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토양 단면 조사를 통한 도시농업 토양의 특성 조사 및 분류 = Characterization and classification of the soils used for urban agriculture through soil profile descrip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3837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세계적으로 산업화, 도시화, 인구 증가 등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시 농업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관행 농경지와 전혀 다른 특성을 갖는 도시 농업 토양에...

      오늘날 세계적으로 산업화, 도시화, 인구 증가 등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시 농업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관행 농경지와 전혀 다른 특성을 갖는 도시 농업 토양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 농업 지역 표토의 토양 특성을 파악하고, 일정 깊이까지의 단면 조사를 통해 도시 농업 지역의 토양을 분류하고 발달과정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도시농업지역에서 2015년과 2016년에 채취한 75점 시료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도시농업 지역의 토양단면을 조사하기 위하여 서울시에 위치한 5 곳의 텃밭에서 8개의 단면을 조사하였다. 2015년과 2016년에 조사한 도시 텃밭 모두 토양 pH는 밭토양 평균 pH인 6.3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EC1:5는 밭토양 평균인 0.64 dS m-1보다 모두 낮았다.
      8개의 토양 단면조사 결과 대부분의 텃밭은 자연적으로 발달한 토양이 아닌 외부에서 유입된 토양 및 토양물질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폐기물 등의 물질도 발견되었다. 이러한 폐기물은 토양의 pH를 높이는 등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금속 함량은 모든 단면에서 토양오염우려기준보다 낮았다.
      WRB 분류체계에 따라 조사한 단면에 대한 토양분류를 실시한 결과, 작물을 재배한 모든 단면이 Anthrosols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도시 토양은 현재까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일반 농경지와 전혀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체계적인 조사를 통해 알맞은 토양 건전성 유지를 위한 관리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주요어: 도시농업, 토양단면조사, 토양분류, WRB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emand for urban agriculture is increasing as one of the solutions to problems caused by industrialization, urbanization. However, little research on soils used for urban agriculture, which have completely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conventional u...

      Demand for urban agriculture is increasing as one of the solutions to problems caused by industrialization, urbanization. However, little research on soils used for urban agriculture, which have completely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conventional upland soils. In this study, 75 soil samples collected from the areas used for urban agriculture in Seoul and its vicinity in 2015 and 2016 analyzed for their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Soil profile description for 8 pits in 5 areas used for urban agricultural in Seoul was also conducted to classify soils.
      The average of pH of the 75 soil samples was higher than that of upland soils in Korea, 6.3. All of the EC1:5 of the analyzed soil samples were lower than EC1:5 of the average of the upland soils in Korea, 0.64 dS m-1.
      Results of the soil profile description for 8 pits showed that all of the soils described in this study were imported from outside, not naturally developed soil. Some soils had even foreign materials like municipal waste. These imported materials were thought to affect soil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soils. The heavy metal contents of all the studied soils were lower than the Korean warning standard.
      Results of the classification of the soils in 8 pits based on WRB classification system showed that all the urban soils in this study belong to Anthrosols. They have very different soil characteristics from those of conventional upland soils. It is considered that the management plan for the soils used for urban agriculture should be prepared differently for maintaining sustainable soil health through systematic investigation.

      Keyword: urban agriculture, soil profile description, soil classification, WRB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 언 1
      • 2. 연구사 3
      • 2.1. 인위 토양 3
      • 2.2. 도시농업 토양 7
      • 2.3. 토양 분류 체계 10
      • 1. 서 언 1
      • 2. 연구사 3
      • 2.1. 인위 토양 3
      • 2.2. 도시농업 토양 7
      • 2.3. 토양 분류 체계 10
      • 3. 재료 및 방법 13
      • 3.1. 토양 분석 13
      • 3.2. 토양 단면 조사 18
      • 3.3. 토양 분류 21
      • 3.4. 통계처리 21
      • 4. 결과 및 고찰 22
      • 4.1. 도시농업 토양 특성 22
      • 4.2. 도시농업 토양단면 조사 24
      • 4.3. 도시농업 토양 중 중금속 47
      • 4.4. 도시농업 토양 분류 52
      • 5. 요약 54
      • 6. 결론 56
      • 7. 인용문헌 57
      • ABSTRACT 6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