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만성 정신분열병 여성에서 고프로락틴혈증과 골밀도 및 골대사 표지의 상관 = Correlations between Hyperprolactinemia and Bone Mineral Density, Bone Markers in Women with Chronic Schizophreni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70282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정신분열병 환자는 질병 자체와 복용하고 있는 여러 약물들로 인하여 골다공증 및 골절의 위험성이 높다. 고프로락틴혈증은 골다공증을 유발하는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는데, 일부...

      목적 :
      정신분열병 환자는 질병 자체와 복용하고 있는 여러 약물들로 인하여 골다공증 및 골절의 위험성이 높다. 고프로락틴혈증은 골다공증을 유발하는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는데, 일부 항정신병약물은 혈중 프로락틴을 증가시킨다. 본 연구는 만성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지속적인 프로락틴 증가가 골밀도와 골대사 표지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그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방법 :
      DSM-IV 진단기준에 부합되는 만성 정신분열병 가임기(20~45세) 여성 환자 36명을 선별검사 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은 최소 1년 이상 한 가지 항정신병약물을 복용하고, 통원치료를 받고 있으며, 최근 1년 이내 골대사에 영향을 주는 병력이 없었다. 환자의 월경력을 미리 조사하여 중기 황체기에 신체계측, 기본 검사실검사, 호르몬, 골대사 표지, 정신병리, 일일 영양소섭취량, 일일 활동량등을 측정하였다. 골밀도는 이중방사선흡수 계측기를 이용하여 원위요골, 요추, 대퇴경골의 골밀도를 측정하여 젊은 정상성인의 평균치와 비교한 T값을 이용하였다. 최종 검사결과 대상자는 프로락틴이 증가한 실험군 16명(리스페리돈 복용 15명, 올란자핀 복용1명)과 프로락틴이 증가하지 않은 대조군 12명(올란자핀 복용 12명)으로 분류되었다.
      결과 :
      프로락틴 수치는 실험군이 더 높고( t=5.583, p=0.000), 콜레스테롤 수치는 대조군이 더 높았으며(t=-2.107, p=0.046), 에스트라다이올 수치는 실험군 2명만 감소되었고 나머지 대상자 모두는 정상범위이었다. 골밀도 T값이 실험군은 모든 부위에서 감소되었고 대조군은 요추와 대퇴경골에서만 감소되었지만, 두군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단지, 원위요골에서 실험군의 골밀도 T값(-0.16±0.73)이 대조군의 골밀도 T값(0.36±0.66)보다 낮은 경향(t=-1.968, p=0.06)을 보여주었다. 프로락틴과 골밀도 T값 또는 골대사 표지와는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실험군 16명만을 대상으로 시행한 상관분석(r=-0.627, p<0.01)과 전체 피험자를 대상으로 현재 항정신병약물의 복용기간, 프로락틴, 체질량지수를 통제한 부분상관분석(r=-0.418,p<0.05) 모두에서 콜레스테롤과 원위요골의 골밀도 T값 사이에 유의한 음의 상관이 나타났다.
      결론 :
      만성 정신분열병 여성 환자에서 항정신병약물로 유발된 고프로락틴혈증은 골소실을 증가 시키는 위험요인이었다. 또한, 프로락틴 수치와는 무관하게 콜레스테롤도 위험요인이었다. 이에 반해 에스트로겐은 골소실의 예방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Osteoporosis is regularly mentioned as a possible consequence of treatment with prolactin raising antipsychotic medications.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schizophrenia and a decrease in bone mineral density(BMD) and to get more...

      Objectives:Osteoporosis is regularly mentioned as a possible consequence of treatment with prolactin raising antipsychotic medications.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schizophrenia and a decrease in bone mineral density(BMD) and to get more insight into potential underlying pathophysiological mechanisms.
      Methods:In a cross-sectional study, we screened 36 schizophrenic outpatient women(age 20-45 years) who were treated with same antipsychotics for at least one year. BMD measurements were performed by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DEXA) in the distal forearm, lumbar spine and femoral neck. We also estimated psychopathology, menstrual regularity, body mass index(BMI), daily nutritional status, daily physical activity, hormones and bone marker (osteocalcin, deoxypyridinoline). As the results of prolactin levels,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prolactin raising group(PR, 16 subjects) and not raising group(No-PR, 12 subjects).
      Results:Mean prolactin level in PR was higher than in No-PR and mean cholesterol level in No-PR was higher than in PR significantly. Mean estradiol level was within normal ranges excluding 2 subjects in PR. The proportions of reduced bone mass(osteopenia, osteoporosis) at each sites were 12.5-31.3% in PR and 0.0-25.0% in No-PR. Mean BMD T scores at distal forearm in PR mildly lower than in No-PR( t=-1.968, p=0.06), but those of other sites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Correlations between prolactin levels and BMD T scores at all sit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ce. Correlations between the levels of prolactin and bone markers were not significance too. After adjusting for prolactin, BMI and medication period of current antipsychotics variable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verse correlation was observed for cholesterol levels - BMD T scores at the distal forearm.
      Conclusion: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hyperprolactinemia induced by long-term neuroleptics may be at high risk of reducing BMD and may be counterbalanced with estradiol incompletely in schizophrenic women. In addition, we noticed that cholesterol may be a risk factor in losing bone mass irrespective of prolactin leve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 대상 및 방법
      • 결과
      • 고찰
      • 요약
      • 서론
      • 대상 및 방법
      • 결과
      • 고찰
      • 요약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골밀도 변화와 관련 위험요인" 10 : 88-95, 2004

