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커뮤니티 시설로서의 교회공간 활용에 대한 성공요인 분석 : 서울시의 중·대형 장로교회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success factors contributing to utilization of a church as a commnunity facility : Focused on midsize and large presbyterian churches in seoul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232626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0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164 p. : 삽도 ; 26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박진아
        국문초록 : p.x-xi
        Abstract: p.161-162
        참고문헌: p.143-144

      • 소장기관
        •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는 60, 70년대 산업화를 거쳐 도시화된 이후 기성시가지에서는 여기저기서 재건축, 재개발이 벌어지고 있다. 하지만 주거공간으로서의 공간 재창조가 아닌 오로지 개발 논리에 의해 ...

      우리나라는 60, 70년대 산업화를 거쳐 도시화된 이후 기성시가지에서는 여기저기서 재건축, 재개발이 벌어지고 있다. 하지만 주거공간으로서의 공간 재창조가 아닌 오로지 개발 논리에 의해 진행되다 보니 사람들이 어울려 공동체를 이룰 수 있는 여건은 마련되고 있지 않다. 이로 인해 도시의 재개발에서 사회적 측면이 강화되고 있고 가장 강조되는 것이 커뮤니티의 역할이다. 하지만 공공에서의 공급이라는 측면은 재정상의 문제로 한계가 있다. 이로 인해 커뮤니티시설로서 활용할 수 있는 잠재공간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지역 내 존재하는 잠재공간들을 고려해 보았고 그 대상으로 백화점이나 할인마트의 문화강좌, 문화강좌등을 위한 사설 학원, 종교시설에 의한 부설기관에 대해 조사해 보았다. 교회의 대형화와 현대화로 인해 시설적으로 쾌적한 공간을 가지고 있고, 교회 내 다양한 인력의 활용 할 수 있으며, 비영리를 목적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공급하는 상황과 지역적으로 고르게 존재하며 평일에는 대부분의 공간의 비어있는 사실을 통해 교회를 연구대상으로 정하게 되었다. 이러한 교회공간을 지역 커뮤니티시설로서 활용하기 위해 기존에 잘 활용되고 있는 교회를 대상으로 종교시설임에도 불구하고 어떤 요인에 의해 성공적으로 활용되고 있는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커뮤니티 시설로서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 공공기관에 의해 커뮤니티 시설로서 운영되고 있는 주민자치센터와 비교하였다. 또한 주민자치센터의 기능에 따라 교회를 유형화 하여 지역시설과 어떤 관계 속에서 운영되고 있는지도 분석하였다. 또한 실제 주민들이 교회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커뮤니티시설로서 교회를 활용하는 것에 대한 인식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적용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대상 교회가 가지고 있는 특성분석과 프로그램 이용 주민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커뮤니티시설로서 활용하기 위한 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따라서 주민자치센터의 기능에 따라 분류한 교회의 커뮤니티시설로서 성공요인과 공동체 의식에 대해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주민들이 교회라는 공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종교시설과 커뮤니티시설 이용에는 상관없다는 의견과 프로그램이 좋다면 문제되지 않는 다는 의견이 대다수였다. 뿐만 아니라 기독교와 대치될 수 있는 불교인들도 대다수가 프로그램이 좋다면 시설 이용과는 상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종교시설이라도 시설이나 프로그램이 제대로 갖추어져 있다면 지역주민들은 이용할 의사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지역주민을 위한 커뮤니티시설로서 교회를 활용함에 있어 고려해야할 요소들을 파악하였다. 입지에서는 일상생활의 중심 동선인 시장과 같은 곳이 중심이 되어야 하고, 인적/물적 자원의 질에서는 우수한 강사가 가장 중요하다고 나타났고, 건축물의 배치는 한 단지 안에서 다양한 시설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외부 독립형이 효과적이며 커뮤니티시설을 위한 출입구가 따로 종교적 색채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라고 나타났다. 프로그램은 지역문제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다. 공공기관과의 연계는 공공기관의 재정지원이 가장 중요시 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주민자치역량 기능을 고려한 경우에는 입지와 건축물 배치를 중요시 하였는데, 세부적으로 보면 입지는 주거지 내부, 건축물 배치는 외부 독립형-분리형 출입구를 중요시 하고 있었다. 지역복지 기능을 고려한 경우에는 건축물 배치요인이 중요시 되어 졌고, 세부적으로 보면 인접단지형을 선호하였다. 문화여가 기능을 고려한 경우에는 입지 요인이 좀 더 중요시 되어졌고, 세부적으로 보면 지역중심공간이나 주거지 내부가 비슷한 선호도를 보였다. 주민정보교육 기능을 고려한 경우에는 입지와 인적/물적자원의 질 요인이 중요시 되어졌고, 세부적으로 보면 입지는 지역중심공간, 인적/물적자원의 질은 우수한 강사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지역주민들이 교회공간의 활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으며 성공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어떤 요인을 우선 적으로 고려해야 하는지 알 수 있었다. 교회가 추구하는 기능적 특성에 따라 고려해야 할 요소가 차이가 있으며 이런 요소들이 주민들의 이용정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음을 파악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urbanization of our country resulting from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60s and the 70s, existing cities have gone through much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However, these projects focused on plain development, not the recreation of res...

