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CIPP 평가모형에 따른 노인의료복지시설 프로그램 평가척도 개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5950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bases on the status quo of Korea that as the desire for happiness increase and diversify, the long-term care(LTC) facilities which can are required to provide numerous services to gratify it. Thus, LTC facility service syste...

      The purpose of this study bases on the status quo of Korea that as the desire for happiness increase and diversify, the long-term care(LTC) facilities which can are required to provide numerous services to gratify it. Thus, LTC facility service system which can actively reflect the desire should be well established. This study would offer basic data for planning and evaluating the LCT facility program by developing program rating scale which can assist planning, implement, and suggesting alternatives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relevant literature of the program and previous research, the rationale for the situation, input, process, evaluation area and item development of the CIPP evaluation model can be obtained.
      Second, this study establishes the preliminary evaluation areas and items based on literature review, expert consultation and opinion and program field survey,
      Third, based on questionnaires of the elderly medical-welfare institution program evaluation area and item aimed at the LCT facilities workforce, this study defines the measurement scale for program evaluations through factorial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Therefore, this study develops the program evaluation scale of LCT facility program to assist the program development for LCT facility and the program for the facility. Also, this study develops sub-questions by setting evaluation areas as situation evaluation area, input evaluation area based on the CIPP evaluation model.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a customized program for future LCT customer based on basic data to assist the overall program evaluation by planning and promoting the program.
      Keywords: Elderly Medical-Welfare Facilities Program, CIPP Evaluation Model, Development of Rating Scal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필요성은 현재 우리나라는 삶의 행복감을 가지려는 욕구가 높아지고, 다양해짐으로써 노인의료복지시설에게도 그 욕구에 상응할 수 있는 많은 서비스를 요구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의 필요성은 현재 우리나라는 삶의 행복감을 가지려는 욕구가 높아지고, 다양해짐으로써 노인의료복지시설에게도 그 욕구에 상응할 수 있는 많은 서비스를 요구받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욕구를 적극 반영할 수 있는 노인의료복지시설 프로그램의 체계적인 관리와 평가를 이룰 수 있도록 교육프로그램에서 활발하게 사용 중인 Stufflebeam의 CIPP 평가모형을 이용하여 프로그램 담당자들의 요구를 반영한 동시에 책무성을 강화하도록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상황평가(Context evaluation), 투입평가(Input evaluation), 과정평가(Prosess evaluation), 산출평가(Product evaluation) 4개의 과정을 통한 노인의료복지시설 프로그램 평가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CIPP 평가모형에 따른 노인의료복지시설 프로그램 평가척도 개발에 따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준거 설정배경에서 프로그램 관련 선행연구논문 및 저서, 학술지, 발표자료, 장기요양기관평가 관련자료 등을 통한 CIPP 평가모형의 4가지 항목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프로그램 실태조사를 통한 영역간의 노인의료복지시설 프로그램 예비 평가 영역 내용과 항목을 구축하여 그 준거와 영역을 설정할 수 있었다.
      둘째, 평가준거 개발에서 전문가 집단 중심의 포커스 그룹(Focused Group)의 의견조사를 거쳐 예비 영역과 항목을 확정하고,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의 설문조사를 거쳐 SPSS 0.8과 AMOS 18 프로그램을 이용한 기술통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통해 전문가 협의 후 프로그램 평가 준거를 구축하였다.
      셋째, 평가준거 확정에서는 모든 부분을 수렴, 정리하여 평가기준을 설정하고, 최종 CIPP 평가모형에 따른 노인의료복지시설 프로그램 평가 척도의 영역과 항목을 확정하였다.
      따라서 노인의료복지시설의 프로그램 개발과 시설에 필요한 프로그램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노인의료복지시설 프로그램 평가척도 개발을 하였으며, CIPP 평가 모형에 근거하여 상황평가 영역, 투입평가 영역, 과정평가 영역, 산출평가 영역으로 평가 영역들을 설정하여 하위 문항을 개발하였다. 노인요양시설 대상자에게 맞춤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프로그램의 기획, 계획, 추진에 따른 전반적인 프로그램 평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7
      • Ⅱ. 이론적 배경 8
      • 1. 노인의료복지시설 평가의 이해 8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7
      • Ⅱ. 이론적 배경 8
      • 1. 노인의료복지시설 평가의 이해 8
      • 2. CIPP 평가모형 12
      • 3. CIPP 평가모형의 선행 연구 17
      • Ⅲ. 연구 방법 19
      • 1. 연구 대상 19
      • 2. 연구 절차 20
      • 3. 자료 분석 22
      • Ⅳ. 결 과 23
      • 1. 노인의료복지시설 프로그램 예비 평가 영역과 항목설정 23
      • 1) 문헌연구 23
      • 2) 노인의료복지시설 프로그램 현장실태조사 24
      • 3) 노인의료복지시설 프로그램 평가준거와 영역 확정 31
      • 2. 노인의료복지시설 프로그램 평가 영역과 항목설정 38
      •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8
      • 2) CIPP 평가모형 영역들의 기술통계 39
      • 3) CIPP 평가모형 영역의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42
      • 4) CIPP 평가모형 영역의 확인적 요인분석 48
      • 5) 구성개념들 간의 상관관계 55
      • 6) 개발된 프로그램 평가 영역과 항목 57
      • Ⅴ. 논 의 61
      • Ⅵ. 결 론 67
      • 1. 요약 67
      • 2. 결론 69
      • 3. 제언 71
      • 참고문헌 73
      • 국문초록 80
      • Abstract 82
      • <부록 1> 84
      • <부록 2> 88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곽효문, "사회복지행정론", 조명문화사, 신정, 2009

