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La garantie du droit a la surete par la justice constitutionnelle en Coree du su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4516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안전권이란 '임의적 체포나 구금을 받지 않을 권리’와 같이 단순히 정의될 수 있는데 이러한 권리는 세계인권선언, 시민적ㆍ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협약, 유럽인권협약 동에 규정되어 있...

      안전권이란 '임의적 체포나 구금을 받지 않을 권리’와 같이 단순히 정의될 수 있는데 이러한 권리는 세계인권선언, 시민적ㆍ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협약, 유럽인권협약 동에 규정되어 있다.
      1987 년 한국헌법도 제 12조에서 법률에 의하지 않는 체포ㆍ보안처분 강제 노역 동의 금지를 규정함과 동시에 가족에게의 고지권 및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 등을 규정하고 있다. 한편 한국헌법재판소는 많은 결정을 통하여 안전권을 구제적으로 보장하고 있다.
      이 권리의 구성은 매우 다양한데 가장 일반적으로 ①죄형법정주의 ② 형벌불소급의 원칙 ③ 구금에 대한 보호권 ④ 재판을 받을 권리 ⑤ 방어권 (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으로 분류된다.
      첫째, 죄형법정주의는 모든 법치국가의 근본원칙으로서 염의적 체포ㆍ구금 등의 금지를 의미하며 이것은 법아 명확하게 규정되어 질 것을 그 본질로 한다.
      한국헌법 제 12조 1항과 3항도 이 원칙에 충실하고 있는데 특히 헌법재판소는 국가보안법 제 7조 1항과 5항에 관한 1990 년 4 월 2 일파 6 월 25 일의 결정 에서 < 반국가단체 찬양의 처벌은 그 활동이 국가적 존립ㆍ안전을 위태롭게 하거나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위해를 줄 ‘명백한 위험성이 있는 경우에만’ 할 수 있는 것〉 으로 한정해석함으로서 법률의 명확성의 원칙을 보장하고 있다.
      또한 정기간행물을 발행하고자 하는 자에게 일정한 물적 시설을 갖추어 등록할 것을 요구하고 있는 정기간행물등록법 제 7조에 관한 1992 년 6월 26일 의 결정과 실제의 거래가액에 의하여 과세표준을 산정한 액수가 기준시가에 의한 세액을 초과하는 경우까지 대통령령에 위엄한 소득세법 제 23조에 관한 1995 년 11월 30일의 결정 등에서는 대통령령에 의한 위임입법의 한계를 명확하게 적시하였다.
      한편 위법한 과세의 처분에 대한 재판청구 ‘불변기간’을 규정하고 있는 (구) 국세기본법 제 56 조 2 항에 대한 1992 년 7 월 23 일의 결정에서 헌법재판소 는 이 기간의 계산에 관한 조항부분은 불명확ㆍ모호하게 규정되어 있어 헌법 제 12 조에 의하여 보장된 죄형법정주의의 원칙을 침해한 것이라고 선고하였다.
      둘째 , 형벌불소급의 원칙은 법적 안정성과 신뢰보호이익에 충실한 원리로서 한국헌법 제 13 조 1항에 의하여 규정되어 있다.
      특히 이 원칙에 대하여는 1996년 2월 16일의 광주민주화운동특별법에 관 한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살펴 볼 필요가 있는데 이 결정에서 4인의 재판관은 법률의 소급효를 진정한 소급효와 부진정한 소급효로 구별하여 진정한 소급효의 경우 <① 법률에 대한 신뢰성이 현저히 약할 때 ② 손해를 소급 적용될 당사자가 감수할 때 ③ 공익을 위하여 필요한 때〉 에는 소급적용이 가능하다 고 하며 이 사건의 법률의 경우에는 공익을 위한 특단의 사정이 인정된다고 하여 합헌 주장을 하였다 (재판관 9인 중 다수인 5인의 재판관이 위헌을 주장 하였으나 위헌정족수인 6 인에 이르지 못한다는 이유로 단순합헌 결정을 하였다.
      셋째, 구금에 대한 보호의 원칙에 대하여 한국대법원은 1997 년 7 월 13 일의 긴급체포와 관련된 결정에서 비록 형사소송법규정이 미결구금만을 두고 있을 뿐 구금의 유형에 대하여는 전혀 규정하고 있지 않을 지라도 헌법이 미결구금을 허용하고 있다면 신분조회를 위한 구금도 역시 허용된다고 볼 수 있다.
      한국에서 헌법재판에 의한 안전권의 보장 585 고 하면서 이러한 조치는 헌법에 위반되지 않는다고 하였다.
      한편 헌법재판소는 1989 년 7월 14일의 (구) 사회보호법 제 5 조에 관한 결정에 서 적법절차를 위반한 보호감호처분은 위헌이라고 선고했는데 이 결정은 ‘적법하지 않는 안전권의 제한’을 처음으로 명확하게 적시한 점에서 매우 중요한 결정이었다.
      또한 국가보안법상의 구속기간연장에 관한 1992년 4월 14일의 결정에서 헌법재판소는 국가보안법 제 7조 ( 찬양ㆍ고무 ) 와 제 10(불고지) 를 위반하는 자에게 일반적인 구속기간의 한계인 30일 보다도 20 일을 더 연장하여 구속할 수 있다고 규정한 부분은 신체의 자유를 과도하게 침해한 것이라고 판시하였고 사 형ㆍ무기징역 또는 10년 이상의 형에 해당되는 범죄에 대하여는 검사의 구형 에 의하여 구속영장의 효력이 결정된다고 규정되어 있는 형사소송법 제 331 조 단서규정에 관한 1992년 12 윌 24 일의 결정과 보석허가 결정에 대한 검사의 즉 시항고를 규정하고 있는 형사소송법 제 '57 조 3 항에 관한 1993 년 12 월 23 일의 결정에서는 이러한 규정들은 헌법 제12조 3 항의 영장주의와 적법절차 뿐만 아니라 안전권의 고도한 침해라고 판시하였다.
      넷째, 재판을 받을 권리는 법치국가의 기본원리로서 국민과 외국인 및 사법인 뿐만 아니라 서울대학교와 KBS 등의 공법인도 그 주체가 된다.
      한국헌법 제27조 1항은 〈모든 국민은 헌법과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Introduction
      • Ⅱ. Le principe de legalite des delits et des peines
      • Ⅲ. La non-retroactivite des lois penales
      • Ⅳ. La garde a vue
      • Ⅴ. Le droit au juge
      • Ⅰ. Introduction
      • Ⅱ. Le principe de legalite des delits et des peines
      • Ⅲ. La non-retroactivite des lois penales
      • Ⅳ. La garde a vue
      • Ⅴ. Le droit au juge
      • Ⅵ. Les droits de la defense
      • Ⅶ. Conclusion
      • 국문요약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2 1.02 0.8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9 0.87 0.967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