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리(東里) 이은상(李殷相) 한시(漢詩) 연구(硏究) -이정귀 가계문학의 특성과 차이를 중심으로- = A study of DongLi Lee Ensang’ Sino-Korean Poetry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Family litera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198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당대 문단의 중심에 있었던 月沙 李廷龜(1564~1635) 가계의 일원인 東里 李殷相(1617~1678)의 詩文學을 고구하였다. 그의 시에 드러나는 중요한 특성들은 그만의 것이 아니라 이정귀 가계...

      본고는 당대 문단의 중심에 있었던 月沙 李廷龜(1564~1635) 가계의 일원인 東里 李殷相(1617~1678)의 詩文學을 고구하였다. 그의 시에 드러나는 중요한 특성들은 그만의 것이 아니라 이정귀 가계의 문학이 공유하는 것들이다. 본고는 이 점에 유의하면서 가계문학의 특성과 그만이 지녔던 차별성을 살펴보았다.
      이정귀 가계는 산수 자연에 대한 갈망과 탐닉이 남달랐다. 이은상은 선대의 경험을 공유하고자 금강산 유람을 시도하였으며, 이정귀가 그랬던 것처럼 악공을 대동하여 산에 올랐다. 장문의 시 제목을 통하여 운문과 산문을 복합적으로 활용하는 가계의 전통을 계승하였다. 또한, 윗세대와 달리 다양한 詞牌를 활용하는 詞를 창작해 문학적 역량을 과시하였다. 그의 이러한 행보는 그만의 특성이 아니라 가계문학의 계승이라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온전한 이해가 가능하다.
      이정귀 가계문학은 ‘學唐’의 범주 안에 있었으며, 구성원의 시풍도 유사한 성격을 지니고 있다. 평어에 개별적 차이가 있지만, 이정귀의 ‘豪放’ ‘飄逸’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이은상의 경우 ‘豪健’이라는 평을 받았는데, 이정귀의 ‘豪放’보다 좀 더 정제된 면모에서 나온 평가이다. 16세기에서 17세기로 넘어가는 시기의 시단은 ‘學唐’의 테두리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시적 수준을 높이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이은상의 시문학에서 ‘漢魏盛唐’을 주창한 鄭斗卿이나 金得臣처럼 적극적인 변화의 모습을 찾기는 어렵다. 그러나 가계문학의 전승속에서 이은상이 詞를 창작하고 시 구성의 치밀성 등 다양한 변화를 추구하려는 모습은 발견되었다.
      김창협은 이은상의 시문학에 대하여 “율시에 뛰어나서 입을 열면 문장이 되었다”며 천부적인 재능에서 나온 口占과 口號를 높이 평가하였다. 이것은 즉흥적 감성을 담보로 한 문학의 진정성이 기반이 된 것으로 즉 백악시단의 ‘眞詩 追求’ 정신과 맞닿아 있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 가계문학이라는 범주의 부여가 가능한지 확인하기 위해 詩語를 통하여 자카드 분석을 시도한 결과, 그 유사성을 확인하였다. 이는 이정귀에서 이은상이 활동하던 시기까지 이정귀의 가계문학에 큰 변화가 일지 않았다는 증거이다.
      題材의 측면에서 논한다면 이은상의 시문학은 당대의 시인들과 다른 어떤 특수성을 갖고 있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당대 문단의 중심인물로 활약한 이정귀 가계문학의 성향을 확인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리고 그가 물색의 탐닉에 몰두하여 ‘物色分留’라는 시어를 애호한 점은 현장체험을 중시하였던 가계의 전통을 계승하고 윗세대에서 표현하지 못한 새로운 시의 창작을 추구하였다는 실례이다. 처참했던 壬丙兩亂의 고통 속에서 헤어지는 한을 시에 담았던 윗세대와 달리 이별의 순간을 ‘浮生聚散’의 관점으로 詩想을 써내려간 이은상에게서 세상을 대하는 세대 간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다. 내재된 감성의 표현으로 達觀의 境地를 보여주는 시가 많은 것도 그의 차별적인 지점이다.
