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트랜스 휴머니즘 관점에서 분석한 사이보그 캐릭터디자인 연구 - <공각기동대>를 중심으로 - = A Study of the Cyber Character design from the Perspective of Transhumanism - Focused on <Ghost In The Shell>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786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a branch of post-humanism, trans humanism seeks to improve human conditions by "intentional evolution," affirming the transformation and strengthening of human spirit and flesh by science and technology. The SF genre of animation and film visually ...

      As a branch of post-humanism, trans humanism seeks to improve human conditions by "intentional evolution," affirming the transformation and strengthening of human spirit and flesh by science and technology. The SF genre of animation and film visually specifies these reasons. The long-length animation and live action film, which takes Japanese cartoonist Masamune's original comics as the source, develops different points of view of trans humanism on the same source narrative. In this pa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yborg character design shown in the feature animation series and the due diligence film, and to compare each of its types to confirm the expectations and prospects of post-humans in which these trans humanistic designs are oriented. First, we analyzed the character designs of Kusanagi Motoko, Barto and Tachikoma, the cyborg characters of the feature animation series <Ghost In The Shell(1995)>, and then analyzed the character designs of the cyborg characters Mira Callian, Barto and Spider tanks in the due diligence film, to compare the two. Through analysis and comparison methods, we extracted types of complex hardening, menstrual hardening and biomimicry, and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each type of cyborg character extracted, we were able to see what the differences were between the trans humanistic outlook of the 1990s and 2000s and the prospects of trans humanism and the existe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re perceived as a reality. Motoko Kusanagi, the main character of Oshii Mamoru's animated cyborg, released in 1995, showed a radical post-human outlook as a hub that flows through the data network beyond the combination of humans and machines, while Mira Callian, the protagonist in the 2017 due diligence film, suggested an alternative to accepting the daily life of trans humanism as a reality amid vigilance and concern over the prospects of the form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포스트 휴머니즘의 한 갈래로서 트랜스 휴머니즘은 ‘의지적 진화’에 의한 인간의 개선을 추구한다. 과학과 테크놀로지에 의한 인간 정신 및 육체에 대한 변형과 강화를 긍정하는 트랜스 ...

      포스트 휴머니즘의 한 갈래로서 트랜스 휴머니즘은 ‘의지적 진화’에 의한 인간의 개선을 추구한다. 과학과 테크놀로지에 의한 인간 정신 및 육체에 대한 변형과 강화를 긍정하는 트랜스 휴머니즘의 표현은 애니메이션과 실사영화의 SF 장르에서 구체화되었다. 그 대표적 작품 중 하나인『공각기동대』는 장편 애니메이션과 실사영화로 제작되었으며 동일한 원천서사에 대한 서로 다른 시점의 트랜스 휴머니즘을 전개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장편 애니메이션 및 실사영화에 나타난 사이보그 캐릭터 디자인을 분석하고, 그 각각의 유형을 비교함으로써 트랜스 휴머니즘 디자인이 지향하는 포스트 휴먼의 기대와 전망을 확인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먼저 장편 애니메이션 시리즈 <공각기동대>의 사이보그 캐릭터인 쿠사나기 모토코, 바토, 타치코마의 캐릭터 디자인을 분석하고, 다음으로 실사영화 <공각기동대>의 사이보그 캐릭터인 미라 캘리언, 바토, 스파이더 탱크의 캐릭터 디자인을 분석해 양자를 비교하였다. 분석과 비교의 방식을 통해 복합강화, 생리강화, 생물체모방 등 유형을 추출했으며, 추출된 사이보그 캐릭터 유형이 지니는 각각의 특성과 의의를 살핌으로써, 1990년대와 2000년대의 트랜스 휴머니즘 전망과 트랜스 휴먼과 인공지능의 존재가 현실태로서 받아들여지고 있는 오늘날 트랜스 휴먼의 전망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 파악할 수 있었다. 1995년 개봉된 오시이 마모루의 애니메이션의 사이보그 캐릭터 주인공 쿠사나기 모토코는 인간과 기계의 결합을 넘어서 데이터 네트워크 속에서 유동하는 허브로서 새롭게 갱신-‘진화’-되는 급진적인 포스트 휴먼 전망을 보여주었으며, 2017년의 실사영화 속의 주인공 미라 캘리언은 전자의 전망에 대한 경계와 우려 속에서 트랜스 휴머니즘이 현실화되어 가고 있는 일상을 수용하는 포스트 휴먼의 윤리적 대안을 제시하였다고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로버트 페페렐, "포스트 휴먼의 조건 : 뇌를 넘어선의식" 아카넷 2017

      2 "트랜스 휴머니즘"

      3 석찬, "장자(莊子)의 괴탄(怪誕) 사상으로 표현된 기형미적 특성에 관한 연구-게임<왕자영요(王者榮耀)>의 캐릭터 디자인을 중심으로-"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53) : 211-251, 2018

      4 변순용, "인공지능로봇을 위한 윤리 가이드라인 연구 - 인공지능로봇윤리의 4원칙을 중심으로 -" 한국윤리교육학회 (47) : 233-252, 2018

      5 "알파고_대_이세돌"

      6 고인석, "아시모프의 로봇 3법칙 다시 보기: 윤리적인 로봇 만들기" 철학연구회 (93) : 97-120, 2011

      7 프랑크 하르트만, "미디어 철학" 북코리아 2008

      8 이지언, "도나 해러웨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7

      9 앤디 클락, "내추럴-본 사이보그" 아카넷 2015

      10 시로 마사무네, "공각기동대 1" 대원씨아이 2017

      1 로버트 페페렐, "포스트 휴먼의 조건 : 뇌를 넘어선의식" 아카넷 2017

      2 "트랜스 휴머니즘"

      3 석찬, "장자(莊子)의 괴탄(怪誕) 사상으로 표현된 기형미적 특성에 관한 연구-게임<왕자영요(王者榮耀)>의 캐릭터 디자인을 중심으로-"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53) : 211-251, 2018

      4 변순용, "인공지능로봇을 위한 윤리 가이드라인 연구 - 인공지능로봇윤리의 4원칙을 중심으로 -" 한국윤리교육학회 (47) : 233-252, 2018

      5 "알파고_대_이세돌"

      6 고인석, "아시모프의 로봇 3법칙 다시 보기: 윤리적인 로봇 만들기" 철학연구회 (93) : 97-120, 2011

      7 프랑크 하르트만, "미디어 철학" 북코리아 2008

      8 이지언, "도나 해러웨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7

      9 앤디 클락, "내추럴-본 사이보그" 아카넷 2015

      10 시로 마사무네, "공각기동대 1" 대원씨아이 2017

      11 士郎正宗, "攻壳机动队" 2017

      12 張巍, "哈拉維的賽博格思想硏究" 哈爾濱工業大學 2006

      13 "https://nickbostrom.com/papers/future.pdf"

      14 "https://namu.wiki/w/%EC%BF%A0%EC%82%AC%EB%82%98%EA%B8%B0%20%EB%AA%A 8%ED%86%A0%EC%BD%94"

      15 "http://jetpress.org/volume14/bostrom.html"

      16 고창원, "SF의 힘" 추수밭 2017

      17 Edward Wilson, "Consillience" Random House 1993

      18 천현득, ""킬러 로봇"을 넘어: 자율적 군사로봇의 윤리적 문제들" 이화인문과학원 12 (12): 5-31,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7-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단법인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4 0.64 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7 0.66 0.988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