hemorrhage" 58 : 142-144, 2003

      10 "CT imaging of biliary enteric fistula" 23 : 172-176, 1998

      11 "Biliary-enteric fistulas:report of five cas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9 : 1145-1151, 1999

      12 "Biliary intestinal fistula" 120 : 27-31, 1970

      13 "Biliary enteric fistula" 105 : 693-705, 1957

      14 "Biliary enteric fistula" 153 : 527-531, 198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1-12-2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 Clinical Endoscopy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 Clinical Endoscop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6-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KCI등재후보
      2006-06-21 학술지등록 한글명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3 0.22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1 0.18 0.38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