      2 김석우, "교육평가의 이해", 학지사, 서울: 학지사, 2015

      3 배호순, "교육프로그램평가론", 원미사, 2008

      4 정승혜, "광고연구의 질적 방법론", 커뮤니케이션북스,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5 박용순, "「사회복지시설운영론」", 창지사, 창시자, 2012

      6 이기용, "교육복지 정책 평가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9

      7 이윤식, "정부성과관리와 평가제도", 서울: 대영문화사, : 32, 2006

      8 이인수, "21세기 실버산업과 노후생활", 대왕사, 서울, 2007

      9 강병서, "인과분석을 위한 연구방법론", 무역경영사, 무역경영사, 2002

      10 김성재, "질적 연구로서의 포커스그룹", 군자출판사, 2006

      1 곽효문, "사회복지행정론", 조명문화사, 신정, 2009

      2 김석우, "교육평가의 이해", 학지사, 서울: 학지사, 2015

      3 배호순, "교육프로그램평가론", 원미사, 2008

      4 정승혜, "광고연구의 질적 방법론", 커뮤니케이션북스,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5 박용순, "「사회복지시설운영론」", 창지사, 창시자, 2012

      6 이기용, "교육복지 정책 평가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9

      7 이윤식, "정부성과관리와 평가제도", 서울: 대영문화사, : 32, 2006

      8 이인수, "21세기 실버산업과 노후생활", 대왕사, 서울, 2007

      9 강병서, "인과분석을 위한 연구방법론", 무역경영사, 무역경영사, 2002

      10 김성재, "질적 연구로서의 포커스그룹", 군자출판사, 2006

      11 이미영, "노인장기요양 서비스 성과 연구", 박사학위논문. 백석대학교 기독교전 문대학원, 2010

      12 김혜숙, "교육프로그램 평가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교육과학사, 2014

      13 이원석, "우리는 왜 프로그램을 평가하는가?", 한 국교육평가학회, 교육평가연구 제26권 제 1호, 2013

      14 임우석, "노인장기요양기관 평가기법의 탐색",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국제신학 제 13권, : 294, 2011

      15 윤명희, 임현성,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평가도구 개발", 한국교육평가학회, 교육평가연구, Vol.21 No.4, 2008

      16 이원주, "노인요양시설 성과측정모형 개발 연구", 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 학원, 2014

      17 김태준, "기업학교의 평가모형, 절차 및 활용방안", 교육문제연구소, 16, 67-81, 2000

      18 김윤정, 문순영, "돌봄 정책의 가족주의 성격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한국가족자원경영 학회지, Vol.14 No.3, 2010

      19 김남식, "노인요양시설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국제신학대 학원, 2013

      20 조철호, "SPSS와 AMOS활용 구조방정식모형 논문통계분석", 청람, 2015

      21 신혜원, "노인놀이치료의 통합적 컨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고 려대학교 대학원, 2009

