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영형태별 산지 초지의 생산성 및 사료가치 비교 연구 = Comparative Study on the Productivity and Quality of Hilly Pasture by Management typ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960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시험은 목장 경영형태에 따른 산지초지 조성시 생산성과 사료가치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시험에 이용된 초지는 강원도 평창군에 위치한 서울대학교 평창캠퍼스의 시험...

      본 시험은 목장 경영형태에 따른 산지초지 조성시 생산성과 사료가치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시험에 이용된 초지는 강원도 평창군에 위치한 서울대학교 평창캠퍼스의 시험목장내에 2014년 9월 3일에 조사료 생산형(Forage production type, FP; 오차드그라스 18 + 톨페스큐 12 + 티머시 5 + 화이트클로버 5 kg/ha) 초지와 공공 목장형 (Public farm type, PF; 오차드그라스 12 + 톨페스큐 18 + 티머시 5 + 화이트클로버 5 kg/ha) 초지를 각각 0.5ha씩 조성을 하여 매년 4회 수확 또는 방목을 실시하였으며 파종된 목초의 생육특성, 수량 및 사료가치를 조사하였다. 초장은 화본과목초는 1차 수확시 가장 길었으며 두과목초는 2차 수확시에 가장 길었다. 건물함량은 매년 1차 수확시 가장 높았으며 2차 수확시 유의적으로 낮았다 (p<0.05). 그러나 2년차에서는 2차, 3차 및 4차 수확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p>0.05). 식생변화에 있어서는 조성이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두과목초의 비율이 점차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2차 및 3차 수확시 잡초와 나지의 비율이 높았지만 4차 수확시는 줄어들었다. 생초 수량은 1년차 전 수확시기에서 목장 형태별 유의성이 있었으나 2년차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건물 수량도 생초수량과 같은 경향을 보였으며 전체적으로는 조사료 생산형 초지의 수량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5). 공공목장형 초지의 가축 섭취량은 1년차에서는 1,452 kg/ha 이었으나 2년차에는 1,743 kg/ha로 더 높았으며 방목이용율은 3차 방목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경영형태별 초지의 사료가치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수확시기 간에는 차이가 나타났다. 조단백질 함량은 1차 수확시 가장 낮았으며 TND 함량은 1차 수확시 가장 높았고 RFV 값은 4차 수확시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한국형 산지초지 조성을 위해서는 현장 상황에 맞는 초지의 조성이 중요하며 생산성에 있어서는 조사료 생산형 모델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출된 결과들은 향후 공공목장형 초지 이용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되었으면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change of productivity and feed value in different types of hilly pasture. The pasture utilized in the experiment was placed on the experimental farm of Pyeongchang Campu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Fora...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change of productivity and feed value in different types of hilly pasture. The pasture utilized in the experiment was placed on the experimental farm of Pyeongchang Campu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Forage production type(FP; Orchardgrass 18 + Tall Fescue 12 + Timothy 5 + White clover 5 kg/ha) and Public farm type(PF: Orchardgrass 12 + Tall Fescue 18 + Timothy 5 + White clover 5 kg/ha) pasture were established in September 3, 2014 and utilized (cutting or grazing) four times every year. Growth characteristics, yield and forage quality were investigated for two years. Plant height of grasses was the highest in the $1^{st}$ cutting and legumes was in the $2^{nd}$ cutting. Dry matter (DM) content was highest at every the $1^{st}$ cut grasses significantly lower at the $2^{nd}$ harvest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2^{nd}$, $3^{rd}$ and $4^{th}$ harvest in 2016. In the botanical composition change, the portion of legume was gradually increased after pasture establishment and the ratio of weed and bare land was higher at $2^{nd}$ and $3^{rd}$ cutting, but it was decreased at $4^{th}$ harve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2016 of fresh yield between two farm types (p>0.05). The yield of dry matter showed similar trend of fresh yield and forage production type was higher than that of public farm type (p<0.05). The forage intake by livestock was 1,452 kg/ha in 2015 and 1,743 kg/ha in 2016. Pasture utilization ratio of public farm type pasture was highest in the $3^{rd}$ grazing time. Forage quality of pasture in relation to management type had not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re was difference in harvest times. Crude protein (CP) was the lowest in the $1^{st}$ harvest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was highest in the $1^{st}$ harvest and lowest in the $4^{th}$ harvest.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found that the establishment of pasture suitable for farm's situation is important for set up of Korean model of hilly pasture. Although the forage production type is superior on forage productivity, it is recommended that the results will be provided as basic data for management of public farm type in the fu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MAFRA,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5

