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자영, "헌법적 가치 함양을 위한 헌법교육의 방법 연구" 한국법교육학회 9 (9): 51-72, 2014
2 이호준 ; 송경오 ; 김나영, "학생의 학교 참여'에 관한 개념적 고찰 및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학교 참여 실태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9 (39): 123-152, 2021
3 박하나 ; 조현희 ; 김종훈 ; 정수정 ; 엄수정, "학교급별 민주시민교육, 무엇을 가르쳐야 할까"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3 (53): 1-29, 2021
4 송현정 ; 윤노아,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개념과 목표에 대한 델파이 조사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3 (53): 83-116, 2021
5 강대현 ; 은지용, "초․중등 사회과 민주시민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4 (54): 221-245, 2022
6 김수지 ; 이정자, "진로장벽,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학교, 인문고, 특성화고 비교" 한국재활심리학회 20 (20): 119-136, 2013
7 박병기, "윤리학과 도덕교육1" 인간사랑 2007
8 이재열, "시대적 전환과 공공성, 그리고 사회적 가치" 한국행정연구원 28 (28): 1-33, 2019
9 신희주, "서울특별시교육청 사회적 가치 교육 지원을 위한 기초 연구"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2021
10 이재열, "사회적 가치와 사회 혁신: 지속가능한 상생공동체를 위하여" 한울 아카데미 2018
1 김자영, "헌법적 가치 함양을 위한 헌법교육의 방법 연구" 한국법교육학회 9 (9): 51-72, 2014
2 이호준 ; 송경오 ; 김나영, "학생의 학교 참여'에 관한 개념적 고찰 및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학교 참여 실태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9 (39): 123-152, 2021
3 박하나 ; 조현희 ; 김종훈 ; 정수정 ; 엄수정, "학교급별 민주시민교육, 무엇을 가르쳐야 할까"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3 (53): 1-29, 2021
4 송현정 ; 윤노아,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개념과 목표에 대한 델파이 조사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3 (53): 83-116, 2021
5 강대현 ; 은지용, "초․중등 사회과 민주시민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4 (54): 221-245, 2022
6 김수지 ; 이정자, "진로장벽,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학교, 인문고, 특성화고 비교" 한국재활심리학회 20 (20): 119-136, 2013
7 박병기, "윤리학과 도덕교육1" 인간사랑 2007
8 이재열, "시대적 전환과 공공성, 그리고 사회적 가치" 한국행정연구원 28 (28): 1-33, 2019
9 신희주, "서울특별시교육청 사회적 가치 교육 지원을 위한 기초 연구"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2021
10 이재열, "사회적 가치와 사회 혁신: 지속가능한 상생공동체를 위하여" 한울 아카데미 2018
11 박명규, "사회적 가치와 사회 혁신: 지속가능한 상생공동체를 위하여" 한울 아카데미 2018
12 김홍중, "사회적 가치와 사회 혁신: 지속가능한 상생공동체를 위하여" 한울 아카데미 2018
13 김경동, "사회적 가치: 문명론적 성찰과 비전" 푸른사상사 2019
14 윤수정, "사회적 가치 실현과 헌법" 한국비교공법학회 19 (19): 197-222, 2018
15 이재열, "사회의 질, 경쟁, 그리고 행복" 아시아연구소 4 (4): 3-29, 2015
16 모경환, "사회과교육" 동문사 2021
17 김경은, "사회과 핵심역량 중심의 창의·인성교육 수업 자료 개발: 공감적 활동에 기반한 문제해결형"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1 (51): 87-101, 2012
18 교육부, "사회과 교육과정"
19 강대현 ; 설규주, "사회과 가치교육의 방법과 전략 -가치교육 방법의 종합적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6 (46): 1-35, 2014
20 정원규, "민주시민교육: 초‧중등학교 민주시민교육 추진 제안서" 이화여자대학교 학교폭력예방연구소 2018
21 교육부, "민주시민교육 활성화를 위한 종합계획" 민주시민교육과 2018
22 김홍수 ; 나종만, "도덕과 정치 관련 교육의 쟁점과 개선 방향: 민주시민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76) : 181-208, 2022
23 교육부, "도덕과 교육과정"
24 Kohlberg, L., "도덕 발달의 철학: 도덕단계와 정의의 관념" 교육과학사 1985
25 Coombs, J. R., "가치분석의 교수전략. 가치교육: 가치분석의 이론적 근거, 교수전략, 교수과정" 철학과 현실사 1992
26 Raths, L. E., "가치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가치명료화 이론과 교수전략" 철학과 현실사 1994
27 정호범, "가치교육에 있어서 가치판단의 정당화"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5 (15): 25-44, 2008
28 Helliwell, J. F., "World Happiness Report 2022" Sustainable Development Solutions Networks 2022
29 Jonassen, D. H., "Toward a design theory of problem solving" 48 (48): 63-85, 2000
30 Land, S. M., "Theoretical foundations of learning environments" Routledge 3-25, 2012
31 Beck, W., "Social Quality: A Vision for Europe" Kluwer Law International
32 OECD, "OECD Learning Compass 2030"
33 Martilla, J.,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41 (41): 77-79, 1977
34 IPCC, "Global Warming of 1.5℃"
35 Noddings, N., "Caring: A Relational Approach to Ethics and Moral Educ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3
36 Schwartz, D. L., "A time for telling" 16 (16): 475-5223,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