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IT전문매체의 홍보효과 연구 : 스타트업 홍보담당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 effect of IT specialized media: Focusing on the perceptions of startup publicis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6533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기술을 기반으로 창업한 스타트업의 홍보 효과를 위해 업종 관련 IT 전문지와 종합지의 선호도 및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스타트업의 홍보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스타트...

      본 연구는 기술을 기반으로 창업한 스타트업의 홍보 효과를 위해 업종 관련 IT 전문지와 종합지의 선호도 및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스타트업의 홍보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스타트업 대표와 홍보팀 담당자을 대상으로 매체 유형에 대한 뉴스 가치평가, 매체 신뢰도, 기자 전문성, 기사 심층성, 매체 역사성에 대한 변인을 탐색해보았다. 이를 위해 스타트업 대표와 홍보실무자을 대상으로 총 103개의 설문지 자료가 활용되었으며, IT 전문지(57.6%)가 종합지(42.4%)보다 매체 선호도가 높음이 확인되었다. 전체 응답자의 기업홍보 효과 측면에서 7점 척도의 만족도는 기업인지도(4.64), 기업 이미지(4.63), 제품 이미지(4.62), 매출액(3.82), 투자 유치(3.70), 시장 점유율(3.69), 영업 이익(3.67) 순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IT 전문지와 종합지를 선택한 응답자의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종합지를 선택한 응답자의 기업홍보 효과 평균값이 높게 나왔다. 이것은 종합지를 선택한 응답자의 수는 적었지만, 만족도 점수를 더 높게 준 것으로 해석된다. 이에 창업 연차별 매체 선택과 만족도를 확인한 결과, 6년 차 이하의 스타트업에서는 IT 전문지에서 ‘시장 점유율’과 ‘투자 유치’ 항목에 대한 수치는 미비하지만, 종합지를 역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스타트업, 벤처기업, 창업기업이 향후 초기 기업홍보를 위한 매체 유형 전략에 활용할 수 있는 실무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동시에 경쟁력 있는 매체 신뢰도를 살리기 위한 저널리즘적 전략을 세우는 것에도 중요한 결과라고 제안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startup publicists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IT specialized media and general media in promoting technology-based startups. To examine this, we surveyed 103 startup representatives 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startup publicists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IT specialized media and general media in promoting technology-based startups. To examine this, we surveyed 103 startup representatives and PR publicists, asking them to evaluate the news value, reliability of media, expertising of reporters, depth of articles, and historicity of media targeting startup representatives and PR managers. The results showed that IT specialized medias (57.6%) were preferred over general medias (42.4%) for promoting startups. In terms of the impact on corporate promotion, respondents rated corporate awareness (4.64), corporate image (4.63), product image (4.62), and sales record (3.82) as most effective, followed by investment amount (3.70), market share (3.69), and operating profit (3.67).
      However, when comparing the satisfaction of those who chose IT specialized medias versus those who chose general medias, the average score for the corporate public relations effect is higher among those who chose general medias, despite the smaller number of respondents who chose general medias. This suggests that IT specialized medias may be insufficient in terms of "market share" and "investment amount" for startups that are less than 6 years old, but this trend is reversed for general medias.
      These findings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startups, venture companies, and start-up companies to consider when developing media strategies for PR of early stage, and may also be useful for establishing a journalistic strategy to restore credibility in competitive medi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문제제기 1
      • 제 2 절 연구목적 4
      • 제 2 장 이론적 배경 및 문헌검토 8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문제제기 1
      • 제 2 절 연구목적 4
      • 제 2 장 이론적 배경 및 문헌검토 8
      • 제 1 절 전문지에 대한 기존 연구 8
      • 1. 전문지의 개념 8
      • 2. 전문지 매체 기능과 현황 11
      • 3. IT 전문지 평가 변인에 대한 조작적 정의 13
      • 1) 뉴스 가치평가 13
      • 2) 매체 신뢰도 14
      • 3) 기자 전문성 16
      • 4) 기사 심층성 17
      • 5) 매체 역사성 19
      • 제 2 절 스타트업에 대한 연구 20
      • 1. 스타트업의 개념 및 특성 20
      • 2. 스타트업의 홍보 마케팅 현황 23
      • 제 3 절 매체 활용과 홍보 효과에 대한 기존 연구 25
      • 1. 기업 실무자들의 홍보 효과 인식 25
      • 2. 매체 활용의 이용과 충족 이론적 접근 27
      • 제 3 장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29
      • 제 1 절 연구문제 29
      • 1. IT 전문지와 종합지의 매체 속성에 따른 홍보 효과 인식 29
      • 2. 홍보 매체 속성이 홍보 효과에 미치는 영향 29
      • 3. 매체 유형이 스타트업 홍보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30
      • 제 2 절 연구방법 31
      • 1. 주요 측정 변인의 조작적 정의 31
      • 2. 연구대상 선정 및 조사설계 32
      • 3. 자료 분석방법 33
      • 제 4 장 연구결과 35
      • 제 1 절 표본의 특성 35
      • 1.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35
      • 2. 업종 및 창업 연차별 응답자 분포 35
      • 제 2 절 스타트업의 홍보 효과를 위한 매체 이용 실태 37
      • 제 3 절 연구문제의 분석 39
      • 1. IT 전문지와 종합지의 이용과 매체 선호도 39
      • 2. 매체 선택의 주요 변인 파악 40
      • 1) 뉴스 가치평가의 주요 항목 결과 40
      • 2) 매체 신뢰도의 주요 항목 결과 42
      • 3) 기자 전문성의 주요 항목 결과 44
      • 4) 기사 심층성의 주요 항목 결과 45
      • 5) 매체 역사성의 주요 항목 결과 46
      • 3. 스타트업의 기업홍보 효과 항목 분석 47
      • 4. IT 전문지의 스타트업 홍보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8
      • 1) 전체 응답자의 매체 유형별 홍보 효과 48
      • 2) 창업 4년 차 기준으로 본 홍보 효과 49
      • 3) 창업 4년 차 기준으로 본 매체 유형별 홍보 효과 50
      • 4) 창업 6년 차 기준으로 본 매체 유형별 홍보 효과 51
      • 제 5 장 결론 53
      • 제 1 절 결과 요약 53
      • 제 2 절 시사점 및 한계점 54
      • 참고문헌 58
      • 부록(설문지) 65
      • Abstract 6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