      2 문상호, "흑염소 방목초지의 사초생산성 및 사료가치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5 (35): 112-118, 2015

      3 김맹중, "한우 방목초지에서 목초 혼파조합이 식생구성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6 (26): 113-120, 2006

      4 정종성, "평창지역에서 겉뿌림 산지초지 조성시 목초 파종시기가 초지의 생산성과식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8 (38): 217-223, 2018

      5 정종성, "중부지역 부실 산지초지에서 국내육성 신품종 목초 이용 혼파조합이 식생구성 및 건물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7 (37): 132-139, 2017

      6 김종근, "중부산간 초지에서 초종 및 혼파조합이 목초 수량, 식생 구성 및 사료가치에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6 (36): 135-141, 2016

      7 지희정, "오차드그라스 신품종 “온누리”의 생육특성과 수량성"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3 (33): 6-9, 2013

      8 김세혁, "산지생태축산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가치 평가"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8 (38): 298-309, 2018

      9 양승학, "산지 방목기간 중 미량영양소 급여가 한우 암소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6 (36): 387-392, 2016

      10 정종성, "겉뿌림 산지초지에서 목초 파종량이 초지의 생산성 및 식생구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8 (38): 30-38, 2018

      1 MAFRA,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5

      2 문상호, "흑염소 방목초지의 사초생산성 및 사료가치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5 (35): 112-118, 2015

      3 김맹중, "한우 방목초지에서 목초 혼파조합이 식생구성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6 (26): 113-120, 2006

      4 정종성, "평창지역에서 겉뿌림 산지초지 조성시 목초 파종시기가 초지의 생산성과식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8 (38): 217-223, 2018

      5 정종성, "중부지역 부실 산지초지에서 국내육성 신품종 목초 이용 혼파조합이 식생구성 및 건물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7 (37): 132-139, 2017

      6 김종근, "중부산간 초지에서 초종 및 혼파조합이 목초 수량, 식생 구성 및 사료가치에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6 (36): 135-141, 2016

      7 지희정, "오차드그라스 신품종 “온누리”의 생육특성과 수량성"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3 (33): 6-9, 2013

      8 김세혁, "산지생태축산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가치 평가"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8 (38): 298-309, 2018

      9 양승학, "산지 방목기간 중 미량영양소 급여가 한우 암소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6 (36): 387-392, 2016

      10 정종성, "겉뿌림 산지초지에서 목초 파종량이 초지의 생산성 및 식생구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8 (38): 30-38, 2018

      11 Shin, J. S., "Trials of the utilization method in mixtures swards" 9 : 96-102, 1989

      12 Hur, D., "The establishment of the technical development strategy to promote silvopastoral system"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4

      13 Jo, I. H., "The effect of cutting frequencies on botanical composition in permanent grassland" 14 : 1-6, 1994

      14 Holland, C., "The Pioneer Forage Manual-A Nutritional Guide"

      15 Lee, H. W., "Study on the grazing behavior and animal production of Korean Native Cow in different grazing system at grasses dominant pasture" 4 : 133-139, 1983

      16 SAS Institute, Inc, "SAS user’s guider : Statistics"

      17 Moore, J. E., "Procedure for the two-stage in vitro digestion of forage" University of Florida 1970

      18 A.O.A.C, "Official method of analysis"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995

      19 Weinberger, P., "Korean woodlands (Im-ya)as resources for grassland development" Deutsche Gesellschaft fur Technische Zusammenarbeit 1983

      20 Lee, H.W., "Grassland establishment" 12 : 94-102, 1992

      21 Holmes, W., "GRASS; its production an utilization by the grazing animal. University College fo Walse"

      22 Goering, H.K., "Forage fiber analysis. Agic. Handbook 379" U. S. Government Print Office 1970

      23 Kim, J. G., "Development of techniques for the establishment and utilization on hilly pasture in Kore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7

      24 ILEM, "Annual meeting reports" Institute of livestock environmental management 2019

      25 Tilley, J.M., "A two-stage technique for the in vitro digestion of forage crops" 18 : 104-111, 1963

      26 Harkess, R. D., "A portable corral technique for measuring the effect of grazing intensity on yield, quality, and intake of herbage" 27 : 145-153, 197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7-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초지학회지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5-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초지학회 -> 한국초지조사료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3 0.572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