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하야시 후미코의 『전선(戰線)』 에 나타난 전쟁담론 고찰 = 林芙美子の『戰線』に現れた戰爭談論考察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3936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하야시 후미코는 전쟁을 미화하기 위해서 정치권력의 지배하에 결성된 “펜부대”의 요원으로, 북안 부대의 병사들과 함께 일주일간 생활하며, 그때 보고느꼈던 최전선의 일을 통신으로 적...

      하야시 후미코는 전쟁을 미화하기 위해서 정치권력의 지배하에 결성된 “펜부대”의 요원으로, 북안 부대의 병사들과 함께 일주일간 생활하며, 그때 보고느꼈던 최전선의 일을 통신으로 적은 『전선』을 발표한다. 『전선』에는 부대의 기본적인 작전 내용이나, 대국적인 전술에 대한 표현은 거의 없고, 군대와 국민의 사기고양을 위해 일본의 침략 전쟁을 미화하고 병사를 찬미하는 문장 표현이 많이 있다. 또, 전시 상황과 황군의 승리, 우월성 선전, 적국에 대한 보복 선동 등, 침략자의 우월감을 부각시키고 있다. 뿐만 아니라, 후미코는 중국병사에 대한 노동력 착취와 인권 침해를 너무나 당연한 것으로 표현하고, 그것을 침략자가 전쟁의 승리로 얻는 특권이라고 자랑하고 있다. 그리고 여성 작가 특유의 관점과 감각으로 전장에서의 병사들의 생활상을 후방에 전달하고, 더 나아가 여성으로서는 처음으로 직접 한구에 입성한 것이 크게 주목 받아, 전선은 후미코의 출세작 방랑기에 이어 인기작이 되었다. 결국, 군대와 국민 사기 진작, 일본의 침략 전쟁 미화, 전쟁의 열기 고취 등, 최초의 여성 종군작가 후미코는 일본 정부의 기대에 부응한 작가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林芙美子は戰爭を美化するため政治權力の支配下に結成された「ペン部隊」の要員として、北岸部隊の兵隊と一緖に一週間生活し、その時見て感じた最前線のことを通信で書いた _戰線_...

      林芙美子は戰爭を美化するため政治權力の支配下に結成された「ペン部隊」の要員として、北岸部隊の兵隊と一緖に一週間生活し、その時見て感じた最前線のことを通信で書いた _戰線_を發表する。_戰線_には部隊の基本的な作戰內容とか、大局的な戰術に對する表現はほとんどなく、軍隊と國民の士氣を高めるために、日本の侵略戰爭を美化し、兵隊を贊美する文章の表現がたくさんある。また、戰時狀況と皇軍の勝利、優越性の宣傳、敵國に對する報復扇動など、侵略者の優越感を浮き彫りにしている。それだけではなく、芙美子は、中國兵隊に對する勞動力の搾取や、人權侵害をあまりにも當然なこととして表現し、それは 侵略者が戰爭の勝利で得られる特權であると自慢している。そして、女性作家ならではの觀点と感覺で戰場の兵隊たちの生活ぶりを後方に傳え、ひいては女性として初めて直接、漢口に入城したことが大きく注目されて、_戰線_は芙美子の出世作_放浪記_に續く人氣作となった。結局、軍隊と國民の士氣高揚、日本の侵略戰爭美化、戰爭の熱氣鼓吹など、最初の女性從軍作家芙美子は日本政府の期待に應えた作家だった。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