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증례 : 호흡기 ; 다발성 폐 결절로 발견된 꽈리샘종 1예 = Case Reports : Pulmonology ; A Case of Alveolar Adenoma Involving Multiple Lung Nodul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702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꽈리샘종은 폐에서 발생하는 매우 드문 양성종양으로 영상의학적 소견과 경피적 흉부 세침흡인생검으로는 진단이 어렵고 수술적 절제를 통한 조직학적 소견 및 면역화학 검사를 통한 정확...

      꽈리샘종은 폐에서 발생하는 매우 드문 양성종양으로 영상의학적 소견과 경피적 흉부 세침흡인생검으로는 진단이 어렵고 수술적 절제를 통한 조직학적 소견 및 면역화학 검사를 통한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 현재까지 꽈리샘종은 한국에서 보고된 증례가 없으며 더욱이 다발성 결절로 발현된 경우는 전 세계적으로도 매우 희귀하다. 본 연구자들은 기침을 주소로 내원한 57세 여자 환자에서 흉부 X-선상 두 개의 폐 결절을 발견하여 비디오보조흉강경수술을 통해 진단된 꽈리샘종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며 향후 단일 폐 결절 및 다발성 폐 결절 감별진단에 꽈리샘종이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veolar adenoma is a very rare benign intraparenchymal lung tumor originating from type II pneumocytes. It can be mistaken for other benign tumors or lung cancer in radiological images. It is especially difficult to distinguish alveolar adenoma from ...

      Alveolar adenoma is a very rare benign intraparenchymal lung tumor originating from type II pneumocytes. It can be mistaken for other benign tumors or lung cancer in radiological images. It is especially difficult to distinguish alveolar adenoma from sclerosing hemangioma. A small aspiration biopsy specimen, such as with percutaneous needle aspiration, is insufficient for a pathological diagnosis. Surgical resection is the only method by which a pathological diagnosis can be made and the disease treated. An alveolar adenoma presenting as multiple nodules is very rare and has to our knowledge not been reported in Korea previously. Here, we report a case of alveolar adenoma in multiple nodules in a 57-year-old female and review the literature. (Korean J Med 2014;86:623-626)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Beasley MB, "The 2004 World Health Organization classification of lung tumors" 40 : 90-97, 2005

      2 Bhavsar T, "An unusual case of a microscopic alveolar adenoma coexisting with lung carcinoma: a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5 : 187-, 2011

      3 Burke LM, "Alveolar adenoma: a histochemical, immunohistochemical, and ultrastructural analysis of 17 cases" 30 : 158-167, 1999

      4 Fujimoto K, "Alveolar adenoma of the lung: comput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findings" 17 : 163-166, 2002

      5 Kondo N, "Alveolar adenoma of the lung: a case report" 17 : 71-73, 2011

      6 Wang X, "Alveolar adenoma combined with multifocal cysts: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41 : 895-906, 2013

      7 Yousem SA, "Alveolar adenoma" 17 : 1066-1071, 1986

      1 Beasley MB, "The 2004 World Health Organization classification of lung tumors" 40 : 90-97, 2005

      2 Bhavsar T, "An unusual case of a microscopic alveolar adenoma coexisting with lung carcinoma: a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5 : 187-, 2011

      3 Burke LM, "Alveolar adenoma: a histochemical, immunohistochemical, and ultrastructural analysis of 17 cases" 30 : 158-167, 1999

      4 Fujimoto K, "Alveolar adenoma of the lung: comput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findings" 17 : 163-166, 2002

      5 Kondo N, "Alveolar adenoma of the lung: a case report" 17 : 71-73, 2011

      6 Wang X, "Alveolar adenoma combined with multifocal cysts: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41 : 895-906, 2013

      7 Yousem SA, "Alveolar adenoma" 17 : 1066-1071, 198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5-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Medicine ->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 0.1 0.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1 0.1 0.259 0.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