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예비초등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과 과학 정의적 특성의 상관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Scienc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297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scienc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is considered a characteristic of teachers which affects science teaching in elementary classrooms. 6...

      This study is about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scienc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is considered a characteristic of teachers which affects science teaching in elementary classrooms. 64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Form B developed by Enochs and Riggs(1990) was translated into Korean and used for data collection in April 2008. The Science Affective Characteristics Instrument was developed by Kim, Chung and Jeong (1998) of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used for data collection during the same period. Chronbach alpha coefficient of science teaching efficacy is .84 and science affective characteristics, .94. Science teaching efficacy score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s 3.77 on Likert's scale of five choices. Science affective characteristics score is 3.68 on Likert's scale of five choices. Science teaching efficacy show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igh school tracks such as science and non-science, a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and science-related and non-science-related tracks in universit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science affective characteristics is .64, which indicates a strong correl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초등교사들의 과학교수 효능감과 과학 정의적 특성은 어떠하며, 배경변인에 따라 과학교수 효능감과 과학의 정의적 특성이 차이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 과학교수효...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초등교사들의 과학교수 효능감과 과학 정의적 특성은 어떠하며, 배경변인에 따라 과학교수 효능감과 과학의 정의적 특성이 차이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 과학교수효능감과 과학 정의적 특성은 어느 정도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하위 범주에 따라 상관관계에 차이가 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교사 양성기관에서 초등 과학교수법 강의를 수강하는 예비 초등 교사 64명이었다. 검사 도구는 과학교수효능감 검사지 STEBI-B형(Enochs & Riggs, 1990)과 과학 정의적 특성 검사지(김효남, 정완호, 정진우, 1998)이다. 두 검사 도구의 문항은 모두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되었다. 검사는 2008년 4월에 실시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초등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은 평균이 3.77이었으며 하위 범주인 개인 효능은 3.92, 결과기대는 3.62이었다. 과학 정의적 특성 은 3.68이었으며, 하위 범주인 인식은 4.10, 흥미는 3.41, 태도는 3.54이었다. 둘째, 예비초등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과 과학 정의적 특성은 성별과 대학 심화과정에 따라서 차이가 없었으나 고등학교 계열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예비초등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은 과학 정의적 특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상관계수는 .64이었다. 개인 효능과 결과 기대는 서로 다른 특성을 보여주었는데, 개인 효능은 과학 정의적 특성의 하위 범주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지만, 결과 기대는 과학 정의적 특성의 하위 범주 중 인식과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고찰
      • Ⅲ. 연구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과학교수효능감과 과학 정의적 특성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고찰
      • Ⅲ. 연구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과학교수효능감과 과학 정의적 특성
      • 2. 배경 변인에 따른 과학교수효능감과 과학 정의적 특성
      • 3. 과학교수효능감과 과학 정의적 특성과의 상관관계
      • Ⅴ. 결론 및 제언
      • 참 고 문 헌
      • Abstract
      • 부록 1. 예비초등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 검사 및 결과
      • 부록 2. 과학 정의적 특성검사 및 결과
      • 부록 3. 교육적 배경에 관한 설문지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찬종, "포트폴리오 체제의 적용이 초등예비교사의 과학교수 자기 효능 신념에 미치는 영향" 20 (20): 183-192, 2000

      2 박성혜, "초등교사들의 과학교수 자기효능감과 과학 관련 배경 및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2001

      3 임희준, "초등 예비 교사들의 일반 교수 효능감과 과학 교수 효능감 비교"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6 (26): 131-139, 2007

      4 김정환, "자아효능감,동기유발,기대 및 자존심과 수행력의 역학 관계에 관한 이론적 고찰" 13 (13): 1-28, 1997

      5 조부경,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수 효능감에 따른 과학교수 실제" 21 (21): 622-634, 2001

      6 조형숙, "유아교사의 과학교수에 대한 자기효능감" 18 (18): 283-301, 1998

      7 김효남, "예비초등교사의 과학 정의적 특성과 과학교수자아효능감과의 상관관계" 2008

      8 임희준, "상황적 흥미를 고려한 초등과학교육 방법론 수업이미국 예비교사들의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교육학회 18 (18): 2005

      9 송연숙, "반성적 교수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과 유아의 과학 활동 참여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45-63, 2006

      10 김효남,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체제개발" 18 (18): 357-369, 1998

      1 김찬종, "포트폴리오 체제의 적용이 초등예비교사의 과학교수 자기 효능 신념에 미치는 영향" 20 (20): 183-192, 2000

      2 박성혜, "초등교사들의 과학교수 자기효능감과 과학 관련 배경 및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2001

      3 임희준, "초등 예비 교사들의 일반 교수 효능감과 과학 교수 효능감 비교"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6 (26): 131-139, 2007

      4 김정환, "자아효능감,동기유발,기대 및 자존심과 수행력의 역학 관계에 관한 이론적 고찰" 13 (13): 1-28, 1997

      5 조부경,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수 효능감에 따른 과학교수 실제" 21 (21): 622-634, 2001

      6 조형숙, "유아교사의 과학교수에 대한 자기효능감" 18 (18): 283-301, 1998

      7 김효남, "예비초등교사의 과학 정의적 특성과 과학교수자아효능감과의 상관관계" 2008

      8 임희준, "상황적 흥미를 고려한 초등과학교육 방법론 수업이미국 예비교사들의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교육학회 18 (18): 2005

      9 송연숙, "반성적 교수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과 유아의 과학 활동 참여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45-63, 2006

      10 김효남,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체제개발" 18 (18): 357-369, 1998

      11 박성혜, "교사양성 프로그램에서 과학 교육 과목이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과학교수 효능에 대한 신념에 미치는 영향" 17 (17): 33-44, 1998

      12 박정, "교사, 수업 그리고 학생 성취: TIMSS 1999 결과를 중심으로-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연구" 한국교육평가원 연구보고서 2004

      13 Martin, M. O., "TIMSS 1999 International Science Report: Findings from IEA's Repeat of Their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at the Eighth Grade"

      14 Bandura,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Prentice Hall 1986

      15 Bandura,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84): 191-215, 1977

      16 Enochs, L. G, "Further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A pre-service elementary scale" 90 (90): 694-706, 1990

      17 Myeong,J.O, "Factors affecting earth science problem solving performances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A study on the motions of the Moon and the Planets"

      18 허경철, "Bandura의 자아효능감 발달 이론과 자주성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18 : 67-84,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4 1.54 2.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9 2.24 2.372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