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경직성 편마비에서 염전 변형에 따른 보행 양상 = 예비 보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1681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경직성 편마비에서 염전 변형에 따른 횡단면에서의 보행 양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대퇴골 전염각이 30˚ 이상이거나, 대퇴-족부각이 -5˚ 이하,25˚ 이상이거나, 족부진�...

      목적: 경직성 편마비에서 염전 변형에 따른 횡단면에서의 보행 양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대퇴골 전염각이 30˚ 이상이거나, 대퇴-족부각이 -5˚ 이하,25˚ 이상이거나, 족부진행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심한 족부 변형이 있는 경직성 편마비 환자 중 보행분석을 시행한 5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남자 35명과 여자 20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8.4세였다. 골반 보상을 보인 49명(89.1%) 중 27명(55.1%)에서 족부진 행각이 정상적이었고 나머지 22명(44.9%)은 내족지(19명) 혹은 외족지(3명) 보행을 하였다, 골반 보상을 보이지 않은 6명 (10.9%)중 3명은 내족지, 2명은 외족지, 1명은 정상적인 족부진행각으로 보행하였다. 51명(92,7%)에서 대퇴 전염각이 증가하였고,11명(19.6%)이 경골의 염전 변형이 있었으며, 30명(54.5%)은 족부 변형을 동반하고 있었다. 골반 보상, 고관절의 내회전 및 족부진행각을 기준으로 보행양상을 6군으로 분류하였으며, 이에 따른 해부학적인 특징을 분석할 수 있었다.
      결론: 경직성 편마비의 염전 변형에 따른 보행양상에 대한 분류법을 제시하는 바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ait patterns in transverse plane and the torsional deformities (TD). Materials and Methods: We evaluated the clinical, radiological, and three-dimensional gait analysis data of 55 spastic hemiple...

      Purpose: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ait patterns in transverse plane and the torsional deformities (TD).
      Materials and Methods: We evaluated the clinical, radiological, and three-dimensional gait analysis data of 55 spastic hemiplegics with TD. We define the TD as follows: 1) femoral anteversion ≥30˚,2) thigh foot angle ≤5˚ or ≥25˚,3) severe foot deformities that could affect the foot progression angle (FPA).
      Results: There were 35 males and 20 females with an average age of 8.4 years. 49 patients (89.1%) showed pelvic compensation (PC). In the PC group, 27 patients (55.1%) showed physiologic FPA. However, 22 patients (44.9%) still showed in-toeing (19 patients) or out-toeing (3 patients) gait. Out of the 6 patients (10.9%) who did not showed PC, we could observe in-toeing, out-toeing gait, and physiologic FPA from 3,2, and 1 patients, respectively. 51 patients (92.7%) had increased femoral anteversion. There were 11 patients (19.6%) with an internal (2 patients) or an external tibial torsion (9 patients), and 30 patients (54.5%) with foot deformities.
      Conclusion: We classified the gait patterns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gait pattern and types of torsional deformit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연구대상 및 방법
      • 결과
      • 고찰
      • 결론
      • 참고문헌
      • 연구대상 및 방법
      • 결과
      • 고찰
      •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The measurement of femoral anteversion.A comparison of the fluoroscopic and biplane roentgenographicmethods of measurement" 86 : 13-15, 1972

      2 "The effect of intertrochanteric femoral derotational osteotomy oncoronal plane of the hip in spastic cerebral palsy -Kinematic andkinetic study-" 35 : 89-96, 2000

      3 "Spastichemiplegic cerebral palsy and the femoral derotation osteotomy:effect at the pelvis and hip in the transverse plane during gait" 23 : 314-320, 2003

      4 "Osteotomy of the hip in children:posteriorapproach" 62-A : 571-575, 1980

      5 "Gait patterns in spastic hemiplegiain children and young adults" 69-A : 437-441, 1987

      6 "Gait analysis in cerebral palsy" London, MacKeith Press 12-18, 1991

      7 "Femoral anteversion and neck-shaft angle inchildren with cerebral palsy" 364 : 194-204, 1999

      8 "Effectof intertrochanteric femoral derotational osteotomy on sagittal planekinematic and kinetic study of the hip and pelvis in spastic cerebralpalsy-A preliminary report-" 33 : 1753-1766, 1998

      9 "Computedtomography in the measurement of femoral anteversion" 1 : 299-306, 1978

      10 "Comparison of proximal and distal rotational femoral osteotomy inchildren with cerebral palsy" 23 : 150-154, 2003

      1 "The measurement of femoral anteversion.A comparison of the fluoroscopic and biplane roentgenographicmethods of measurement" 86 : 13-15, 1972

      2 "The effect of intertrochanteric femoral derotational osteotomy oncoronal plane of the hip in spastic cerebral palsy -Kinematic andkinetic study-" 35 : 89-96, 2000

      3 "Spastichemiplegic cerebral palsy and the femoral derotation osteotomy:effect at the pelvis and hip in the transverse plane during gait" 23 : 314-320, 2003

      4 "Osteotomy of the hip in children:posteriorapproach" 62-A : 571-575, 1980

      5 "Gait patterns in spastic hemiplegiain children and young adults" 69-A : 437-441, 1987

      6 "Gait analysis in cerebral palsy" London, MacKeith Press 12-18, 1991

      7 "Femoral anteversion and neck-shaft angle inchildren with cerebral palsy" 364 : 194-204, 1999

      8 "Effectof intertrochanteric femoral derotational osteotomy on sagittal planekinematic and kinetic study of the hip and pelvis in spastic cerebralpalsy-A preliminary report-" 33 : 1753-1766, 1998

      9 "Computedtomography in the measurement of femoral anteversion" 1 : 299-306, 1978

      10 "Comparison of proximal and distal rotational femoral osteotomy inchildren with cerebral palsy" 23 : 150-154, 2003

      11 "Clinicaldetermination of femoral anteversion.A comparison with establishedtechniques" 74-A : 820-830,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4-1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6 0.06 0.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08 0.08 0.24 0.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