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비자본주의 시대의 농촌관광과 민속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191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2000년대 들어 전국적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농촌관광의 사회적 의미를 거시적인 차원에서 검토하는 한편, 농촌관광을 계기로 나타나기 시작한 마을의 구체적인 변화상을 들...

      이 글에서는 2000년대 들어 전국적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농촌관광의 사회적 의미를 거시적인 차원에서 검토하는 한편, 농촌관광을 계기로 나타나기 시작한 마을의 구체적인 변화상을 들여다보았다. 우선 기초식량의 공급지로만 여겨지던 농촌이 관광의 대상으로 떠오르게 된 사회적 조건과 맥락을 파악하기 위해 현대 소비자본주의 시스템의 특징을 짚어보았다. 더불어 유럽으로부터 도입된 농촌정책 패러다임의 선회가 유연적 축적 체계 및 소비자본주의 시스템의 등장과 어떻게 연동하는지를 검토했다.
      다음, 이러한 정치경제적 배경 하에서 거시적인 변동의 파고를 힘겹게 넘고 있는 한 마을의 농촌관광 사업과 그 실천 과정을 주목했다. 특히 그 사업을 추진하면서 마을 민속이 어떻게 유용되는지, 그 결과 어떤 변화의 조짐들이 나타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농촌관광사업이 마을 공동체의 농가소득을 실질적으로 증대시키는 데 얼마만큼 기여할지는 여전히 의문이지만, 그 사업이 기존의 마을 문화를 재편하는 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은 분명한 듯하다. 그 재편의 양상이 마을 명칭이나 외관뿐만 아니라, 주민들의 인식 및 그들 간의 내밀한 관계 질서에서도 포착되는 까닭이다.
      무엇보다 이 마을은 농촌관광 사업을 추진한 이래 현재까지 사업을 둘러싼 주민 간 갈등이 끊이지 않았다. 그 갈등이 표면적으로는 경제적 이익을 둘러싸고 노정되었지만, 그 배후에는 사업 추진을 계기로 재편되기 시작한 마을 질서에 대한 주민들의 서로 다른 대응 방식이 부딪치고 있었다. 그 재편의 과정은 새로운 질서에 대한 기존 질서의 도전과 저항, 배제와 타협의 복합적인 양상을 띠고 전개되었던바, 그 과정이 결과적으로 소비자본주의 시대 시장 논리로의 편입과 적응으로 귀결될지는 아직 미지수다. 그들은 현재의 불협화음을 “병”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그 병의 치유 방도를 오늘도 여전히 모색 중에 있기 때문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tried to investigate the social meaning of green tourism unfolded countrywide in the noughties and to observe concrete changing aspect of small village with it as a momentum. First, this paper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consumer...

      This paper tried to investigate the social meaning of green tourism unfolded countrywide in the noughties and to observe concrete changing aspect of small village with it as a momentum. First, this paper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consumer capitalism in order to understand social condition and economic context that rural district, regarded only as a center of food supply before, became tourism attraction. And also it investigated that the paradigm transformation of rural politics imported from Europe is connected to this consumer capitalism and the flexible accumulation system.
      Next, this paper pursued the green tourism and its practical phases in a village affected by the wide fluctuation. It examined especially how is appropriated folklore of village in that phase and which indications of change are given. It isn"t sure that tourism business helps to increase incomes for rural village, but sure that tourism business contributes to transform the culture of village. Because its indication we can"t see only at the surface as the name and external appearance of the village, but also behind them as internal relationship of residents.
      There has been ceaseless conflict among residents in the village over the business. The ostensible reason of the conflict was economic, but at the back the different responses on the changing social order by the business have been meeting fiercely with each other. Therefore the process has been involved complicated mix with provocation, resistance, exclusion and compromise among old and new social orders. Consequently there is yet to be known that the process results in incorporation and adaptation to market system of the consumer capitalism. The residents are representing the dissonant chords today as “illness”, and searching for the cure still now in their own wa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며
      • Ⅱ. 소비자본주의와 장소 경쟁
      • Ⅲ. 농촌정책 패러다임의 변화와 농촌관광
      • Ⅳ. 마을에서 본 농촌관광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며
      • Ⅱ. 소비자본주의와 장소 경쟁
      • Ⅲ. 농촌정책 패러다임의 변화와 농촌관광
      • Ⅳ. 마을에서 본 농촌관광
      • Ⅴ. 나오며-변화와 봉합의 조짐들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철규, "한국 농업체제의 위기와 세계화: 거시역사적 접근" 한국농촌사회학회 16 (16): 183-212, 2006

      2 "한겨레"

      3 D. Harvey, "포스트모더니티의 조건" 한울 2009

      4 C. Rojek, "포스트모더니즘과 여가" 일신사 2006

      5 강내희, "소비자본주의와 텍스트의 정치" 문화과학사 59 : 2009

      6 이영자, "소비자본주의와 주부" 한국인문사회과학회 33 (33): 145-171, 2009

      7 유광민, "세계화와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에서 한 · 영의 농촌관광정책 비교연구" 한국농촌관광학회 15 (15): 31-58, 2008

      8 이해진, "농촌정책 패러다임의 변화와 농촌지역개발사업-‘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을 사례로-" 한국농촌사회학회 19 (19): 7-47, 2009

      9 정수진, "농촌관광과 민속학 연구 재고-이천 자채방아 마을 사례로부터-" 실천민속학회 13 : 95-122, 2009

      10 박진도, "농촌개발정책의 한일간 바교연구" 한일경상학회 31 : 87-110, 2005

      1 김철규, "한국 농업체제의 위기와 세계화: 거시역사적 접근" 한국농촌사회학회 16 (16): 183-212, 2006

      2 "한겨레"

      3 D. Harvey, "포스트모더니티의 조건" 한울 2009

      4 C. Rojek, "포스트모더니즘과 여가" 일신사 2006

      5 강내희, "소비자본주의와 텍스트의 정치" 문화과학사 59 : 2009

      6 이영자, "소비자본주의와 주부" 한국인문사회과학회 33 (33): 145-171, 2009

      7 유광민, "세계화와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에서 한 · 영의 농촌관광정책 비교연구" 한국농촌관광학회 15 (15): 31-58, 2008

      8 이해진, "농촌정책 패러다임의 변화와 농촌지역개발사업-‘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을 사례로-" 한국농촌사회학회 19 (19): 7-47, 2009

      9 정수진, "농촌관광과 민속학 연구 재고-이천 자채방아 마을 사례로부터-" 실천민속학회 13 : 95-122, 2009

      10 박진도, "농촌개발정책의 한일간 바교연구" 한일경상학회 31 : 87-110, 2005

      11 박형신, "낭만주의 윤리와 근대 소비주의 정신" 나남 2010

      12 N. Wang, "관광과 근대성" 일신사 2004

      13 이가람, "감정노동" 이매진 2009

      14 OECD, "Cultivating Rural Amenities:an economic development perspective" OECD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64 0.965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