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朝鮮末 嚴興道의 顯彰과 후손의 宗統是非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970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엄흥도는 영월 戶長 출신으로 영월에 유폐되어 시해된 단종을 장사지냈다. 엄흥도의 충절은 死六臣 등 端宗諸臣과 함께 평가되며, 그에 대한 추증도 추진된다. 공조의 좌랑 · 참의를 거쳐 ...

      엄흥도는 영월 戶長 출신으로 영월에 유폐되어 시해된 단종을 장사지냈다. 엄흥도의 충절은 死六臣 등 端宗諸臣과 함께 평가되며, 그에 대한 추증도 추진된다. 공조의 좌랑 · 참의를 거쳐 참판에 증직되고, 사육신과 함께 영월 彰節祠와 莊陵 配食壇 正壇에 배향된다.
      이후 엄흥도 후손들과 유생들은 그의 충절이 사육신에 비등하다 강조하며, 사육신에게 내린 正卿 증직과 諡號 추증의 恩典을 내려 줄 것을 上言한다. 이에 따라 純祖는 엄흥도를 공조판서로 증직하고, 高宗은 엄흥도에게 ‘忠毅’라는 시호를 추증한다.
      시호 추증 이후 예천 엄흥도 후손들의 청원으로 엄흥도에게 不遷位 은전이 내려진다. 불천위가 내리자 울산의 후손들은 조정에 종통시비 訴請을 한다. 예천은 支孫이고 宗家는 울산인데, 지손이 종손과 협의도 없이 不祧祠版을 받아 봉사하는 것은 綱常을 어지럽힌다는 것이었다. 엄흥도의 행방이 묘연해진지 오랜 시간이 흐른 뒤 종통을 따지는 것은 난해한 일이었다. 그런데 1798년 현 울주군 삼동면 鵲洞에서 발견된 嚴善 墓誌가 결정적 증거가 되어 울산이 종손, 예천이 지손임이 판명되었다. 이것으로 예천 부조사판은 없애고, 울산에 부조사판을 내려 봉사하게 하는 것으로 시비가 종결된다.
      엄흥도의 현창은 사육신과 대등한 포장이 내릴 때까지 계속 추진되었다. 사육신보다 오랜 기간이 걸리고 종통시비가 있었으나, 엄흥도의 포장이 높아질 때마다 그의 의기와 충절 또한 드높아진다. 이로 인해 엄흥도의 출신지인 영월은 만고의 충신을 배출한 충절의 고장으로 확고한 명성을 얻게 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om Hung-do funeralized King Danjong(端宗), who was incarcerated in Yeongwol. In recognition of Eom Hung-do"s allegiance, he received a government post[Champan (參判) · Jwarang(佐郞) · GongjoChamui(工曹參議)] after his death and dedicate a...

      Eom Hung-do funeralized King Danjong(端宗), who was incarcerated in Yeongwol. In recognition of Eom Hung-do"s allegiance, he received a government post[Champan (參判) · Jwarang(佐郞) · GongjoChamui(工曹參議)] after his death and dedicate a shrine to Jungdan(正壇) of Baesikdan(配食壇) in Jangreung(莊陵) and Changjeolsa(彰節祠) with Six Martyred Ministers(死六臣)
      Later, Eom Heung-do"s descendants and students of Confucianism suggested that Eom Heung-do had to receive the posthumous epitet of Six Martyred Ministers. As a result, King Sunjo(純祖) appointed Eom Heung-do to Gongjopanseo(工曹判書), and King Gojong(高宗) appointed Eom Hung-do as a posthumous epith of the posthumous conferment of honors
      After the a posthumous epith of the posthumous conferment of honors, Eom Heung-do descendants of Yechon suggested that they had to recieve Eom Heung-do"s Bulcheonwe(不遷位). Later, Ulsan"s descendants suggested an "A dispute over the inheritance of the old son" with the court. They argued that Yecheon is Eom"s second son, and the old grandson of the head family is Ulsan, and it"s unreasonable for Eom Heung-do"s second son to receive Bulcheonwe without consultation with the firstborn. After the Court"s verification process, Ulsan proved to be one"s second son. This ends the right and wrong by eliminating Yecheon Shrine and setting up a auxiliary grave to Ulsan"s firstbor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端宗諸臣 顯彰과 엄흥도
      • 3. 正卿 贈職과 諡號 追贈
      • 4. 不遷位 恩典과 宗統是非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端宗諸臣 顯彰과 엄흥도
      • 3. 正卿 贈職과 諡號 追贈
      • 4. 不遷位 恩典과 宗統是非
      • 5.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엄석현, "충의공엄선생실기" 율곡연구원 2021

      2 이현진, "조선후기 단종 복위와 충신 현창" 한국사학회 (98) : 41-89, 2010

      3 박도식, "엄흥도의 행적과 후대의 追崇" 41 (41): 2020

      4 金義淑, "단종 신앙과제의 연구" 2 : 1997

      5 "高宗時代史"

      6 "響山集"

      7 강영숙, "資料 2, 秘藏의 完文과 忠臣 嚴興道" 택민국학연구원 (12) : 1-47, 2013

      8 "莊陵史補"

      9 "立軒集"

      10 "窮悟集"

      1 엄석현, "충의공엄선생실기" 율곡연구원 2021

      2 이현진, "조선후기 단종 복위와 충신 현창" 한국사학회 (98) : 41-89, 2010

      3 박도식, "엄흥도의 행적과 후대의 追崇" 41 (41): 2020

      4 金義淑, "단종 신앙과제의 연구" 2 : 1997

      5 "高宗時代史"

      6 "響山集"

      7 강영숙, "資料 2, 秘藏의 完文과 忠臣 嚴興道" 택민국학연구원 (12) : 1-47, 2013

      8 "莊陵史補"

      9 "立軒集"

      10 "窮悟集"

      11 윤정, "正祖代 端宗 事蹟 정비와 '君臣分義'의 확립"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5) : 235-273, 2005

      12 "柯汀遺稿"

      13 "朝鮮王朝實錄"

      14 이현진, "朝鮮前期 昭陵復位論의 추이와 그 의미" 23 : 2002

      15 "承政院日記"

      16 김광순, "忠毅公 嚴興道의 삶과 墓所 眞僞에 關한 考察" 택민국학연구원 (3) : 235-308, 2009

      17 "弘齋全書"

      18 "宋子大全"

      19 "備邊司謄錄"

      20 윤정, "19세기 ‘端宗諸臣’ 褒獎과 事蹟 정비 - 純祖代 前半期를 중심으로 -" 한국사학회 (98) : 91-138, 2010

      21 윤정, "18세기 ‘단종제신’ 포장의 확대와 ‘生六臣’의 성립" 역사문화연구소 (36) : 41-78,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 0.80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