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2차 헤이그 평화회의와 미국의 ‘세계평화전략’  :  ‘국제경찰’과 ‘약한 국가’ 처리문제를 중심으로 = The Second Hague Peace Conference and the U.S. World Peace Strategy: International Police System and Weak State Ques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481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표는 제2차 헤이그 평화회의에 한국이 참석할 수 없었던 이유를 미국의 세계 평화전략에 초점을 맞추어 밝히는 데 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일본의 방해에 못지않게 미국 또한 ...

      이 연구의 목표는 제2차 헤이그 평화회의에 한국이 참석할 수 없었던 이유를 미국의 세계 평화전략에 초점을 맞추어 밝히는 데 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일본의 방해에 못지않게 미국 또한 한국이 헤이그 평화회의에 초청되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반부인 제2장을 통해서 미국의 대한 인식이 경제적 관점에서 군사 · 전략적 관점으로 전환되는 배경과 과정을 추적했다. 이어 후반부인 제3장에서 미국이 구축하려던 평화체제의 핵심이 한국과 같은 약한국가 관리체제였음을 보여 주었다. 이를 통해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결론에 도달했다.
      첫째, 미국이 한국을 통상의 상대 국가에서 국제경찰에 의한 관리를 받아야 하는 약한 국가로 분류케 된 것은 동아시아에서 발생한 전쟁, 즉 청일 및 러일전쟁에서 기인한다. 이 두 전쟁은 미래의 전쟁이 어떤 양상으로 전개될 것인지를 예고했기 때문이다. 규모 및 파괴력에 있어서 세계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 미국의 판단이었다. 그리고 청일 및 러일전쟁은 기존의 세력균형을 바꾸어 놓음으로써 이미 미국의 안전을 위협하는 결과를 초래케 했다는 것이다. 그런데 만주와 더불어 한반도는 미국이 바로 그런 파급 효과를 지녔다고 해석한 두 전쟁의 원인이었다. 미국이 한반도에 대한 이익을 경제적 관점에서 군사 · 외교 안보적 관점으로 이동시킨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리고 헤이그에서 미국의 그러한 입장이 다시 한번 표출되었던 것이다.
      둘째, 미국이 구상하고 있던 세계 평화안에 따르면 한국은 이러한 회의에 참가할 자격이 없는 국가였다는 것이다. 미국의 세계평화안이 약한 국가를 관리할 수 있는 국제경찰제도 구축을 근간으로 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일본에게는 국제경찰의 지위가, 한국에게는 약한국가의 지위가 각각 부여되었다. 물론 이러한 논리는 한국과 일본에게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었다. 당시 미국은 전세계를 국제경찰 행위를 할 수 있는 국가와 이들의 관리를 받아야만 하는 국가로 나누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르면 영국 및 프랑스는 전자의 부류에, 독일과 러시아는 후자의 부류에 속했다. 독일과 러시아는 약한국가는 아니지만, 군사전제 국가로 규정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독일과 러시아는 정부 체제가 바뀌지 않는 한 국제경찰이 될 수 없었다. 한마디로 세계 평화를 위해 약한국가를 별도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는 미국의 전략은 헤이그에서 작용한 보이지 않는 손과 같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회의 개최 배경과 약한국가
      • 3. 세계적 국제경찰망과 중재조약체제의 구축
      • 4. 결론
      • 〈국문초록〉
      • 1. 서론
      • 2. 회의 개최 배경과 약한국가
      • 3. 세계적 국제경찰망과 중재조약체제의 구축
      • 4.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Clark, Ian, "지구화와 파편화 : 20세기 국제관계사, Globalization and Fragmentation: International Relations in Twentieth Century(일신사, 1997)"

      2 Schmitt, Carl, "대지의 노모스 : 유럽 공법의 국제법 Der Nomos der Erde" 민음사 1995

      3 金庚姬, "ハ グ 密使と國際紛爭平和的處理條約" 12 : 2000

      4 Roosevelt, Theodore, "The Works of Theodore Roosevelt, vols 20. AH-Bar Enterprises Copyrighter CD-Rom, 1997.?"

      5 Leiner, Frederick C., "The Unknown Efforts: Theodore Roosevelt’s Battleship Plan and International Arms Limitation Talk, 1906-1907, Military Affairs(October, 1984)"

