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여가참여 대학생 진로태도성숙척도의 심리측정학적 특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631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진로태도성숙척도를 조사하고 심리측정학적 특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K와 W 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기학 (1997)이 개발하고, 이태정 (2003)이 선행...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진로태도성숙척도를 조사하고 심리측정학적 특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K와 W 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기학 (1997)이 개발하고, 이태정 (2003)이 선행논문을 토대로 구성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거된 자료 중 394명의 자료를 IBM SPSS STATISTICS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심리측정학적 특성은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하기 위하여 WINSTEPS 3.74 (Linacre, 2012)을 사용하여 피험자 신뢰도, 문항신뢰도, 척도수의 적절성, 문항적합도와 문항난이도, 척도자체의 난이도에 따른 적절성을 산출하였다. 첫째, 진로태도성숙 척도의 피험자 신뢰도와 척도자체의 신뢰도는 내-외적합도 .99∼1.00 으로 적합하였다. 둘째, 척도 범주수의 적절성에서는 단계지수로 판단한 결과 5점 척도가 적합하였다. 셋째, 문항적합도와 문항난이도분석에서는 총 3개 문항에서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넷째, 척도의 적절성에서는 대학교 학생들의 능력분포와 척도자체의 난이도면에서 판단할 때 진로태도성숙 척도는 타당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응준, "확대된 여가제약 척도의 심리측정학적 특성" 한국웰니스학회 7 (7): 129-139, 2012

      2 오수학, "통합적 개념으로서의 구인타당도" 2 : 67-77, 2000

      3 장석민, "진로성숙도 검사 표준화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1

      4 오수학, "운동지속수행 검사지의 구인타당화" 2 : 39-52, 2000

      5 김우경, "여가활동참여 대학생들의 몰입상태(flow state) 척도의 타당화" 한국체육학회 51 (51): 295-303, 2012

      6 엄한주, "심리검사지 개발 및 분석에 관한 고찰, In 스포츠심리학 연구법" 보경문화사 45-82, 1996

      7 조정환, "신체상 검사지의 구인타당화" 4 : 31-46, 2002

      8 김충기, "생애교육" 세광공사 1981

      9 지은림,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한 정보화마인드 척도 개발 및 초·중등 학생들의 수준 평가" 한국교육공학회 19 (19): 111-130, 2003

      10 이태정, "몰입 경험이 진로 태도 성숙 및 진로 결정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4

      1 김응준, "확대된 여가제약 척도의 심리측정학적 특성" 한국웰니스학회 7 (7): 129-139, 2012

      2 오수학, "통합적 개념으로서의 구인타당도" 2 : 67-77, 2000

      3 장석민, "진로성숙도 검사 표준화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1

      4 오수학, "운동지속수행 검사지의 구인타당화" 2 : 39-52, 2000

      5 김우경, "여가활동참여 대학생들의 몰입상태(flow state) 척도의 타당화" 한국체육학회 51 (51): 295-303, 2012

      6 엄한주, "심리검사지 개발 및 분석에 관한 고찰, In 스포츠심리학 연구법" 보경문화사 45-82, 1996

      7 조정환, "신체상 검사지의 구인타당화" 4 : 31-46, 2002

      8 김충기, "생애교육" 세광공사 1981

      9 지은림,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한 정보화마인드 척도 개발 및 초·중등 학생들의 수준 평가" 한국교육공학회 19 (19): 111-130, 2003

      10 이태정, "몰입 경험이 진로 태도 성숙 및 진로 결정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4

      11 김남흥,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2001

      12 김희진, "대학생의 자아정체감이 진로태도성숙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5 : 269-393, 2001

      13 지용근, "대학생의 가치관 명료도가 진로태도성숙 및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2

      14 김응준, "국가대표선수 과잉동조척도의 사회측정학적 특성과 타당화" 한국체육학회 52 (52): 135-147, 2013

      15 이규욱, "공업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성공태도 측정도구 개발" 한국직업교육학회 22 (22): 99-127, 2003

      16 이기학, "고등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심리적 변인들과의 관계 : 자아존중감, 직업가치, 내외통제성을 중심으로"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7

      17 金鳳煥, "大學生의 進路決定水準과 進路準備行動의 發達 및 二次元的 類型化"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18 Super, D. E., "Vocational development theory : Person, positions and process" 1 : 19-23, 1963

      19 Goodwin, L. D., "The role of factor analysis in the estimation of construct validity" 3 : 85-100, 1999

      20 APA, "Standard for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Testing"

      21 McNamara, T. F., "Measuring second language performance" Longman 1996

      22 Linacre, J. M., "Many-faceted Rasch measurement" MESA Press 2012

      23 Shepard, L. A., "Evaluating test validity, In Review of research in education"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405-450, 1993

      24 Winer, F. W., "Dimensions of career indecision" 37 : 98-106, 1992

      25 Chi, E., "Comparing holistic and analytic scoring for performance assessment with many facet model" 2 (2): 279-388, 2001

      26 Super, D. E.,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Jossey-Bass 1984

      27 Crites, J. O., "Career Maturity Inventory: Theory and research handbook" CBT/McGraw-Hill 1978

      28 Linacre, J. M., "A user’s guide to WINSTEPS. Rasch measurement Computer Program"

      29 Osipow, S. H., "A scale of educational-vocational undecidedness : A typological approach" 9 : 232-243, 197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웰니스학회 -> 한국웰니스학회지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for Wellness -> Journal of Wellnes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8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77 0.7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