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 정치학의 정체성 모색을 위한 연구 : 주요 국가의 정치학 입문 교재와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520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정치학 입문 교재에 나타난 한국 정치학의 정체성을 한국, 조선(전통시대의 한국), 미국, 일본, 독일, 프랑스 각국 사례의 비교 분석을 통해 탐구하는 본 연구는 정치학의 정체성이 다층적인 ...

      정치학 입문 교재에 나타난 한국 정치학의 정체성을 한국, 조선(전통시대의 한국), 미국, 일본, 독일, 프랑스 각국 사례의 비교 분석을 통해 탐구하는 본 연구는 정치학의 정체성이 다층적인 관계들 속에서 입체적으로 파악되어야 한다고 이해한다. 따라서 각국의 정치학 교재 분석의 주안점은 첫째, ‘전통 정치학과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가’, 둘째, ‘자국 현실과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가’, 셋째, ‘패권적인 미국 정치학과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가’이다. 정치학의 정체성을 관계적 개념으로 파악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을 반영하고 있는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미국 정치학 입문 교재에 나타난 미국 정치학의 정체성: 예외적인 패권적 위상(이 연구는 현대 정치학에서 미국 정치학이 차지하고 있는 패권적인 위상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비롯되었다. 이 점에서 미국 정치학에 대한 연구는 단순한 개별 사례라는 의미를 넘어 각국의 정치학이 자기 정체성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소통의 고리를 맺으면서도 극복해야만 했던 패권적 정치학에 관한 연구라는 의미를 갖는다. 이를 위해 미국 정치학 발전 과정에서 나타난 방법론상의 혁신과 미국 정치 현실의 관계를 미국 정치학 입문 교재의 분석을 통해 검토할 것이다.) 2. 조선주자학적 정치학의 전통과 정체성의 문제: 한국 정치학의 전사(前史)(조선주자학적 정치학 전통을 정체성 차원에서 접근하고, 그것이 현대 한국 정치학의 정체성 문제와 어떻게 연결되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재의 국립대학에 해당하는 성균관과 사립대학에 해당하는 서원에서 이루어진 ‘정치학’ 교육을 검토하고자 하며, 중국책들보다 각 시기의 대표적인 학자들이 조선주자학적 정치학의 전통에 관한 주제의식을 염두에 두고 집필한 저술들을 분석 대상으로 삼고자 한다.) 3. 한국 정치학 입문 교재에 나타난 한국 정치학의 정체성: 정치학의 ‘대미의존성’과 ‘탈현실성’ 그리고 정체성의 신화(1987년 이후 출판된 대학 정치학 입문 교재 가운데 주요 대학들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교재에 대한 분석 작업을 토대로 현대 한국 정치학이 자기의 전통 정치학, 정치 현실 및 미국 정치학과 각각 어떻게 대면하며 관계를 맺고 있는지 세분화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현대 한국의 정치학이 자신의 정체성을 어떻게 확보하고 발전시켜 나갈 수 있을 것인지를 모색해 본다.) 4. 일본 정치학 입문 교재에 나타난 일본 정치학의 정체성: 다양한 전통과 정체성 형성의 딜레마(2차 대전에서의 패배와 함께 일본에 본격적으로 도입된 미국 정치학은 일본 정치의 민주화에 기여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미국 정치학에 과도하게 의존하면서 일본 정치학은 종속성을 지니게 될 위험에 처했는데, 메이지 시기 이래 발전한 국가학적 전통은 물론, 맑스주의적 접근과 역사적 접근은 미국 정치학에 대한 무분별한 의존을 막는 견제장치로 작용했다. 나아가 최근 일본 정치학은 자국 정치 현실에 대한 적실성은 물론, 일본식 정치모델의 개발을 통해 동아시아 정치에 대한 적실성까지 확보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현대 일본 정치학의 정체성을 전통과의 관계, 자국 현실과의 관계 그리고 미국 정치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검토할 것이다.) 5. 독일 정치학 입문 교재에 나타난 독일 정치학의 정체성: 전통과 현대, 이론과 실천의 사이에서(현대 독일 정치학의 자기 학문 전통과의 관계에 관해서는 과거의 국가학적․공법학적 전통의 유산, 정신과학적 유산, 그리고 비판적-변증법적 정치학의 유산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자기 현실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독일 정치체제의 특성이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의 문제를, 독일 정치학의 미국 정치학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행태주의나 체계이론과 같은 ‘미국산’ 이론의 소개 등을 검토할 것이다) 6. 프랑스 정치학 입문 교재에 나타난 프랑스 정치학의 정체성: 프랑스 정치학의 전통과 ‘정치적인 것’에 대한 이해( (1) ‘정치적인 것’에 대한 전통적인 이해방식, 즉 통치 개념의 변화 등과 관련한 전통 정치학의 이해와 현대 프랑스 정치학의 이해 방식을 비교하고, (2) ‘정치적인 것’에 대한 이해를 위한 다양한 접근법, 즉 정치학의 다양한 방법론 사이의 경쟁에 관하여 살펴볼 것이다. 또한 (3) 미국 정치학의 영향과 그에 대한 프랑스 정치학의 대응에 대해서도 살펴볼 것이다). 7. 한국 정치학의 정체성: 무엇을, 어떻게? (6인의 공동연구자가 수행한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수렴하고, 한국 정치학의 정체성에 대한 최근의 다양한 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향후 주체적인 측면에서 한국 정치학의 정체성 확립을 위해 필요한 원칙들을 구체적이고도 체계적으로 제시할 것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