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전기 재상의 임명과정과 宣麻儀 = State Power and Ritual on high-ranking official post in the medieval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829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eonma(宣麻) is an act of proclaiming a document to the bureaucracy to appoint high-ranking official posts. So Seonma-ui(宣麻儀) is a ceremony to proceed to the Seonma. In the early Goryeo dynasty, only high-ranking posts in the Chancellery such ...

      Seonma(宣麻) is an act of proclaiming a document to the bureaucracy to appoint high-ranking official posts. So Seonma-ui(宣麻儀) is a ceremony to proceed to the Seonma. In the early Goryeo dynasty, only high-ranking posts in the Chancellery such as chancellor(門下侍中), is the object of this ritual.
      I think that the King himself can be imprinted to these high-ranking officers through this ritual that he is the person responsible for the personnel appointment. At the resul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ower of the appointment of the office is visually displayed. In addition, this titural was conducted only for high-ranking posts in the Chancellery, it reveals that thees postse have high political status in bureaucrac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선마란 마제를 선포한다는 의미로, 이때 마제는 관직을 임명하는 문서를 말한다. 곧 고위 관직에 대한 임명장을 官誥라고 하는데, 이것이 制書 양식으로 白麻에 쓰였기 때문에 마제라고 하...

      선마란 마제를 선포한다는 의미로, 이때 마제는 관직을 임명하는 문서를 말한다. 곧 고위 관직에 대한 임명장을 官誥라고 하는데, 이것이 制書 양식으로 白麻에 쓰였기 때문에 마제라고 하는 것이다. 따라서 선마는 제서 양식의 임명장을 받는 고위 관직의 임명 행위라 할 수 있으며, 선마의는 그 선포 의례라 하겠다. 이때 고려에서는 삼사․삼공, 중서령, 상서령, 문하시중, 평장사 등의 2품 재신 등이 그 대상이 되는데, 실제로는 문하시중 이하의 재신만이 宣麻儀의 시행 대상이었다.
      성종대에 선마의도 마련되었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처음에는 해당 관인의 私邸에서 선포되는 형태로 진행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덕종 원년에 관인의 私邸가 아니라 궁중, 그것도 정치의 중심인 건덕전에서 관인들의 앞에서 진행되는 것으로 바뀌었다. 또 문종대에는 재신 1명씩 이루어지던 것에서 5재를 한 번에 진행하는 것으로 변동되었으며, 이것이 예지에 선마의라는 이름으로 수록되었다.
      선마의라는 의례를 통해 국왕의 인사에 대한 권력행사를 가시화 한다. 곧 의례를 통해 당해인 뿐만 아니라 그 가족, 주변인들에게까지 국왕의 은혜를 가시적으로 보여주어 당해인의 위상을 높여주게 된다. 더 나아가 건덕전에 국왕이 거둥하여 해당 의례를 베품으로 해서 국왕은 해당 관인뿐만 아니라 전체 관료에게 국왕 자신이 인사권자임을 각인시킨다. 이와 동시에, 재신만을 대상으로 한 의례를 거행한다는 점에서 재신의 남다른 위상을 드러내는 부수적 효과도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철웅, "한국중세의 吉禮와 雜祠" 경인문화사 2007

      2 박재우, "한국고대중세고문서연구 (하)" 서울대출판부 2000

      3 임용한, "조선전기 관리등용제도 연구" 혜안 2008

      4 박재우, "고려후기 인사행정과 인사문서에 대한 검토" 한국사연구회 (162) : 253-291, 2013

      5 박재우, "고려전기 王命의 종류와 반포" 진단학회 (95) : 29-54, 2003

      6 박재우, "고려전기 宰樞의 임용 방식과 성격" 한국사연구회 (125) : 29-70, 2004

      7 박재우, "고려시대 署經의 행정절차와 성격" 역사문화연구소 (36) : 3-40, 2010

      8 이미지, "고려시대 對거란 2차 전쟁 유공자와 그들에 대한 추가 포상" 한국사연구회 (157) : 39-75, 2012

      9 이미지, "고려 전기 軍功者 포상의 절차와 내용" 한국사학회 (119) : 160-199, 2015

      10 이정란, "고려 왕가의 특권 향유와 신성가문 의식" 수선사학회 (62) : 127-156, 2017

      1 김철웅, "한국중세의 吉禮와 雜祠" 경인문화사 2007

      2 박재우, "한국고대중세고문서연구 (하)" 서울대출판부 2000

      3 임용한, "조선전기 관리등용제도 연구" 혜안 2008

      4 박재우, "고려후기 인사행정과 인사문서에 대한 검토" 한국사연구회 (162) : 253-291, 2013

      5 박재우, "고려전기 王命의 종류와 반포" 진단학회 (95) : 29-54, 2003

      6 박재우, "고려전기 宰樞의 임용 방식과 성격" 한국사연구회 (125) : 29-70, 2004

      7 박재우, "고려시대 署經의 행정절차와 성격" 역사문화연구소 (36) : 3-40, 2010

      8 이미지, "고려시대 對거란 2차 전쟁 유공자와 그들에 대한 추가 포상" 한국사연구회 (157) : 39-75, 2012

      9 이미지, "고려 전기 軍功者 포상의 절차와 내용" 한국사학회 (119) : 160-199, 2015

      10 이정란, "고려 왕가의 특권 향유와 신성가문 의식" 수선사학회 (62) : 127-156, 2017

      11 박재우, "고려 政案의 양식과 기초 자료 - 鄭仁卿政案을 중심으로" 한국고문서학회 28 : 89-110, 2006

      12 金乾坤, "高麗時代의 制誥" 정신문화연구원 42 : 1991

      13 박용운, "高麗時代의 中樞院에 대한 고찰" 71 : 1971

      14 矢木毅, "高麗時代の銓選と告身" 59 (59): 2001

      15 박용운, "高麗時代 官階·官職 硏究" 고려대출판부 1997

      16 박용운, "高麗時代 官員의 陞黜과 考課" 145 : 1995

      17 박용운, "高麗時代 中樞院 硏究"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2001

      18 박용운, "高麗時代 中樞院 硏究"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2001

      19 矢木毅, "高麗官僚制度硏究" 京都大學學術出版會 2008

      20 이진한, "高麗前期 樞密의 班次와 祿俸" 一志社 96 : 1999

      21 김보광, "Auxiliary of Hanlin Academy in the early Goryeo : its operation aspects and functions" Institute for the Study of History null (null): 101-137, 2014

      22 박종기, "11세기 고려의 대외관계와 정국운영론의 추이" 한국역사연구회 30 :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6-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무악실학회 -> 역사실학회
      영문명 : Mooak Silhakhoe : The Historical Society Of Mooak Silhak -> Yeoksa Silhakhoe: The Historical Society of Yeoksa Silhak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5 0.65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69 1.438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