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직장병행 대학원생의 학습참여동기가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on Education Satisfaction for Part-Time Graduate Students of a Univers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371786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숭실대학교 대학원 , 평생교육학과 , 2017. 2

      • 발행연도

        2017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ix, 78 p. ; 26 cm

      • 일반주기명

        숭실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유기웅
        참고문헌: p. 66-72

      • 소장기관
        • 숭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병행 대학원생이 학업과 직장을 병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습참여동기 및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연구 ...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병행 대학원생이 학업과 직장을 병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습참여동기 및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직장병행 대학원생의 학습참여동기는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직장병행 대학원생의 교육만족도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직장병행 대학원생의 학습참여동기가 교육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에 대한 연구방법으로는 서울 S대학교 대학원에 재학중인 일반대학원, 교육대학원, 특수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06부의 설문지가 연구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연구자료는 분석을 위해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두 독립표본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과 LSD사후검정(Least Significant Difference),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병행 대학원생의 인구통계학적배경 변인에 따른 학습참여동기에는 차이가 있었다. 둘째, 직장병행 대학원생의 인구통계학적배경 변인에 따른 학습참여동기에는 차이가 있었다. 셋째, 직장병행 대학원생의 학습참여동기와 교육만족도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 중 교육만족도의 변인인 교육과정에 대해서 활동지향형동기와 학습지향형동기가 목표지향형동기가 모두 교육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나타났으며, 그 중 활동지향형동기가 교육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직장병행 대학원생의 다양한 개인적 배경 특성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 학습참여동기는 결혼상태, 월 소득, 대학원 생활 만족여부, 대학원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육만족도는 개인의 연령, 결혼상태, 전공과정, 대학원 생활 만족여부, 대학원 유형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직장병행 대학원생의 다양한 개인적 배경 특성과 요구를 반영한 대학원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발전과 지원이 필요하며, 원활한 학습참여를 지속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개발되어야 한다.
      또한 직장과 학업을 병행하기 어렵다는 인식에 대해서 다양한 방면으로 인식개선을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교육만족도는 개인의 연령, 결혼상태, 전공과정, 대학원 생활 만족여부, 대학원 유형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직장병행 대학원생의 원활한 학습참여와 교육만족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되도록 직장병행 대학원생에 대한 인식개선에 다양한 방면의 지원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ves for studying and education satisfaction of in-work graduate school students. For the analysis, three agendas will be discussed about. First, how do the motives for studying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ves for studying and education satisfaction of in-work graduate school students. For the analysis, three agendas will be discussed about. First, how do the motives for studying of in-work graduate school students show differently with respect to demographic factors? Secondly, how does education satisfaction of such students show differently with respect to demographic factors? Lastly, how does the former – the motives – affect the latter – satisfaction?
      Surveys were carried out subjected to students at S University graduate school at Seoul, including the general, educational, and special schools, and the total of 206 survey sheets were studied in this paper. As for the analysis, SPSS 18.0 was used in order to proceed the following: technological statistics, two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LSD post-hoc comparis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tives for studying turned out differently with respect to demographic factors.
      Secondly, the motives for studying and education satisfaction of in-work graduate school students showed a meaningful correlation. Among the changing factors of the latter, three of them, namely the pro-activity motives, pro-learning motives, and the pro-objective motives, showed to have positive impacts on it, of which the first showed to have the largest influence.
      Consequently, the motives for studying of in-work graduate school students were found out to differ meaningfully upon: the marital status, monthly income, how satisfactory is the school thought of, and the types of the school. Moreover, education satisfaction was found out to be under the influence of: age, marital status, major, how satisfactory is the school thought of, and the types of the school. To sum up, what is necessary are: supports to enhance the graduate schools, in such way as to account for the various background circumstances and demand of the in-work students; promotion of programs to continue their smooth enrollment in studying.
      Furthermore, changes are needed in the stereotypes as to how it is difficult to work and study simultaneously. In other words, supports in various areas are needed so as to shift the stereotypes on in-work graduate school students, in order to catalyze strengthening smooth enrollment to studying and education satisfaction of the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ⅴ
      • 영문초록 ⅶ
      • 제 1 장 서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국문초록 ⅴ
      • 영문초록 ⅶ
      • 제 1 장 서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1.2 연구문제 4
      • 1.3 용어의 정의 5
      • 제 2 장 문헌 고찰 6
      • 2.1 직장병행 대학원생의 현황 및 특징 6
      • 2.1.1 대학원생의 현황 6
      • 2.1.2 대학원 교육 및 대학원생의 특징 9
      • 2.2 학습참여동기 15
      • 2.2.1 학습참여동기 개념 15
      • 2.2.2 학습참여동기 유형 16
      • 2.2.3 학습참여동기 구성요소 22
      • 2.3 교육만족도 25
      • 2.3.1 교육만족도의 개념 25
      • 2.3.2 교육만족도 구성요소 29
      • 제 3 장 연구방법 33
      • 3.1 연구대상 33
      • 3.2 연구도구 34
      • 3.2.1 학습참여동기 34
      • 3.2.2 교육만족도 35
      • 3.3 자료수집 37
      • 3.4 자료분석 38
      • 제 4 장 연구결과 40
      • 4.1 직장병행대학원생의 학습참여동기 40
      • 4.2 직장병행 대학원생의 교육만족도 47
      • 4.3 학습참여동기와 교육만족도의 관계 55
      • 4.3.1 학습참여동기와 교육만족도의 상관관계 55
      • 4.3.2 학습참여동기가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57
      • 제 5 장 논의 및 결론 60
      • 5.1 요약 60
      • 5.2 논의 및 결론 62
      • 5.3 제언 63
      • 참고문헌 66
      • 부 록 7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