      Since the urbanization of our country resulting from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60s and the 70s, existing cities have gone through much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However, these projects focused on plain development, not the recreation of residential space. This has limited social interaction and formation of communities among people. As a result, social factors such as the role of community have been emphasized in the redevelopment of cities. However, there are limits to using public properties as community facilities due to budget limitations. Therefore, we have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other potential spaces for community facilities.
      This thesis explores the various candidates such as lecture halls in department stores and discount stores, private institutions, or religious facilities. Churches namely have grown in size and become modernized to provide a comfortable environment, have available manpower, hold various non-profit activities, and are unused during most weekdays. Due to these factors, churches were chosen as prime research targets. In order to adopt churches as community facilities, the study of factors contributing to the success of existing churches being used for one reason or another as public facilities, is necessary. First off, these churches were compared to government-operated municipal offices that were being used as community facilities. From this comparison, the similarity in structure, application as well as their role in society was studied. Also, the applicability of churches as community facilities was analyzed based on residents' opinions of the church. From this analysis, a survey was derived to pinpoint key contributing factors, and also to study the qualities of the church in question.
      The following conclusion regarding the community spirit and success factors was derived from the comparison of municipal offices and churches playing the role of a community facility.
      The majority of surveyed residents felt that they did not mind using religious facilities as community facilities as long as the programs provided were good. Moreover, this opinion was shared not only by the Christian community, but included the Buddhist community. Conclusively, residents were willing to adopt religious facilities as community facilities as long as the proper programs and facilities were present.
      Factors pertaining to the usage of churches as a community facility for the residents were pinpointed. The church would have to be in an accessible location such as the market, able to provide quality lecturers in terms of manpower, provide an independent complex, with a separate entrance in order to separate the community facility from the religious facility, where numerous activities may be held.. Programs which suited local needs were favored. Interaction with government sectors should be based mostly on funding.
      To provide certain functionalities of a municipal office, location and building structure was important. As for location, the facility needed to be in a residential area, and the building structure requires an external independent complex with a separate entrance. Structural factor was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when the facility was to act as a public welfare center. Comparatively, for leisure purposes, location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namely a central location for the region, or in the middle of a residential area. For resident education purposes, key factors were the quality of manpower and location, namely central location and quality lecturers.
      This research studies the public opinion regarding the use of church facilities, as well as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successful operation and adaptation of such a facility. There were considerations that had to be made due to the primary purpose of the church, and these factors were shown to affect the residents’ ability to utilize such a facil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Ⅰ장서론 =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 1. 연구의 배경 = 1
      • 2. 연구의 목적 = 2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3
      • 제Ⅰ장서론 =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 1. 연구의 배경 = 1
      • 2. 연구의 목적 = 2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3
      • 1. 연구의 범위 = 3
      • 2. 연구의 방법 = 3
      • 제Ⅱ장 이론 고찰 = 7
      • 제1절 이론고찰 = 7
      • 1. 커뮤니티(Community)및 커뮤니티 기능의 개념 = 7
      • 2. 커뮤니티(Community)시설의 복합화 = 19
      • 3. 커뮤니티(Community)시설과 교회 = 23
      • 제2절 선행연구 검토 = 34
      • 1. 교회의 커뮤니티 시설로서의 공간 활용에 관한 연구 = 34
      • 2. 커뮤니티시설로서의 교회 공간 이용 후 평가에 관한 연구 = 35
      • 3.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36
      • 4. 선행연구의 종합 및 본 연구의 차별성 = 37
      • 제Ⅲ장 분석의 틀 = 39
      • 제1절 분석 과정 및절차 = 39
      • 1. 분석과정 및절차 = 39
      • 2. 분석방법 = 40
      • 제2절 대상지 선정 = 41
      • 1. 연구 대상지 선정 기준 = 41
      • 2. 연구 대상지 선정 = 42
      • 제3절 조사 및 분석 방법 = 48
      • 1. 전문가 설문 설계 = 48
      • 2. 일반 설문 설계 = 51
      • 제Ⅳ장 커뮤니티시설로서 교회공간 활용을 위한 성공요인 분석 = 55
      • 제1절 커뮤니티시설로서 교회의 활용 가능성 검토 = 55
      • 1. 분석기준 = 55
      • 2. 대상지 교회의 활용현황 분석 = 56
      • 3. 대상지 교회의 지역구 커뮤니티 프로그램 현황 분석 = 68
      • 4. 소결 = 76
      • 제2절 전문가 설문을 통한 성공요인 분석 = 79
      • 1. 분석 자료의 기초통계 = 79
      • 2. 계층에 따른 중요도 분석 = 80
      • 3. 소결 = 89
      • 제3절 일반시민 설문을 통한 커뮤니티시설 이용현황 분석 = 90
      • 1. 분석 자료의 기초통계 = 90
      • 2. 지역내 커뮤니티 시설 이용 분석 = 92
      • 3. 지역내 교회의 커뮤니티 시설 이용 분석 = 92
      • 4. 소결 = 99
      • 제4절 교회 커뮤니티시설 이용자 설문을 통한 성공요인 분석 = 106
      • 1. 분석 자료의 기초통계 = 106
      • 2. 커뮤니티 시설로서 교회공간에 대한 주민 인식분석 = 108
      • 3. 커뮤니티의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 131
      • 4. 소결 = 134
      • 제Ⅴ장 결론 = 137
      • 제1절 연구의 요약 = 137
      • 제2절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 = 14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