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역사인류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고려시대 수박의 재해석 = The Reinterpretation of Goryeo Dynasty`s Subak in the View of Historical Anthropolo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519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수박의 특성은 단순히 타격형식으로 볼 수 없으며, 손과 발로 하는 모든 형식을 뜻하는 보통명사로 볼 수 있다. 이를 위해, 한국 전통 수박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는 ...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수박의 특성은 단순히 타격형식으로 볼 수 없으며, 손과 발로 하는 모든 형식을 뜻하는 보통명사로 볼 수 있다. 이를 위해, 한국 전통 수박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는 고려시대를 통해 본 수박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려 전기 경우 무인을 추천에 의해 선발하는 군반씨족의 음서제도, 장병식 원거리 전투방식, 무인 홀대 정책 등으로 수박에 관련된 내용을 찾아 볼 수 없었다. 하지만, 중국 송과 교류를 통해 `병수(兵手)`와 같은 격투무예의 수입 사례는 당시 고려전기 수박이 존재했음을 알 수 있는 근거로 볼 수 있었다. 둘째, 무인정권기에서 수박의 특성을 살펴보면 수박이 복합적 형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쿠데타를 주도한 고위무인 및 최씨 정권에서의 하급무인에 이르기까지 전공사례들을 살핀다면, 단순 타격의미로써의 수박과 동시에 유술계성 기술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수박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고려 중기 의종조 오병수박희를 살펴볼 때, 수박이 실전에 활용된 복합적 방식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관련된 논쟁들에서 오병의 의미부여 및 수박의 행위방식과 관련한 논란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오병에 대한 다른 견해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경기진행 방식의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실전에 활용될 수 있는 기술로써 다양한 경기 방식의 수박기술을 엿볼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 and meaning of Subak, traditional martial arts conspicuously appeared in Goryeo Dynasty.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es, Subak is not just a striking form, but it is also forms using hand, arm, a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 and meaning of Subak, traditional martial arts conspicuously appeared in Goryeo Dynasty.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es, Subak is not just a striking form, but it is also forms using hand, arm, and foot. Analyzing historical data on Subak since Goryeo Dynasty should be meaningful and should verify the characteristic of Subak. The following are results from analyzing Goryeo Dynasty era data. First, although there were no evidence or example of Subak in early Goryeo soldier draft system, Goryeo imported combat martial arts which is similar to Subak from Song Dynasty of China. This is an example of Goryeo Dynasty trying to improve Subak. Second, many definitions of Subak were confirmed by examples in officers political power period. High rank officers who led coup d`etat and warriors during Choi administration combined Subak`s striking form and Jusitstu skill. Third, examples from Obyung-Subakhee during the King Eui-jong era confirms that Subak is form with many combination used in real warfares. Disputes on Obyung`s definition and Subak`s form were analyzed, and the result showed Obyung`s rule is different from Subak`s. These are techniques which can be used in real warfare, and different rules of Subak techniques can be assumed using the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禮書, "禮書"

      2 송일훈, "한중일 격투무예(手搏相搏相撲)의 어원 및 기원에 관한 연구 : 고대 일본 스모(相撲)에 보이는 격투술을 중심으로"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18 (18): 56-73, 2007

      3 이기백, "한국사신론" 일조각 1999

      4 이진수, "한국고대스포츠연구" 교학연구사 1996

      5 육군본부, "한국 고대무기 체계" 5 : 1979

      6 이용복, "택견:한국무예" 학민사 1990

      7 정찬모, "조선시대 수박희에 관한 연구" 6 (6): 96-111, 2001

      8 박휘락, "전쟁 전략 군사 입문" 법문사 2005

      9 허인욱, "우리무예풍속사" 푸른역사 2005

      10 허인욱, "수박희에 대한 고찰" 7 (7): 189-201, 2002

      1 禮書, "禮書"

      2 송일훈, "한중일 격투무예(手搏相搏相撲)의 어원 및 기원에 관한 연구 : 고대 일본 스모(相撲)에 보이는 격투술을 중심으로"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18 (18): 56-73, 2007

      3 이기백, "한국사신론" 일조각 1999

      4 이진수, "한국고대스포츠연구" 교학연구사 1996

      5 육군본부, "한국 고대무기 체계" 5 : 1979

      6 이용복, "택견:한국무예" 학민사 1990

      7 정찬모, "조선시대 수박희에 관한 연구" 6 (6): 96-111, 2001

      8 박휘락, "전쟁 전략 군사 입문" 법문사 2005

      9 허인욱, "우리무예풍속사" 푸른역사 2005

      10 허인욱, "수박희에 대한 고찰" 7 (7): 189-201, 2002

      11 송형석, "문명화과정과 스포츠, 그리고 동양무예" 한국체육학회 43 (43): 15-26, 2004

      12 김광언, "동아시아의 놀이" 민속원 2004

      13 김대중, "고려전기 군제의 변화와 무예의 발달 한국무예의 역사 문화적 조명" 국립민속박물관 2004

      14 정찬모, "고려시대의 오병수박희" 5 (5): 1-11, 2000

      15 정해은, "고려시대군사전략" 군사편찬연구소 2006

      16 송인주, "고려시대 친위군 연구" 일조각 2007

      17 이기백, "고려병제사연구" 일조각 1968

      18 정두희, "고려무신집권기의 무사집단" 3 (3): 3076-3093, 1977

      19 변태섭, "고려무반연구-무신난전의 무반을 중심으로-" 8 (8): 77-127, 1965

      20 김당택, "고려 毅宗代의 정치적 상황과 武臣亂" 75 : 35-55, 1993

      21 남덕현, "麗朝時代 甲士의 手搏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사학회 15 (15): 75-85, 2005

      22 魏書, "魏書"

      23 변태섭, "高麗時代의 文班과 武班" 1961

      24 박용운, "高麗時代史" 一志社 1987

      25 남덕현, "高麗時代 軍事武藝인 手搏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2

      26 高麗圖經, "高麗圖經"

      27 高麗史節要, "高麗史節要"

      28 高麗史, "高麗史"

      29 나현성, "韓國手搏(跆拳)攷.서울대 체육연구소 논집" 15 (15): 1979

      30 강성문, "韓國 軍事史의 再照明" 봉명 2005

      31 심승구, "韓國 武藝의 歷史와 特性-徒手武藝를 중심으로-" 2001

      32 송일훈, "韓·中·日 格鬪武藝(手搏·相搏·相撲·角抵)에 關한 硏究 -古代 中國 魏晉南北朝時代부터 明淸時代 中心으로-" 한국체육학회 47 (47): 9-23, 2008

      33 益齋集, "益齋集"

      34 白湖全書, "白湖全書"

      35 白湖全書, "白湖全書"

      36 이가원, "漢韓大事典" 동아출판사 1980

      37 武藝圖譜通志, "武藝圖譜通志"

      38 이진수, "武臣亂과 五兵手搏戱" 9 (9): 17-34, 2001

      39 桂苑筆耕集, "桂苑筆耕集"

      40 朝鮮王朝實錄, "朝鮮王朝實錄"

      41 星湖先生全集, "星湖先生全集"

      42 新東國輿地勝覽, "新東國輿地勝覽"

      43 史記, "史記"

      44 黄 聰, "体育文化导刊"

      45 Richard van Dulmen, "Historich Anthropologie:Entwicklung,probleme" Aufgaben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6-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국민체육진흥공단 부설 한국스포츠개발원 ->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04-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 Institute of Sport Scienc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3-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 국민체육진흥공단 부설 한국스포츠개발원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7-01 학술지등록 한글명 : 체육과학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84 0.781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