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재구성된 신체이미지에 나타나는 애브젝트의 표상들 = The Representation of the Abject in Reconstructed Body Images : A focus on the works of Kiki Smith and Jane Alexand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753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몸으로부터 정체성을 자각하고 그 가치를 재인식하고자 하는 시도들은 다양한 신체이미지들을 생산하였다.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애브젝션 이론은 변화하는 그로테스크한 몸을 통해 정신과...

      몸으로부터 정체성을 자각하고 그 가치를 재인식하고자 하는 시도들은 다양한 신체이미지들을 생산하였다.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애브젝션 이론은 변화하는 그로테스크한 몸을 통해 정신과 육체, 이성과 감성, 주체와 객체, 남성과 여성, 미와 추 등의 이분적 사유에 대하여 새로운 인식의 계기를 마련하며, 현대미술 속 다양한 신체이미지에 대한 가장 핵심적인 이론적 배경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애브젝션 이론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애브젝션 이론이 잘 표현된 키키 스미스와 제인 알렉산더의 작품을 분석한다. 애브젝션은 주체로서의 위치를 확고히 하기 위하여 이질적인 것들을 배제하며 분리하는 행위를 말한다. 그러나 줄리아 크리스테바는 주체란 본질적으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규명함으로써, 애브젝션 이론을 통해 절대적인 주체나 경계의 불변적인 확립은 불가능함을 설명한다. 또한 이를 통해 사회 속에 고정되어 있는 가치들에 대하여 재고하고 성, 인종, 문화 등에 대하여 획일화되지 않은 다양성의 관점을 제시한다. 키키 스미스와 제인 알렉산더의 작품들은 이상적이고 완전무결한 육체의 이미지를 해체함으로써 애브젝트의 표상들을 보여준다. 또한 이들의 작품은 모두 사회질서가 강요하는 정형화된 육체의 표상에 대한 전복을 통해 애브젝트된 신체이미지를 표현한다. 이는 절대적이고 고정된 가치를 해체함으로써 새로운 신체이미지를 창조하고 다양한 가치들을 도출한 것이라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이들 작품 속 애브젝트의 표상들은 먹고 배설하는 본능적인 몸을 통해 다층적 시각을 제시하며 신체이미지를 재구성하고 몸의 영역과 의미를 확장시킨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fforts to realize identity from the body and to recognize the value of it produced various images of the body. Julia Kristeva’s abjection theory presents the most focal theoretical framework regarding the bodily images within contemporary art v...

      The efforts to realize identity from the body and to recognize the value of it produced various images of the body. Julia Kristeva’s abjection theory presents the most focal theoretical framework regarding the bodily images within contemporary art via displaying a metamorphosing grotesque body and thus providing an occasion to newly recognize the dichotomic thinking of: mind and body; reason and emotion; the subject and the object; men and women; beauty and ugliness; and many others. This paper will examine Julia Kristeva’s abjection theory, and thus, analyse the works of Kiki Smith and Jane Alexander, which well express the theory. Abjection refers to the act of segregating and excluding the disparate with the intention of securing an ascendency as the subject. However, by concluding that the subject cannot be conferred by its very nature, Julia Kristeva illustrates the impossibility of the absolute subject or distinction via the abjection theory. By doing so, Kristeva further reconsiders fixed values in the society and presents a non-standardized viewpoint of diversity on gender, race, culture, and many others. Kiki Smith and Jane Alexander exhibit the representation of the abject through deconstructing ideal and faultless body figures. Also, the both works present abjected bodily images by subverting standardized representation of the body that is coerced by the social order. Such presentation is a production of new images of the body and derviation of a variety of values through the deconstruction of categorical and fixed values. Therefore, the representation of the abject in their works provides a manifold of viewpoints through instinctive body that consumes and excretes, and moreover, recomposes the images of the body and expands the domain and meaning of the bod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애브젝트와 애브젝션
      • Ⅲ. 재구성된 신체이미지
      • Ⅳ. 결론
      • Abstract
      • Ⅰ. 서론
      • Ⅱ. 애브젝트와 애브젝션
      • Ⅲ. 재구성된 신체이미지
      • Ⅳ.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