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마이크로웨이브 에너지를 이용한 안젤리카로부터 유효성분의 추출 = Extraction of Active Ingredient from Angelica Using Microwave Ener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102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안젤리카로부터 기능성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해 기존의 용매추출법과 마이크로웨이브 추출법을 이용하여 각 변수에 따른 추출량을 확인하였다. 또한 안젤리카로부터 추출...

      본 연구에서는 안젤리카로부터 기능성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해 기존의 용매추출법과 마이크로웨이브 추출법을 이용하여 각 변수에 따른 추출량을 확인하였다. 또한 안젤리카로부터 추출된 유효성분의 항산화능 및 플라보노이드성분 함량, 총폴리페놀성분 함량 등을 측정함으로써 유효성분의 기능성을 평가하였다. 기존의 용매추출법의 최적조건인 추출시간(2 h), 주정/초순수의 부피비(60 vol%), 추출온도(60 ℃)에서 20.6 wt%의 유효성분이 추출되었다. 또한 마이크로웨이브 추출법의 최적조건인 마이크로웨이브 조사시간(6 min), 마이크로웨이브 세기(600 W), 주정/초순수의 부피비(60 vol%)의 조건에서 유효성분이 22.8 wt% 추출되어 기존의 용매추출법에 비해 빠른 시간에 추출이 완료됨을 알 수 있었다. 안젤리카로부터 추출된 유효성분의 추출량 유효성분의 항산화능은 DPPH radical scavening activity로 31.46%이었고, 플라보노이드성분 함량은 14.20 mg QE/mg dw, 그리고 총 폴리페놀 함량은 11.70 mg GAE/g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extractable content of each parameters from angelica was confirmed using conventional solvent extraction and microwave extraction in order to extract the functional active ingredient. In addition, the functionality of active ingredi...

      In this study, the extractable content of each parameters from angelica was confirmed using conventional solvent extraction and microwave extraction in order to extract the functional active ingredient. In addition, the functionality of active ingredients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flavonoids and total polyphenols of the active ingredient extracted from angelica, For the conventional solvent extraction at optimal conditions of the extraction time (2 h), ethanol/pure water volume ratio (60%), the extraction temperature (60 ℃), 20.6 wt% of the active ingredient were extracted. Also, when using microwave extraction at optimal conditions of the microwave irradiation time (6 min), microwave intensity (600 W) and ethanol/ pure water volume ratio (60 vol%) 22.8 wt% of the active ingredient were extracted. The microwave method required shorter time to complete extraction compared to that of using the conventional solvent extraction metho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active ingredients extracted from angelica was 31.46% of DPPH radical scavening activity. The flavonoid content was 14.20 mg QE/mg dw,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11.70 mg GAE/g when using the microwave extraction proces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병권, "추출용매에 따른 함초 추출물의 피부미용 효과" 한국공업화학회 22 (22): 56-60, 2011

      2 정행순, "추출법에 따른 큰실말(Cladosiphon novae-caledoniae kylin) 부산물식이섬유의 항산화 효과 및 HT-29 대장암 세포에 대한 항암 작용" 한국공업화학회 25 (25): 363-367, 2014

      3 김연순, "추출 용매에 따른 오죽(Phyllostachys nigra Munro)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 한국공업화학회 21 (21): 6-10, 2010

      4 선진규, "전기이중층캐패시터에서 마이크로파에 의해 개질된 활성탄소전극의 전기화학적 특성" 한국공업화학회 21 (21): 11-17, 2010

      5 장혜림, "일반감자와 유색감자 에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폴리페놀 함량"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1035-1040, 2012

      6 권하영, "용액 공정을 통한 도핑된 실리콘 나노입자의 합성과 특성" 한국공업화학회 21 (21): 694-696, 2010

      7 김정은, "양파껍질 추출물의 항균,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공업화학회 22 (22): 178-184, 2011

      8 김남우, "싸리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과 생리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3 (13): 616-622, 2006

      9 윤영심, "소리쟁이 뿌리 열수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 및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한국환경과학회 21 (21): 1265-1274, 2012

      10 임나리, "떡쑥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Dicaffeoylquinic Acid 유도체들의 항산화 및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활성" 한국공업화학회 26 (26): 470-476, 2015

      1 안병권, "추출용매에 따른 함초 추출물의 피부미용 효과" 한국공업화학회 22 (22): 56-60, 2011

      2 정행순, "추출법에 따른 큰실말(Cladosiphon novae-caledoniae kylin) 부산물식이섬유의 항산화 효과 및 HT-29 대장암 세포에 대한 항암 작용" 한국공업화학회 25 (25): 363-367, 2014

      3 김연순, "추출 용매에 따른 오죽(Phyllostachys nigra Munro)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 한국공업화학회 21 (21): 6-10, 2010

      4 선진규, "전기이중층캐패시터에서 마이크로파에 의해 개질된 활성탄소전극의 전기화학적 특성" 한국공업화학회 21 (21): 11-17, 2010

      5 장혜림, "일반감자와 유색감자 에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폴리페놀 함량"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1035-1040, 2012

      6 권하영, "용액 공정을 통한 도핑된 실리콘 나노입자의 합성과 특성" 한국공업화학회 21 (21): 694-696, 2010

      7 김정은, "양파껍질 추출물의 항균,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공업화학회 22 (22): 178-184, 2011

      8 김남우, "싸리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과 생리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3 (13): 616-622, 2006

      9 윤영심, "소리쟁이 뿌리 열수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 및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한국환경과학회 21 (21): 1265-1274, 2012

      10 임나리, "떡쑥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Dicaffeoylquinic Acid 유도체들의 항산화 및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활성" 한국공업화학회 26 (26): 470-476, 2015

      11 A. M. William, "Simplified ultrasonically- and microwave-assisted solvent extractions for the determination of ginsenosides in powdered Panax ginseng rhizomes using liquid chromatography with UV absorbance or electrospray mass spectrometric detection" 405 : 4511-4522, 2013

      12 N. C. Cook, "Flavonoids-chemistry, metabolism, cardioprotective effects, and dietary sources" 7 : 66-76, 1996

      13 Q. Cui, "Deep eutectic solvent-based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of genistin, genistein and apigenin from pigeon pea roots" 150 : 63-72, 2015

      14 M. S. Parco, "Apoptotic signaling induced by H2O2-mediated oxidative stress in differentiated C2C12myotubes" 84 (84): 468-481, 2009

      15 Y. Lu, "Antioxidant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polyphenols apple pomace" 68 : 81-85, 2000

      16 A. H. Clifford, "Anthocyanins-nature, occurrence and dietary burden" 80 : 1063-1072,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3-12-01 평가 SCOPUS 등재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2-1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KCI등재
      2009-04-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purnal of the Korean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 Journal of the Korean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2 0.32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3 0.45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