      아울러 이은상의 시문학은 김상헌 가계와의 문학적 교류와 상호 영향을 고려해 볼 때, 18세기 문학의 새로운 면모를 만들고자 활약한 백악시단의 탄생에 일조했으리라 가늠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studied the poetic literature of Dong-ri(東里) Lee Eun-sang(李殷相). He is a member of the Li Jung-gul family. The Li Jung-gu family shares literary characteristics. their literature transmits literary tradition faithfully and it shoul...

      This paper studied the poetic literature of Dong-ri(東里) Lee Eun-sang(李殷相). He is a member of the Li Jung-gul family. The Li Jung-gu family shares literary characteristics. their literature transmits literary tradition faithfully and it should be focused that they have similar tendency.
      Lee Jung-gui’s family had a longing and indulgence for arithmetic. Lee attempted to tour Mt. Kumgangsan to share the experiences of his ancestors. The family tradition was inherited through the title of the long sentence, which is a combination of verse and prose. Unlike the older generation, he also created Sa(詞) that utilize various Sa(詞) to show off their literary capabilities. His behavior is fully understood in terms of inheritance of family literature.
      Lee Jung-Gui’s family literature has a similar style. Although there are individual differences in flatfish, they do not deviate significantly from Lee Jung-Gui’s ‘Ho bang(豪放)’ and ‘飄逸(Pyoil)’. Lee Eun Sang received the reputation of ‘豪健(Ho geon)’, which comes from a more refined aspect than Lee’s free style. In the transition from the 16th to the 17th centuries, poetical circles endeavored to raise the poetic level without leaving the borders of ‘Hakdang(學唐)’. In the poetry of Lee Eun-sang, it is difficult to find positive changes such as Jeong, Du-gyeong(鄭斗卿) and Kim, Deuk-sin(金得臣) which advocated ‘Han-Wi-Seongdang(漢魏盛唐)’. However, even in the tradition of family literature, the movement of change to raise the level through the creation of a book and pursuing the preciseness of the composition of poetry is sensed.
      Kim Chang-hyup said that Lee Sang-sang’s poetry is “excellent and bizarre unless he intentions.” The authenticity of improvised sentiment was highly valued because it touched spirit of the Baekaksidan(白岳詩壇).
      Compared with other members of Lee Jung-gui’s family through the poetic diction, it is clear that they are in an influence relationship, but his distinctiveness can be seen in the words of his own particular favorite, ‘scenery(物色)’ and ‘transient life(浮生)’. According to the jacquard analysis, Lee Eun-sang and Lee Myung-han are the most similar. However, there is little variation except Lee Seok-hyung, which has a big difference in time. It is clear that there is a similarity in the use of Shea. This proves that the changes in Family literature were not significant until at least Lee’s time.
      Lee’s poetry is hardly considered to have any specificity different from the poets of his time. However, there is a clear significance in that it shows the propensity of the Lee Jung-gui family that was at the center of the passage. And his devotion to the indulgence of nature and his love of the ‘mulsaegbunlyu(物色分留)’ is an example of his pursuit of a new poetic attempt that the older generation did not express. Unlike the poems of the older generations, who suffered through the experience of Im Byung-ran, being optimistic even in the moment of parting from the perspective of ‘busaengchwisan(浮生聚散)’ reveals a difference in the gaze for the world. Many poems that show the stage of ‘dalgwan(達觀)’ are also different points from those of family literature.
      Lee’s poetry is intact in the category of Lee Jung-gui’s family literature. His traits are mostly influenced by family literature. However, it also reveals the attempts of differentiation, such as the creation of her own poem and poem. Lee Jung-gui’s family literature favored improvisation and sincerity rather than hanging on the table. I valued the inspiration that comes directly from the landscape. This is in line with the spirit of ‘jinsichugu(眞詩追求)’ as mentioned earlier. The Lee Jung-Gwi family grew their literary capacity through continuous exchanges with the Kim Sang-Hun family. Lee Eun-sang’s position in the two-family exchange suggests that it played a role as a medium for the birth of the Baekaksidan, which contributed to creating a new face in the 18th century.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