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며느리배꼽 추출물의 항균 작용과 성분 분석 = Antibacterial Activity and Component Analysis of Persicaria perfoliata Extrac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926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 며느리배꼽의 항균활성 측정결과, S. aureus, P. acnes,에 대한 ethyl acetate 분획의 MIC는 각각 0.25%, 0.25%로 큰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천연 방부제, 항균제로서 역할이 충분히 기대된다. 2) 며느...

      1) 며느리배꼽의 항균활성 측정결과, S. aureus, P. acnes,에 대한 ethyl acetate 분획의 MIC는 각각 0.25%, 0.25%로 큰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천연 방부제, 항균제로서 역할이 충분히 기대된다. 2) 며느리배꼽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의 TLC는 5개의 띠(PP1, PP2, PP3, PP4, PP5)로 분리가 되었고, 그 중에서 농도가 가장 진한 것은 Rf 값이 0.32인 PP4로 나타났다. 3) 며느리배꼽 추출물 중 ethyl acetate 분획의 HPLC 크로마토그램은 검출파장 320nm에서 8개의 peak를 나타내었고, peak 1은 caffeic acid, peak 2는 quercetin-3-o-glucuronide, peak 3은 isoquercitrin, peak 5는 quercetin, peak 6는 apigenin으로, peak 7은 kaempferol 임을 확인하였다. 4) 며느리배꼽 추출물의 aglycone 분획의 TLC는 3개의 띠 (PPA1, PPA2, PPA3)로 분리가 되었고, 그 중에서 농도가 가장 진한 것은 Rf 값이 0.45인 PPA3로 나타났다. 5) 며느리배꼽 추출물 중 aglycone 분획의 HPLC 크로마토그램은 검출파장 260 nm에서 3개의 peak를 나타내었고, peak 1은 caffeic acid, 높이가 가장 높은 peak 2는 quercetin 그리고 peak 3은 kaempferol임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며느리배꼽 추출물의 강력한 항산화 성분과 항균 활성으로부터 며느리배꼽 추출물의 항산화, 항균 화장품으로의 응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antibacterial activity and component analysis of Persicaria perfoliata extracts were investigated. MIC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values of ethyl acetate fraction from P. perfoliata on Escherichia coli, Propionibacterium acn...

      In this study, the antibacterial activity and component analysis of Persicaria perfoliata extracts were investigated. MIC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values of ethyl acetate fraction from P. perfoliata on Escherichia coli, Propionibacterium acnes, and Staphylococcus aureus were 0.25%, equal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was the highest in the S. aureus and P. acnes. Ethyl acetate fraction from P. perfoliata extracts showed 5 bands in TLC and 8 peaks in HPLC (320nm). In HPLC chromatogram of ethyl acetate fraction, first main peak 2 (24.99%) and peak 3 (22.65%) were identified as quercetin-3-o-glucuronide and isoquercitrin in the order of elution time. Also, in HPLC chromatogram of deglycosylated fraction, main peak 2 (76.93%) was identified as quercetin in the order of elution time. And these components are very effective as antioxidants. Thu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xtract/ fractions of P. perfoliata can be applicable to new functional cosmetics for antioxidant, antibacterial activ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하유미, "피부질환 원인균에 대한 자몽종자추출물과 법제유황수의 항균 효과" 한국생명과학회 19 (19): 94-100, 2009

      2 장소영, "식물 추출물의 Pityrosporum ovale 및 Candida albicans에 대한 항진균 활성" 한국생약학회 34 (34): 303-307, 2003

      3 오문헌, "서양 허브식물의 화학성분" 한국식품과학회 35 (35): 1-6, 2003

      4 김성태, "버섯 추출물이 인체 병원성 균에 미치는 항균활성의 특성" 한국균학회 31 (31): 67-76, 2003

      5 박수남, "밤나무 잎 추출물의 항노화 활성 및 화장품에의 응용(Ⅰ)" 대한화장품학회 34 (34): 259-268, 2008

      6 박수남, "며느리배꼽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대한화장품학회 35 (35): 235-241, 2009

