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신과 환자군에서 경한 스트레스요인(Minor Stressor)의 평가  :  불안, 우울장애 환자 중심으로 for the Patient with Anxiety or Depressive Disorder = The Evaluation of Minor Stressor in Psychiatric Pati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9966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995년 3월 2일부터 1995년 9월 2일까지 약 6개월에 걸쳐 고려대학교 의과대학부속 구로병원 정신과에 내원한 환자중 DSM-IV 진단기준상 불안장애, 우울장애(주우울장애와 불쾌기분장...

      본 연구는 1995년 3월 2일부터 1995년 9월 2일까지 약 6개월에 걸쳐 고려대학교 의과대학부속 구로병원 정신과에 내원한 환자중 DSM-IV 진단기준상 불안장애, 우울장애(주우울장애와 불쾌기분장애 포함)에 부합되는 환자들과 신체적 질환 및 정신적 질환이 없는 건강한 일반인을대상으로, 경한 생활사건스트레스를 측정하는 매일 스트레스평가서(DSI), 주요 생활사건척도, 우울척도(BDI), 불안척도(STAI)등을 사용하여 측정후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게 되었다.
      1) 경한 생활사건스트레스는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경한 생활사건의 빈도, 경한 생활사건으로 인한 스트레스의 지각정도 및 취약성은 환자군이대조군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고 특히, 불안장애군에서 가장 높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3) 경한 생활사건스트레스중 불안장애군은 개인능력 요인에서, 우울장애군은 환경스트레스요인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취약성을 보였다.
      4) 경한 생활사건스트레스는 주요 생활사건스트레스와 관련이 없었다.
      5) 경한 생활사건스트레스는 주요 생활사건스트레스보다 우울, 불안점수와 더욱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minor stressor to the patients with the psychiatric disorders[depressive disorder(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dysthymic disorer),anxiety disorders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DSM-IV]and c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minor stressor to the patients with the psychiatric disorders[depressive disorder(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dysthymic disorer),anxiety disorders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DSM-IV]and control group(N=40). Minorstressor was measured by the Daily stress inventory(DSI) and major life event stress was measured by the Major life event stress inventory. The severity of anxiety and depression were measured by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The one week DSI impact/event ratio(I/E ratio ; the index of vulnerability to stressful events) score was not affected by the demographic facto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DSI scores(event, impact, impact/ event ratio) in minor stressor between the depressive disorder, anxiety disorder and control group, but the anxiety group had the highest DSI scores. The one week DSI scores were not correlated with the score of major life event stress, but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core of BDI, STAI(p<.001) in patient group. And the scores of BDI, STAI were positively more correlated with DSI score than the stress of major life events.
      The authors concluded that the minor life event as well as the major life event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anxiety and depressive symptoms of patient group. So the DSI seems to be very effective tool to evaluate the minor life event stress. Using a stable baseline of at least 1week and recording DSI scores throughout treatment would provide a potentially useful measure of the course and impact of various interventions, such as medication effects, stress management gainsand response to biofeedback.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