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中韓經濟貿易關係變化發展方案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016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과 한국은 일찍 1979년 개혁개방 전후부터 홍콩을 통한 간접무역방식의 소규모 상품무역으로 경제적 교류를 시작해왔다. 그 후 1986년 아시안 게임과 1988년 올림픽 게임을 계기로 양국 간...

      중국과 한국은 일찍 1979년 개혁개방 전후부터 홍콩을 통한 간접무역방식의 소규모 상품무역으로 경제적 교류를 시작해왔다. 그 후 1986년 아시안 게임과 1988년 올림픽 게임을 계기로 양국 간의 관계는 새로운 발전을 가져왔고 특히 1992년 8월 24일 중한수교이래 양국의 경제무역관계는 급속한 진전을 가져왔다. 중한 수교 16년 간, 양국의 무역액은 과거 69억 달러에서 2007년 1,590억달러를 기록하여 한국은 중국의 제3위 수출대상국으로 되었고, 중국은 한국의 가장 큰 수출대상국으로 되었다. 따라서 중한경제무역관계도 과거의 상호보완적 관계로부터 다차원의 경쟁적 관계로 전환하게 되었다. 이러한 시점에서 양국은 과다한 경쟁과 불필요한 마찰을 줄이고 경제무역발전에 있어서 윈윈(win-win)효과를 거두기 위한 목적으로 다차원의 협력과 경제적 구조 및 정책에 대한 조정에 주력하여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중한 경제무역관계의 새로운 변화를 바탕으로, 중한 수교이래의 경제무역관계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양국 간 경제무역관계의 발전특징과 특히 중국 對 한국무역이 지속적인 적자를 기록하게 된 원인을 분석하였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중한 경제무역관계의 전망을 제시함과 아울러 양국 간 경제무역관계의 개선을 위한 적극적인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摘要
      • Ⅰ.绪论
      • Ⅱ.中韩经贸关系发展特点
      • 1.贸易额快速增长
      • 2.贸易增长源于经济发展
      • 摘要
      • Ⅰ.绪论
      • Ⅱ.中韩经贸关系发展特点
      • 1.贸易额快速增长
      • 2.贸易增长源于经济发展
      • 3.经济互补性促进贸易增长
      • 4.韩资对华投资不断发展
      • 5.对韩贸易始终处于逆差
      • Ⅲ.中韩贸易逆差的原因分析
      • 1.韩国对外贸易体系的调整
      • 2.中韩经济发展水平的差异
      • 3.两国出口商品的比较优势不同
      • 4.韩国政府的政策影响
      • Ⅳ.中韩经贸关系发展方案
      • 1.中韩经贸关系的展望
      • 2 今后推进中韩经贸合作. 的建议
      • Ⅴ.结论
      • 参考文献
      • 국문초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