      7 박수남, "나문재 추출물의 성분 분석" 대한화장품학회 34 (34): 157-165, 2008

      8 이성현, "구절초(Chrysanthemum zawadskii)로부터 비듬균에 대한항균물질의 생산 및 특성"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35 (35): 220-225, 2007

      9 Marples,R.R, "The microflora of the face and acne lesions" 62 : 326-, 1974

      10 Adachi, Y, "The effect of antibiotics on the production of superatigen from Staphylococcus isolated from atopic dermatitis" 28 : 76-, 2002

      1 하유미, "피부질환 원인균에 대한 자몽종자추출물과 법제유황수의 항균 효과" 한국생명과학회 19 (19): 94-100, 2009

      2 장소영, "식물 추출물의 Pityrosporum ovale 및 Candida albicans에 대한 항진균 활성" 한국생약학회 34 (34): 303-307, 2003

      3 오문헌, "서양 허브식물의 화학성분" 한국식품과학회 35 (35): 1-6, 2003

      4 김성태, "버섯 추출물이 인체 병원성 균에 미치는 항균활성의 특성" 한국균학회 31 (31): 67-76, 2003

      5 박수남, "밤나무 잎 추출물의 항노화 활성 및 화장품에의 응용(Ⅰ)" 대한화장품학회 34 (34): 259-268, 2008

      6 박수남, "며느리배꼽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대한화장품학회 35 (35): 235-241, 2009

      7 박수남, "나문재 추출물의 성분 분석" 대한화장품학회 34 (34): 157-165, 2008

      8 이성현, "구절초(Chrysanthemum zawadskii)로부터 비듬균에 대한항균물질의 생산 및 특성"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35 (35): 220-225, 2007

      9 Marples,R.R, "The microflora of the face and acne lesions" 62 : 326-, 1974

      10 Adachi, Y, "The effect of antibiotics on the production of superatigen from Staphylococcus isolated from atopic dermatitis" 28 : 76-, 2002

      11 Zhoh, C. K,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natural aromas for substitution of parabens" 28 (28): 166-, 2002

      12 Ahn, D. J, "Screening of herbal plant extracts showi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ome food spoilage and pathogenic microorganisms" 8 (8): 109-, 2000

      13 Jovanovic, S. V, "Reduction potentials of flavonoid and model phenoyl radicals" 2 : 2497-, 1996

      14 박수남, "O2으로 유도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있어서 대두의 아이소플라본인 제니스테인의 보호작용" 한국식품과학회 35 (35): 510-518, 2003

      15 Mun, J. H, "Flavonoid chemistry of Polygonum sect. Tovara (Polygonaceae): a systematic survey" 196 : 153-, 1995

      16 Gemmer, C. M, "Fast, non-invasive method for molecular detection and differentiation of Malassezia yeast species on human skin and application of the method to dandruff microbiology" 40 : 3350-, 2002

      17 Yoshitama, K, "Distribution pattern of anthocyanins in the Polygonaceae" 97 : 31-, 1984

      18 Yuzhi,F, "Determination of bioactive components in Polygonum perfoliatum L. by capillary electrophoresis with electrochemical detection" 27 : 773-, 2009

      19 Korea Dermatological Association, "Dermatological Science" Yeomungak 325-, 2001

      20 Li,L.N, "Biologically active components from traditional Chinese medicines" 70 : 547-, 1998

      21 Park,S.N, "Antioxidative properties of baicalein, component from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and its application to cosmetics(I)" 14 (14): 657-665, 2003

      22 Ham, S. S, "Antimutagenic effects of juices from edible Korean wild herbs" 2 : 155-, 1997

      23 Lee, K. S, "Antimicrobial acivities of extract of Perilla frutescens Briton var. acuta Kudo on food spoilage or foodborne disease microorganism" 6 : 239-, 1999

      24 Jun, S, "Antifungal activity of plant extract against Arthrinium sacchari and Chaetomium funicola" 90 : 442-,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5-09-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5 0.977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