      22 엄기욱,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서비스 질 향상 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 2008

      23 김통원, "한국사회복지시설의 표준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 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1998

      24 정진국, "CIPP 평가모형에 대한 대학평가인정제의 발전방향 탐색",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25 정제인, "노인요양시설의 간호서비스 질 평가 지표 개발 및 적용", 한국간호과학회, 연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26 김혜숙, 백순근, "이해당사자 기반의 u-러닝 연구학교 프로그램 평가 연구", 한국교육평가학회, 한국교육평가학회, 교 육평가연구 제22권 제2호, pp.343-368, 2009

      27 김현준, "시설에 있는 치매노인의 주요문제 측성에 대한 기초연구", 감성과 학, Vol.10 No.3, 2007

      28 문영규, 정세희, "cipp모형을 적용한 사회서비스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경인행정학회, 한국정책 연구, vol.13 no.2, 2013

      29 배호순, "교육적 성취수행 지표와 평가적 기능에 관한 분석적 고찰", 교육평가 연구, Vol.7 No1, 1994

      30 조주영, "치매노인요양시설의 치유환경 평가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31 최지영, "CIPP 평가 모형에 의한 교육 실습 프로그램의 평가 준거 개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32 이승진, "인지중심의 군 정신교육 개선방안 연구 : CIPP 모형을 중심으로",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33 이정은, "CIPP 모형에 기반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직업교육 직무연수 평가",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34 김석우, 이대용, "CIPP 평가모형 적용을 통한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 평 가지표 개발", 교육평가연구, 25(2), 145-166. 2012, 2009

      35 김현지, "음악치료가 노인 우울증 환자의 학습된 무기력감에 미치는 영향", 한세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36 권석만, "인지행동적 가족치료이론의 개관- 가족도식 및 가족신념을 중심으로",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08

      37 정태연, "한국노년학에서 다룬 노인의 심리적 특성, 역사적 고찰과 미래의 과제", 한국노년학. Vol 28(4), pp. 815-829, 2008

      38 전화춘, "『초등학교 특별보충과정 프로그램 평가척도 개발:CIPP 평가모형의 적용』", 한국초등교육학회,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9

      39 임혜숙, 황희숙, "“장기요양시설 서비스 만족도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한국노인복지학회, 노인복지연구 54권0호, pp.237-261, 한국노인복지학회, 2011

      40 이원석, "프로그램 평가에서의 맥락(context)과 일반화 (generalization): 의의와 조화 가능성", 한국교육평가학회, 교육평가연구, 24(1), 73-88, 2011

      41 김애자, "CIPP 평가모형에 의한 전래동요 프로그램 평가준거 개발과 유아교육 기관에 적용방안",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8

      42 송영수, "대학 영어진용강좌(EMI)의 학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CIPP 평가모형을 바탕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4(3), 61-84, 2010

      43 임동진, "미국지방정부 성가평가 연구를 통한 한국 지방정부의 성과평가 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지방정구연구, Vol.8 No.3, 73-93, 2004

      44 이영민, 홍성민, 최영섭, "CIPP 평가모형 구성요소에 기초한 중소기업 훈련 컨 소시업 운영기관 담당자의 인식조사", 인력개발연구, 11(2), 91-113, 2009

      45 강윤회, "CIPP 평가모형에 근거한 서울형 자유학기제 평가: 중학교 진로 교육과 진학지도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중부대학교 대학원, 2015, 2014

      46 김정식, "주제중심 통합적 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요양시설 노인의 우울과 자살 생각 감소에 미치는 효과", 경운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경운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3

      47 강진숙,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장기요양시설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불안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7

      48 송영종, "사회복지시설 프로그램 및 서비스 평가지표 개선에 관한 연구: 광주/ 전남 사회복지시설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목표대학교 대학원, 2016

      49 김정희, "사회적지지가 감정노동과 구성원의 서비스품질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노인요양시설종사자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대구한의대 대학원, 2015

      50 이만표, "CIPP 평가모형을 적용한 직업능력개발교육 프로그램 평가와 교육 요 구조사: K1 교육기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성인교육학회, Andragogy Today, 15(4), 173-203, 2012

      51 박순자, "노인여가서비스 전달체계의 성과평가에 관한 연구 : 공급자 측면의 효과성과 이용자 측면의 만족도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 교 대학원,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