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례 연구를 통한 스마트 시티 플랫폼의 서비스를 위한 참조 모델 = Reference Model for the Service of Smart City Platform through Case Stud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363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도시 발전에 따른 부작용들을 해결하기 위한 한 방안으로 도시에 정보 통신 기술이 융합된 스마트 시티를 구축하고 있다. 스마트 시티 플랫폼은 스마트 시티 서비스의 개발 및 통합을 지원...

      도시 발전에 따른 부작용들을 해결하기 위한 한 방안으로 도시에 정보 통신 기술이 융합된 스마트 시티를 구축하고 있다. 스마트 시티 플랫폼은 스마트 시티 서비스의 개발 및 통합을 지원해야 한다. 따라서 스마트 플랫폼이 지원해야 하는 기반 기술과 기능적 및 비 기능적 요구 사항을 분석하였다. 스마트 시티 플랫폼이 지원하는 기반 기술로 사물 인터넷, 클라우드 컴퓨팅, 빅 데이터 및 사이버-물리 시스템의 4가지 범주로 분류하고 구현 가능한 기능적 및 비 기능적 요구 사항과 스마트 시티 플랫폼의 참조 모델을 도출했다. 스마트 시티 플랫폼의 참조 모델은 도시관리자에게 특정 도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능적 또는 비 기능적 요구 사항에 따른 기반 기술의 투자와 서비스 개발 범위에 대한 의사 결정에 활용하고. 플랫폼 개발자에게 스마트 시티 구축을 위한 소프트웨어 플랫폼의 기능적 및 비 기능적 요구 사항과 구현 기술을 식별하고 결정하는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a way to solve the side effects of urban development, a smart city wit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converges in the city is being built. For this, a smart city platform should support the development and integration of smart city serv...

      As a way to solve the side effects of urban development, a smart city wit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converges in the city is being built. For this, a smart city platform should support the development and integration of smart city services. Therefore, the underlying technology and the functional and non-functional requirements that the smart platform must support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is, we classified the Internet of Things, cloud computing, big data and cyber-physical systems into four categories as the underlying technologies supported by the smart city platform, and derived the functional and non-functional requirements that can be implemented and the reference model of the smart city platform. The reference model of the smart city platform is used for decision-making on investment in infrastructure technology and the development scope of services according to functional or non-functional requirements to solve specific city problems for city managers. It provides platform developers with guidelines to identify and determine the functional and non-functional requirements and implementation technologies of software platforms for building smart cit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관희, "제조 빅데이터 시스템을 위한 효과적인 시각화 기법"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8 (28): 1301-1311, 2017

      2 강형묵, "제조 분야 사이버 물리 시스템(CPS) 연구 동향 분석"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5 (25): 3-28, 2018

      3 서병민, "스마트 캠퍼스 생태계를 위한 플랫폼 구축에 관한 연구: 대학생 핵심역량개발과 취업지원을 중심으로" 대한산업경영학회 17 (17): 39-49, 2019

      4 G. Anastasi, "Urban and social sensing for sustainable mobility in smart cities" IEEE 1-4, 2013

      5 Y. W. Lee, "U-city portal for smart ubiquitous middleware" 1 : 609-613, 2010

      6 R. Petrolo, "Towards a cloud of things smart city" 9 (9): 2014

      7 W. Apolinarski, "The GAMBAS middleware and SDK for smart city applications" IEEE 117-122, 2014

      8 L. Sanchez, "SmartSantander: IoT experimentation over a smart city testbed" 61 : 217-238, 2014

      9 A. Caragliu, "Smart cities in europe" 18 (18): 65-82, 2011

      10 M. Bain, "Sentilo-Sensor and Actuator Platform for smart Cities," 20 : 2014

      1 유관희, "제조 빅데이터 시스템을 위한 효과적인 시각화 기법"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8 (28): 1301-1311, 2017

      2 강형묵, "제조 분야 사이버 물리 시스템(CPS) 연구 동향 분석"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5 (25): 3-28, 2018

      3 서병민, "스마트 캠퍼스 생태계를 위한 플랫폼 구축에 관한 연구: 대학생 핵심역량개발과 취업지원을 중심으로" 대한산업경영학회 17 (17): 39-49, 2019

      4 G. Anastasi, "Urban and social sensing for sustainable mobility in smart cities" IEEE 1-4, 2013

      5 Y. W. Lee, "U-city portal for smart ubiquitous middleware" 1 : 609-613, 2010

      6 R. Petrolo, "Towards a cloud of things smart city" 9 (9): 2014

      7 W. Apolinarski, "The GAMBAS middleware and SDK for smart city applications" IEEE 117-122, 2014

      8 L. Sanchez, "SmartSantander: IoT experimentation over a smart city testbed" 61 : 217-238, 2014

      9 A. Caragliu, "Smart cities in europe" 18 (18): 65-82, 2011

      10 M. Bain, "Sentilo-Sensor and Actuator Platform for smart Cities," 20 : 2014

      11 P. Ballon, "Is there a need for a cloud platform for european smart cities?" 1-7, 2011

      12 A. Zanella, "Internet of things for smart cities" 1 (1): 22-32, 2014

      13 A. Elmangoush, "Design aspects for a reference M2M communication platform for smart cities" IEEE 204-209, 2013

      14 K. Takahashi,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ervice API for large-scale house log in smart city cloud" IEEE 815-820, 2012

      15 C. Wu, "Concinnity: A generic platform for big sensor data applications" 1 (1): 42-50, 2014

      16 J. A. Galache, "Clout: Leveraging cloud computing techniques for improving management of massive iot data" 324-327, 2014

      17 K. Tei, "ClouT: Cloud of things for empowering the citizen clout in smart cities" IEEE 369-370, 2014

      18 F. J. Villanueva, "Civitas: The smart city middleware, from sensors to big data" IEEE 445-450, 2013

      19 S. Thornton, "Chicago’s WindyGrid: Taking Situational Awareness to a New Level" Data Smart City Solutions 2013

      20 B. Cheng, "Building a big data platform for smart cities:Experience and lessons from santander" IEEE 592-599,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22-06-01 평가 등재학술지 취소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2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디지털정책연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03-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한국디지털정책학회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9 1.59 1.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5 1.34 1.61 0.6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