      6 Davis, Calvin DeaMond, "The United States and Second Hague Peace Conference: American Diplomacy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 Duke University Press 1975

      7 Steinberg, John W., "The Russo-Japanese War in Global" World War Zero 2005

      8 Brown, James Scott, "The Proceedings of the Hague Peace Conferences volume Ⅰ, Ⅱ, Ⅲ" Oxford University Press 1920

      9 Kennedy, Paul, "The Parliament of Ma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the United Nations" Random House 2006

      10 Brierly, J. L., "The Law of Nations: An Introduction to the International Law of Peace" Oxford University Press 1963

      1 Clark, Ian, "지구화와 파편화 : 20세기 국제관계사, Globalization and Fragmentation: International Relations in Twentieth Century(일신사, 1997)"

      2 Schmitt, Carl, "대지의 노모스 : 유럽 공법의 국제법 Der Nomos der Erde" 민음사 1995

      3 金庚姬, "ハ グ 密使と國際紛爭平和的處理條約" 12 : 2000

      4 Roosevelt, Theodore, "The Works of Theodore Roosevelt, vols 20. AH-Bar Enterprises Copyrighter CD-Rom, 1997.?"

      5 Leiner, Frederick C., "The Unknown Efforts: Theodore Roosevelt’s Battleship Plan and International Arms Limitation Talk, 1906-1907, Military Affairs(October, 1984)"

      6 Davis, Calvin DeaMond, "The United States and Second Hague Peace Conference: American Diplomacy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 Duke University Press 1975

      7 Steinberg, John W., "The Russo-Japanese War in Global" World War Zero 2005

      8 Brown, James Scott, "The Proceedings of the Hague Peace Conferences volume Ⅰ, Ⅱ, Ⅲ" Oxford University Press 1920

      9 Kennedy, Paul, "The Parliament of Ma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the United Nations" Random House 2006

      10 Brierly, J. L., "The Law of Nations: An Introduction to the International Law of Peace" Oxford University Press 1963

      11 Kunz, Josef L., "The Idea of “Collective Security”in Pan-American Developments" 6 (6): 1953

      12 Brown, James Scott, "The Hague Peace Conference 1899 and 1907, Volume Ⅰ.-Conferences & Volume Ⅱ.-Documents" The Johns Hopkins Press 1909

      13 Dupuy, R. Ernest, "The Encyclopedia of Military History" Harper & Row Publishers 1977

      14 Eyffinger, Arthur, "The 1899 Hague Peace Conference: ‘The Parliament of Man"

      15 최정수, "T. Roosevelt의 ‘세계정책’" 한양대 2000

      16 Reid, Cecilie, "Peace and Law-Peace Activism and International Arbitration, 1895-1907" 29 (29): 2004

      17 Best, Geoffrey, "Peace Conferences and the Century of Total War: The 1899 Hague Conference and What Came After" 75 (75): 1999

      18 Ninkovich, Frank, "Modernity and Power: A History of the Domino Theory in the Twentieth Centur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4

      19 Roosevelt, Theodore, "Letters of Theodore Roosevelt, vols, 8" Harvard University Press 1951-1954,

      20 Hobson, "Disarmament, The American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vol. 2, No. 4(American Society of International Law, Oct., 1908)"

      21 Wright, Quincy, "A Study of War"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7

      22 Herring, Hubert, "A History of Latin America from the beginnings to the Present(New York, Alfred?A?Knope, 1968)"

      23 Gaddis, John Lewis, "9.11충격과 미국의 거대전략" 나남출판 2004

      24 김기정, "1901-1905년간의 미국의 대한정책(I): 데오도르 루스벨트(Theodore Roosevelt)의 세계관을 중심으로" 66 :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2-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9-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8 1.28 1.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89 2.254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