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의복제작을 위한 3차원 인체형상각도의 자동측정 연구 = A Study on the Automatic Measurement of 3D Body Angle for Appar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672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3차원 인체 형상 데이터 분석 방법의 효율성 향상을 위해 3차원 인체 형상 각도를 자동 측정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의복제작을 목적으로 하는 선행연...

      본 연구의 목적은 3차원 인체 형상 데이터 분석 방법의 효율성 향상을 위해 3차원 인체 형상 각도를 자동 측정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의복제작을 목적으로 하는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3차원 인체 형상 각도자동측정프로그램에 반영할 측정항목 22개를 도출하여 SNU Auto BAM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SNU Auto BAM 프로그램은 정의된 각도 항목이 자동 측정되어 데이터화 되며, 각도의 측정은 세 점에 의한 각도 측정, 두 점과 수평면에 대한 각도 측정, 또는 두 점과 수직면에 대한 각도의 측정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측정 결과는 엑셀 파일로 내보내지도록 프로그램이 구성되었다. 사이즈코리아 6차인체치수 조사사업(2010)의 20대, 30대, 40대, 50대 연령별 여성 3차원 표준형상을 연구 대상으로 측정을 실시하였다. SNU Auto BAM 프로그램의 사용성 평가를 위해 기존의 인체 형상 각도 측정 방법과 측정치를 비교 분석한 결과 기존의 각도측정방법 보다 높은 수준의 반복 정밀도와 시간적인 면에서의 효율성을 보였다. 또한 2차원 데이터를 시각적인 판단에 의해 분석하게 되는 기존 방식보다는 자동으로 각도를 획득하는 SNU Auto BAM 프로그램이 측정의 정확도면에서도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SNU Auto BAM은 전통적인 방식으로는 접근이 불가능 했던 수평면에 투영된 인체형상에 대한 각도 항목을 획득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며, 사진측정을 통한 인체 각도 측정의 오차와 왜곡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아니라 3차원 형상 데이터를 이용해서 수작업으로 각도를 측정하는 과정에 효율성과 정확성을 부여하고 측정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이며, 손쉬운 반복 측정을 통해 재현성을 확보함으로써 3차원 인체형상 데이터를 보다 쉽게 가공하여 추후 의복제작을 위한 체형 파악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evaluate a program that automatically measures the 3D human body shape angle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3D human body shape data analysis methods. By considering advanced research for creating clothes, 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evaluate a program that automatically measures the 3D human body shape angle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3D human body shape data analysis methods. By considering advanced research for creating clothes, 22 measurement items reflected for the 3D human body shape angle automatic measuring programs were deduced to develop the SNU Auto BAM program . The SNU Auto BAM program automatically measures and databases the defined angle items; the measurement of angles takes place by angle measurement using three points, that on two points and a horizontal plane, and that on two points and the angle of vertical plane. A program was configured to export the measurement results to an excel file. 3D female standard shapes of 20s, 30s, 40s, and 50s of the 6th size Korea human body shape project (2010) were set as the research subject.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conventional human body shape angle measuring method for evaluating the usability of the SNU Auto BAM program, higher efficiency was shown in the repetitive precision and time aspects. In addition, the SNU Auto BAM program, which automatically obtains angles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that analyzes 2D data with visual judgment, was evaluated to have outstanding accuracy of measurement. The SNU Auto BAM has an advantage that it gains angle items on human shapes that reflect horizontal planes; this was impossible with traditional methods and can solve human body angle measurement error and distortion through photo measurement. Moreover, efficiency and accuracy are added to the process of measuring angles by using 3D shape data with manual operation to increase reliability and reproducibility; this is secured through easy repeated measurement for easy 3D human body shape data manufacturing, in which it is expected to be diversely used to investigate body shapes to create cloth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정임, "한국인 여성의 표준체형에 관한 연구 : 18~24세여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2 성옥진, "중년 남성의 하반신 체형분류에 관한연구" 한국의류학회 28 (28): 499-508, 2004

      3 장혜경, "여고생 ( 16 ~ 18 세 ) 의 체형 분류 (2) - 측면 및 전신체형 분류" 7 (7): 824-836, 1999

      4 김선영, "슬랙스 맞음새의 정량적 평가 기준 설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5 권숙희, "보문 : 다변량분석법에 의한 측면전신체형 분류" 21 (21): 1227-1235, 1997

      6 정재은, "보문 : 남성의 동체부 체형 분류 ( 제 1 보 ) - 인체의 형태에 의한 정면 체형의 분류" 26 (26): 1026-1035, 2002

      7 나현신, "미국 여성의 3차원 바디 스캔 이미지 분석을 통한 상반신 측면체형 분류" 한국복식학회 57 (57): 9-17, 2007

      8 "http://sizekorea.kats.go.kr"

      9 Sook Cho, Y., "Computerized pattern making focus on fitting to 3D human body shapes" 22 (22): 16-24, 2010

      10 Ashdown, S. P., "Comparison of 3-D body scan data to quantify upper-body postural variation in older and younger women" 2008

      1 이정임, "한국인 여성의 표준체형에 관한 연구 : 18~24세여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2 성옥진, "중년 남성의 하반신 체형분류에 관한연구" 한국의류학회 28 (28): 499-508, 2004

      3 장혜경, "여고생 ( 16 ~ 18 세 ) 의 체형 분류 (2) - 측면 및 전신체형 분류" 7 (7): 824-836, 1999

      4 김선영, "슬랙스 맞음새의 정량적 평가 기준 설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5 권숙희, "보문 : 다변량분석법에 의한 측면전신체형 분류" 21 (21): 1227-1235, 1997

      6 정재은, "보문 : 남성의 동체부 체형 분류 ( 제 1 보 ) - 인체의 형태에 의한 정면 체형의 분류" 26 (26): 1026-1035, 2002

      7 나현신, "미국 여성의 3차원 바디 스캔 이미지 분석을 통한 상반신 측면체형 분류" 한국복식학회 57 (57): 9-17, 2007

      8 "http://sizekorea.kats.go.kr"

      9 Sook Cho, Y., "Computerized pattern making focus on fitting to 3D human body shapes" 22 (22): 16-24, 2010

      10 Ashdown, S. P., "Comparison of 3-D body scan data to quantify upper-body postural variation in older and younger women" 2008

      11 Chin-Manchen, "Analysis of upper physical characteristics based on angle measurements" 2011

      12 Choi, S, "3D body scan analysis of dimensional change in lower body measurements for active body positions"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