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高麗王室 稱號의 여러 樣相 = Various Patterns of Titles in the Royal Family of Gorye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0758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려 왕실 칭호의 여러 양상 김 서윤 고려왕실은 건국 초부터 황제국 체제를 지향하였고, 황제국으로서의 권위를 갖고 정국을 운영하였다. 이에 다양한 정치 제도, 사회 제도, 사회적 분...

      고려 왕실 칭호의 여러 양상

      김 서윤


      고려왕실은 건국 초부터 황제국 체제를 지향하였고, 황제국으로서의 권위를 갖고 정국을 운영하였다. 이에 다양한 정치 제도, 사회 제도, 사회적 분위기 모두 황제국으로서의 특징을 지니고 있었으나, 이는 『고려사』의 편찬 과정에서 대부분 생략‧축약되어 그 내용을 정확히 파악하기가 힘들다. 특히 황제국으로서의 특징을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왕실 칭호의 구사에 있어서는 더더욱 그 내용에 많은 수정이 가해졌다. 이에 왕실 칭호의 다양한 양상을 정확하게 파악하기에는 큰 무리가 따른다.
      고려는 다양한 특징을 미루어 살펴보았을 때 분명히 황제국으로서의 특징을 가진 황제국이었다. 건국 초부터 사용된 ‘천자’라는 칭호와 하늘로부터 큰 뜻을 받아 나라를 세웠다는 ‘천명의식’, 그리고 당나라의 제후국 체제를 모방한 제왕제(Princely Establishment), 제후들에게 토지를 분배하였던 식읍제의 구성과 그 내용이 근거이다. 또한 황제국으로서의 왕실 일원들의 칭호 사용도 그 대표적인 예가 될 수 있는데, 이는 『고려사』의 편찬 과정에서 많은 내용들이 수정되고 개서(改書)되어 상세한 양상을 살펴보아야 파악이 가능할 것이다.
      이에 고려왕실 칭호의 양상을 분석해 보았다. 먼저 고려 초에는 왕위계승자를 의미했던 태자라는 칭호가 많은 왕자들에게 부여되고 있었으며, 실질적인 왕위계승자는 ‘정윤(正胤)’이라는 특이한 칭호를 지녔다. 본 글에서는 이들 왕자들의 특징을 각각 분석하여 정윤과 태자들, 또한 나머지 일반 군(君)들이 어떠한 경우에서 이런 칭호를 받게 되었는지 분석하였다.
      다음으로는 초기를 제외한 전 왕대에 걸친 왕자들의 칭호를 분석하였다. 고려왕실의 왕자들은 고려로부터 봉작을 받아 각각 공(公), 후(侯), 백(伯) 등의 작위를 받았는데 이들의 구분 기준과 승진의 기준을 살펴보았다. 또한 고려왕실의 여성들 중 왕의 배필들을 분석하여 그들이 가졌던 왕비의 칭호와 후궁들의 칭호에는 어떤 것들이 있었는지 분석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조선 초기의 『고려사』편찬 과정에서 시행된 다양한 수정과 개서의 현황을 살펴보았고, 이 개서로 인해 고쳐진 왕실의 칭호와 사라진 황제국의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이들은 『고려사』에서는 삭제되어 찾아볼 수 없으므로, 당대의 금석문과 문집, 외교문서 등과의 비교를 통해 관련 자료를 추출하였다.
      이에 본 글은 다양한 특징들을 종합하여 고려가 황제국 체제를 띠고 있었음을 증명하였고, 다양한 왕실 칭호의 양상들을 살펴봄으로써 고려 왕실의 특징을 간소하게나마 드러내었다. 또한 지금까지 진행되었던 다양한 연구 성과들을 종합‧정리하여 그 내용을 정돈하였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Various Patterns of Titles in the Royal Family of Goryeo Kim Seo-yun The royal family of Goryeo was oriented toward the empire system right from the foundation of the state and managed the political situations with its authority as an empire. As a r...

      Various Patterns of Titles in the Royal Family of Goryeo

      Kim Seo-yun

      The royal family of Goryeo was oriented toward the empire system right from the foundation of the state and managed the political situations with its authority as an empire. As a result, it had characteristics as an empire across all of its diverse political systems, social systems, and social atmosphere, but most of them were omitted or abbreviated in the publication process of Goryeosa, which means it is difficult to figure out the concerned content exactly. There were particularly many revisions to the content of the royal family's titles, which would be able to reveal its characteristics as an empire best. There are thus many difficulties to figure out the various patterns of its titles accurately.
      Given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Goryeo, there is no doubt that it was an empire with its characteristics as one. Grounds for this argument can be found in the organization and content of the "Cheonja" title that they used from the foundation of the state, the "Cheonmyeong belief" that they founded a nation under the big will of the Heaven, the princely establishment that mimicked the imperial system of Tang, and the Sikeup system to distribute land to feudal lords. Good examples can also be found in the titles of members of the royal family as an empire. There is a need to examine their patterns closely to understand them since the many parts of Goryeosa were revised and rewritten in the publication process.
      This study thus set out to analyze the patterns of titles for the royal family of Goryeo. In early Goryeo, the crown prince title to refer to a successor to the throne was given to many princes. The actual successor to the throne was given a particular title "Jeongyun(正胤)." The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princes and the cases of each prince receiving a title including Jeongyun, crown prince, and general kun.
      The study then analyzed the titles of princes throughout the royal history of Goryeo except for its early days. In the royal family of Goryeo, the princes were invested with a title of nobility from the state and received a noble title such as Gong, Hu, and Baek. The study examined their criteria and the standards for their promotion. The study also analyzed the spouses of kings in the royal family of Goryeo and the titles of queens and royal concubines.
      Finally, the study looked into the various revisions and rewriting circumstances in the publication process of Goryeosa in early Joseon and also the revisions to the titles of royal family and lost characteristics of Goryeo as an empire due to rewriting. Since they were deleted from Goryeosa, the investigator collected concerned materials in the epigraphs, collections of works, and diplomatic documents of the times through comparison.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Goryeo adopted the imperial system by putting together its various characteristics and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Goryeo's royal family briefly by examining the patterns of its diverse titles. The study also put together and sorted out various findings in previous studies and arranged the content, thus holding its significa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1
      • Ⅱ. 高麗의 皇帝國體制와 稱號 5
      • Ⅲ. 高麗王室 稱號의 區分 基準과 그 樣相 14
      • Ⅰ. 머리말 1
      • Ⅱ. 高麗의 皇帝國體制와 稱號 5
      • Ⅲ. 高麗王室 稱號의 區分 基準과 그 樣相 14
      • 1. 高麗初期 王子稱號의 區分 15
      • 2. 高麗前期 王子稱號의 區分 24
      • 3. 王室女性稱號의 區分 36
      • Ⅳ. 高麗後期의 稱號 降等과 朝鮮初期의 改書 48
      • Ⅴ. 맺음말 53
      • 참고문헌 56
      • Abstract 5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