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Radiotherapy in Locoregional Recurrent Breast Carcinom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7916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소적으로 재발된 유방암의 경우, 근래에 와서 치료법의 발달로 관해율도 증가되고, 또한 환자의 수명도 연장시킬 수 있다는 보고가 증가되고 아울러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

      국소적으로 재발된 유방암의 경우, 근래에 와서 치료법의 발달로 관해율도 증가되고, 또한 환자의 수명도 연장시킬 수 있다는 보고가 증가되고 아울러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이런 국소 재발된 유방암을 가진 환자의 특성과 치료에 대한 실패양상, 그리고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분석하여 이들 환자에 대한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서울대학교 병원에서는 1979년에서 1986년까지 치료받은 총 33예에 대해서 분석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5예(45%)에서 흉벽에 국한되어 재발하였고, 18예가 임파절에 재발을 하였다. 초기 치료후 36개월만에 87%가 재발을 보였다. 완전절제를 받아 방사선치료에 대한 판정을 할 수 없었던 8예를 제외한 25예에서 72%(18예)가 방사선치료 후 완전관해를 보였다. 국소재발 후 3년 동안의 생존율은 50%였다. 초기 치료후 2년 이내 재발한 환자들의 3년 생존율은 24%였고, 2년 이후 재발은 경우는 100%였다. 흉벽에만 재발한 경우, 3년 생존율은 57%였고, 임파절에만 재발한 경우는 43%였다. 후자의 경우 대부분의 원격전이를 보였다. 완전관해를 보인 예와, 그렇지 않은 예에서는 각각 63%의 3년 생존율, 그리고 33%의 1년 생존율을 보였다. 3명의 환자가 대측 유방에 암을 보였다. 원발성 유방암에 대해서 수술과 전신치료를 함께 받은 경우는 3년 생존율이 40%였고, 수술만 시행한 경우는 71%였다. 방사선 치료후 후속적 재발을 보인 경우의 2년 생존율은 25%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rty eight women with recurrent breast carcinoma involving chest wall and/or regional lymph nodes after surgery with or without systemic therapy were treated with radiation between 1979 and 1986. Among them, 5 patients were excluded from analysis be...

      Thirty eight women with recurrent breast carcinoma involving chest wall and/or regional lymph nodes after surgery with or without systemic therapy were treated with radiation between 1979 and 1986. Among them, 5 patients were excluded from analysis because of incomplete treatment. The median follow up of survivors was 30 months (randged 1-79 months). Fifteen (45%) patients had their disease confined to the chest wall and eighteen patients had lymph node involvement as some of their locoregional recurrent disease. Within 36 months after the initial treatment, 87% of recurrences manifested themselves. All patients had radiotherapy to at least the site of involvement. In 8 patients, recurrent tumors were treated with complete excision followed by radiation. Of the remaining 25 patients, 18(72%) had complete response (CR) following radiotherapy. The actuarial 3-year survival of all patients following locoregional recurrence was 50%. Three year survival was 24% in those 25 patients who had recurrences within 24 months of the initial treatment. For those 8 patients whose recurrences occurred after more than 24 month disease free interval, the 3-year survival was 100%. For those patients with recurrences confined to chest wall alone, 3-year survival was 57%. The patients who had lymph node involvement as part of their locoregional recurrences had a 43% 3-year survival. The majority of them developed distant metastases. Those patients who had a CR showed 63% 3-year survival. On the other hand, 1 year survival was only 33% for those patients who had a less than CR. Three patients developed carcinoma of the contralateral breast following radiotherapy. Three year survival following locoregional recurrence was 40% for patients whose initial treatment for their primary breast carcinoma was surgery and adjuvant systemic therapy. For those patients whose primary breast carcinoma was treated by surgery alone, the 3-year survival following locoregional recurrence was 71%. In patients who had subsequent recurrence after radiotherapy, the actuarial survival was 25% at 2 year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