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SCOPUS

      복합상업시설에서의 아동 동반 고객 행태분석을 통한 미아 발생원인 고찰 = A Study on the Causes of Child Loss through Behavioral Analysis ofCustomers Accompanied with Children in Urban Entertainment Cent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450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though the number of child loss in commercial facilities has been growing recently, the prevention method for child loss are still lackingin the environmental aspect. This research examines the causes of lost child in behavioral aspects in order to ...

      Although the number of child loss in commercial facilities has been growing recently, the prevention method for child loss are still lackingin the environmental aspect. This research examines the causes of lost child in behavioral aspects in order to develop a guideline to preventchild loss in U.E.C. The observational study on the behaviors of guardians and children was conducted in the U.E.C that is visited bymany customers accompanied with children. Then the results of the observational study were marked on the behavioral maps. After analyzingthe behavioral maps, the causes of child loss were determined by classifying into behaviors by age and behaviors by functional space. As aresult, when guardian is unable to pay attention to child by doing something else such as making a purchase, or an inquiry, child may loseguardian by going towards the interesting factors or playing around. Moreover, if the spaces related to children are located at the node withhigh pedestrian density and open structure or the environment that is hard for the guardians to watch over their children, it will be easy forguardians to be inattentive to their children, and get separated from each oth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들어, 상업시설 내에서 아동이 미아가 되고 사고로 이어지는 일이 증가하고 있지만, 환경적인 측면에서의 미아방지대책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합상업시설 미아...

      최근 들어, 상업시설 내에서 아동이 미아가 되고 사고로 이어지는 일이 증가하고 있지만, 환경적인 측면에서의 미아방지대책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합상업시설 미아방지 환경설계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행태적 측면에서의 미아 발생원인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 동반 이용객이 많은 복합상업시설에서 보호자 및 아동의 행태관찰조사를 실시하였고, 행태지도로 작성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연령별 이용객 행태’와 ‘기능적 공간별 이용객 행태’로 구분하여 미아 발생원인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보호자가 구매, 문의 등 다른 일을 하면서 아동에게 주의를 기울이지 못할 때, 아동이 인근의 ‘흥미요소를 보고 이동’하거나 ‘놀이’를 하면서 보호자를 이탈하면 미아가 될 수도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아동 관련 공간이 보행밀도가 높은 결절점에 위치해있고 개방적인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보호자의 아동관찰 또한 어려운 환경이면, 보호자 부주의 및 아동 이탈이 발생하기 쉬운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은희, "엔터테인먼트형 복합상업시설의 공간구성에 따른 이용행태 분석" 대한건축학회 32 (32): 13-22, 2016

      2 최목화, "실외놀이터 환경과 아동의 놀이행동에 관한 사례연구-서울지역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 18 (18): 91-102, 2007

      3 송미, "사용자 조사법을 이용한 어린이 놀이행태 및 놀이환경 분석 (테마박물관의 실내 에어바운스 공간을 대상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6 (16): 274-284, 2016

      4 오정아, "복합쇼핑몰 내 어린이 공간 도입현황과 체험적 특성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2 (12): 55-65, 2017

      5 박소현, "근린의 아동 놀이환경과 놀이행태 연구설계의 특성 - 최근의 영향관계 연구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31 (31): 29-40, 2015

      6 Oh, S., "Waking Environment: Field Survey Manual" Architecture and Urban Research Institute 2013

      7 Beyard, M. D., "Developing urban entertainment centers" Urban Land 1998

      8 Syrotuck, W. G., "Analysis of lost person behavior: An aid to search planning" Barkleigh Productions 2000

      9 Kim, O., "A Study on the Spatial Program and the Typical Classification of Mixed Commercial Facility Based on the Entertainment" Dongkook University 2010

      10 Lee, Y., "A Study on the Planning Indoor Children’s Playground in Commercial Facilities" Yonsei University 2003

      1 안은희, "엔터테인먼트형 복합상업시설의 공간구성에 따른 이용행태 분석" 대한건축학회 32 (32): 13-22, 2016

      2 최목화, "실외놀이터 환경과 아동의 놀이행동에 관한 사례연구-서울지역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 18 (18): 91-102, 2007

      3 송미, "사용자 조사법을 이용한 어린이 놀이행태 및 놀이환경 분석 (테마박물관의 실내 에어바운스 공간을 대상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6 (16): 274-284, 2016

      4 오정아, "복합쇼핑몰 내 어린이 공간 도입현황과 체험적 특성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2 (12): 55-65, 2017

      5 박소현, "근린의 아동 놀이환경과 놀이행태 연구설계의 특성 - 최근의 영향관계 연구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31 (31): 29-40, 2015

      6 Oh, S., "Waking Environment: Field Survey Manual" Architecture and Urban Research Institute 2013

      7 Beyard, M. D., "Developing urban entertainment centers" Urban Land 1998

      8 Syrotuck, W. G., "Analysis of lost person behavior: An aid to search planning" Barkleigh Productions 2000

      9 Kim, O., "A Study on the Spatial Program and the Typical Classification of Mixed Commercial Facility Based on the Entertainment" Dongkook University 2010

      10 Lee, Y., "A Study on the Planning Indoor Children’s Playground in Commercial Facilities" Yonsei University 2003

      11 Choi, S.,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at Cause Lost Child through the Field Investigation in Urban Entertainment Center" 2018

      12 Choi, H., "A Study on the Children’s Playing Space" Konkuk University 2014

      13 Choi, S., "A Study on the Causes of Lost Child in the Behavioral and Environmental Aspects through the Case Studies of Lost Child" 38 (38): 2018

      14 Song, S., "A Study on Visitors’ Movement Pattern and Satisfaction in the Mixed-Use Retail Properties" Hongik University 2004

      15 Kim, J., "A Study on Spatial Features by Analyzing Users’ Behaviors of Urban Shopping Complex" University of Seoul 2006

      16 Park, E., "A Study on Functional Unit-space Design of Supporting Facilities for Department Stores in Urban Center" Kyoungbook University 2008

      17 Choi, S., "A Study o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at Affect Occurrence of Lost Children in Large-scale Park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3-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Construction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 0.74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