      2 "약물치료 및 물리적 치료법" 중앙문화사 635-690, 2005

      3 "골대사 및 대사성골질환" 고려의학 324-334, 1999

      4 "골다공증의 생화학적 지표" 22 : 11-14, 2002

      5 "골다공증성 골절의 예방과 치료" 1 : 147-55, 1994

      6 "What does the PANSS mean" 79 : 231-238, 2005

      7 "Tolerance to the prolactin-elevating effects of neuroleptics" 5 : 317-22, 1981

      8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PANNS)for schizophrenia" 13 : 261-76, 1987

      9 "The 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 7 : 233-, 1980

      10 "The expert consensus guideline series:optimizing pharma-cologic treatment of psychotic disorders" 64 : 26-, 2003

      1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골밀도 변화와 관련 위험요인" 10 : 88-95, 2004

      2 "약물치료 및 물리적 치료법" 중앙문화사 635-690, 2005

      3 "골대사 및 대사성골질환" 고려의학 324-334, 1999

      4 "골다공증의 생화학적 지표" 22 : 11-14, 2002

      5 "골다공증성 골절의 예방과 치료" 1 : 147-55, 1994

      6 "What does the PANSS mean" 79 : 231-238, 2005

      7 "Tolerance to the prolactin-elevating effects of neuroleptics" 5 : 317-22, 1981

      8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PANNS)for schizophrenia" 13 : 261-76, 1987

      9 "The 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 7 : 233-, 1980

      10 "The expert consensus guideline series:optimizing pharma-cologic treatment of psychotic disorders" 64 : 26-, 2003

      11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IOTF 2000

      12 "Role of lipids in osteoporosis" 20 : 2346-2348, 2000

      13 "Relative effects of prolactin excess and estrogen deficiency on bone in rats" 47 : 425-428, 1998

      14 "Prolactin and schizophrenia:Clinical consequences of hyperprolactinemia" 71 : 979-992, 2002

      15 "Prevalence of bone mineral density loss in korean patients with schizophrenia:A cross-sectional study" 67 : 1391-1396, 2006

      16 "Osteoporosis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162 : 162-167, 2005

      17 "Osteoporosis and schizophrenia:can we limit known risk factors" 38 : 131-132, 1995

      18 "Osteopenia in women with hypotha-lamic amenorrhea:a prospective study" 78 : 996-1001, 1991

      19 "Hyper-prolactinemia in response to antipsychotic drugs:char-acterization across comparative clinical trials" 28 : 69-82, 2003

      20 "Epidemiology of osteoporosis in united states of america" 68-72, 1997

      21 "Does serum cholesterol contribute to vertebral boneloss in postmenopausal women" 32 : 8-14, 2003

      22 "Decreased bone mineral density in medicated psychiatric patients" 57 : 485-491, 1995

      23 "Conversion of androstenedione to estrogen by human tissue" 35 : 627-30, 1972

      24 "Calcium metabolism in schizophrenic patients on long-term - 214 - neuroleptic therapy" 6 : 56-59, 1980

      25 "Bone mineral density,sex hormone,and long-term use of neu-roleptic agents in men" 3 : 209-213, 1997

      26 "Bone mineral density and prolactin associations in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59 : 17-18, 2003

      27 "Beck depression inventory의 한국판 표준화 연구" 21 : 69-75, 1978

      28 "Assessment of fracture risk and its application to screening for postmenopausal osteoporosois Report of a WHO Study Group" 1-12, 1994

      29 "Antipsychotic drugs,menstrual regularity and osteoporosis risk" 5 : 93-98,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8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 0.64 1.34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