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수체육 지도자를 위한 양성 과정과 진로 = Education and Employment Status for Adapted Physical Educat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726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curriculum for training adapted physical activity professionals and the post undergraduate employment status. The educational contents were collected from the university websites of adapted/special physical educ...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curriculum for training adapted physical activity professionals and the post undergraduate employment status. The educational contents were collected from the university websites of adapted/special physical education (APE/SPE) department. The information about attaining certification to become an adapted physical activities professional was found in related criteria of legislation. The current employment status was analyzed using internal data of the department of adapted/special physical education. Eight departments of APE/SPE focus on training students as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ile the other three departments provide general knowledge for being a professional in adapted physical activity. Departments of APE/SPE provide the opportunity to attain national and private certification as adapted physical educators.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sport instructor for the disabled are counted as national certification. Psychomotor therapist, referee license, and lifeguard are examples of private certifications. The departments of APE/SPE focused on education produce about 200 students annually. These students had the following careers: adapted educator (23.9%), occupations related to adapted physical activities (18.7%) such as working for Korea Paralympic Committee (KPC)/ healthy and welfare center, or an instructor of adapted physical activities/sports or, and the others were employed at the other field (17.3%). The rest of students (40.1%) were unemployed. On the other hand, the department of APE/SPE, which are not focused on producing educator, yield about 63 students annually. The students were employed in a field related to physical activities (53.3%), KPC or adapted physical activities (psychomotoricity) (31.2%) and the other field (22.5%). The rest of 22.5% students are unemployed. It is hard to expect the founding of more department related to adapted physical activities due to the decreased number of students. However, the future of careers related to adapted physical activities are bright because the government increase the support in promoting lifetime physical activities and the welfare policy for in people with disabil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에서의 특수체육지도자 양성을 위한 교육 내용과 졸업 후의 취업 현황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한 특수체육 전공 학과 관련 내용은 인터넷을 통해 수집하였고...

      본 연구는 대학에서의 특수체육지도자 양성을 위한 교육 내용과 졸업 후의 취업 현황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한 특수체육 전공 학과 관련 내용은 인터넷을 통해 수집하였고, 자격 취득에 관한 내용은 법률 기준을 살펴보았으며, 진로 현황은 특수체육 전공 학과의 내부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현재 특수체육 전공 학과는 사범계 8개와 비사범계 3개 학과가 있다. 사범계 특수체육교육과는 국가자격인 특수교육(중등 체육)교원과 장애인스포츠지도사 자격을 취득할 수 있으며, 그리고 민간자격인 심리운동사, 장애인스포츠 심판, 수상인명구조원 등의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 비사범계 특수체육 전공 학과는 교원자격 이수 이외에는 차이가 없었다. 사범계 특수체육 전공 학과는 매년 200명씩 특수교육(체육) 교원 자격자를 양성하고 있는데, 이들의 진로는 특수학교(급) 교사 23.9%, 체육 관련 분야(장애인체육회/장애아동 체육지도/스포츠지도/복지관) 18.7%, 기타 17.3%, 미취업 40.1% 등이다. 비사범계 특수체육 전공 학과는 매년 평균 63명씩 졸업하고 있으며, 이들의 진로는 장애인체육회 및 특수체육(심리운동 지도) 분야는 31.2%이지만, 체육 분야 전체로는 53.3%, 기타 22.5%, 미취업 22.5%를 나타내었다. 향후 학령인구 감소로 더 이상의 특수체육 관련 학과의 설립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지만 특수체육지도자의 진로는 정부의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 및 장애인 복지 정책의 확대 추진으로 보다 밝다고 예견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나사렛대학교, "특수체육학전공"

      2 한신대학교, "특수체육학과"

      3 경주대학교, "특수체육교육학과"

      4 가야대학교, "특수체육교육과"

      5 백석대학교, "특수체육교육과"

      6 한국체육대학교, "특수체육교육과"

      7 한국국제대학교, "특수체육교육과"

      8 중부대학교, "특수체육교육과"

      9 "특수체육교육과"

      10 영남대학교, "특수체육교육과"

      1 나사렛대학교, "특수체육학전공"

      2 한신대학교, "특수체육학과"

      3 경주대학교, "특수체육교육학과"

      4 가야대학교, "특수체육교육과"

      5 백석대학교, "특수체육교육과"

      6 한국체육대학교, "특수체육교육과"

      7 한국국제대학교, "특수체육교육과"

      8 중부대학교, "특수체육교육과"

      9 "특수체육교육과"

      10 영남대학교, "특수체육교육과"

      11 이범진, "특수체육 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한국특수체육학회 15 (15): 97-115, 2007

      12 "취업통계"

      13 "초ㆍ중등교육법. 법률 제14603호"

      14 "체육시설의 설치ㆍ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법률 제27751호"

      15 "장애인 현황"

      16 박병도, "장애인 엘리트체육지도자 양성을 위한 특수체육교육(학)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한국특수체육학회 15 (15): 33-47, 2007

      17 "자격기본법. 법률 제14397호"

      18 신라대학교, "웰빙체육학부"

      19 한국체육학회, "분과학회"

      20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민간자격정보서비스"

      21 채창균, "대졸 청년의 전공일치 취업 실태 분석"

      22 "국민체육진흥법. 법률 제12690호"

      23 "국민체육진흥법 시행령. 대통령령 제28543호"

      24 "국민체육진흥법 시행규칙. 문화체육관광부령 제315호"

      25 "교육기본법. 법률 제8705호"

      26 "교원자격검정령 시행규칙. 교육부령 제136호"

      27 고등교육법, "고등교육법. 법률 제10413"

      28 교육부, "2016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

      29 교육부, "2016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5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 Korean Society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KCI등재
      2022-02-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 Korean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8 1.31 1.18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