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구 과학과 지리 영역 교과서 내용 비교 분석 = Comparative Content Analysis of Textbooks in Earth Science and Geograph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629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science textbooks with earth science content and social studies textbooks with geography content by comparing the common content in terms of grades, amounts and types of the learning materials, and the learning a...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science textbooks with earth science content and social studies textbooks with geography content by comparing the common content in terms of grades, amounts and types of the learning materials, and the learning activities. This analysis is aimed at suggesting a sound direction for the future, revised vers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the science and social studies textbooks from grades three to ten. This study analyzes how the common learning content is presented in each type of textbook with respect to grades, amounts and types of the learning materials, and learning activit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tent overlaps were found in both the earth science and geography sections. The same levels of learning content were dealt with in both textbooks of the same grade. Learning content requiring specific scientific knowledge is presented in the geography sections of the textbooks prior to the earth science sections of the textbooks. The issues raised in this study suggest how the national curriculum should be revised along with the textbooks dealing with earth science and geography. (190 word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지구 과학을 포함하는 과학 교과서와 지리를 포함하는 사회 교과서를 비교하여 공통된 내용을 제시하는 학년, 교과서 분량, 학습 자료의 형태와 활동 방법을 알아봄으로써...

      본 연구의 목적은 지구 과학을 포함하는 과학 교과서와 지리를 포함하는 사회 교과서를 비교하여 공통된 내용을 제시하는 학년, 교과서 분량, 학습 자료의 형태와 활동 방법을 알아봄으로써, 특징을 분석하고 교육 과정 개정의 올바른 방향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의 과학 교과서와 사회 교과서를 대상으로 서로 연관성이 있는 내용을 뽑아 범주화했다. 핵심 학습 내용, 내용이 제시된 학년, 각 내용이 차지하고 있는 분량, 학습 내용에 접근하는 방법과 제시 자료를 알아보고, 지구 과학 영역과 지리 영역에서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학습 내용을 기준으로 내용이 제시된 학년, 각 내용이 차지하고 있는 분량, 학습 내용에 접근하는 방법 및 제시 자료를 정리했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구 과학 영역 교과서와 지리 영역 교과서에 중복되는 부분이 많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중복은 동일 영역 내 학년 간 교과서 내용의 단순 중복 문제, 동일 학년에서 지구 과학 영역과 지리 영역의 학습 내용 중복 문제, 그리고 동일한 주제의 두 영역 간 학년 선후 문제 등에서 나타났다. 둘째, 중복되는 내용의 제시 방법은 다소 차이가 났다. 추후 교육 과정 개정과 교과서 개발 시 지구과학과 지리 교과목의 중복 문제 해결을 위한 논의가 필요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I. 서론
      • II. 연구 방법
      • 1. 분석 대상
      • 2. 분석 주제
      • 요약
      • I. 서론
      • II. 연구 방법
      • 1. 분석 대상
      • 2. 분석 주제
      • 3. 분석 방법
      • III. 연구 결과
      • 1. 과학 교과서와 사회 교과서의 내용 중복
      • 2. 과학 교과서와 사회 교과서의 학습 자료와 활동 형태
      • IV.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선미, "한국의 지리 교육 과정론" 문음사 892-, 2004

      2 류재명, "한국 지리교육과정의 개선 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0 (10): 3-40, 2002

      3 이혜은,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 -2007 개정 교육과정의 2009년 실행 및 부분개정을 중심으로-" 한국아동학회 31 (31): 277-290, 2010

      4 김해경, "초등학교 사회교과서의 자연지리 분야 관련 용어와 과학교과서의 지구과학 분야 관련 용어의 관련성"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1 (11): 4-49, 2003

      5 강경원, "지리학의 기초" 학문사 340-, 2007

      6 안영진, "지리학사" 한울 310-, 2001

      7 송언근, "지리다운 수업의 구성: 지리 지식의 구성 대상과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5 (15): 181-193, 2007

      8 신중성, "지리 교육의 실제" 성신여자대학교 출판부 286-, 1999

      9 박철웅, "지리 교과서 내용 체계에 대한 지리 교사의 인식과 분류 체계 분석" 8 (8): 67-81, 2001

      10 신동희, "지구 환경을 고려한 미래 지향적 지구 과학 교육과정 제안" 25 (25): 239-259, 2005

      1 박선미, "한국의 지리 교육 과정론" 문음사 892-, 2004

      2 류재명, "한국 지리교육과정의 개선 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0 (10): 3-40, 2002

      3 이혜은,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 -2007 개정 교육과정의 2009년 실행 및 부분개정을 중심으로-" 한국아동학회 31 (31): 277-290, 2010

      4 김해경, "초등학교 사회교과서의 자연지리 분야 관련 용어와 과학교과서의 지구과학 분야 관련 용어의 관련성"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1 (11): 4-49, 2003

      5 강경원, "지리학의 기초" 학문사 340-, 2007

      6 안영진, "지리학사" 한울 310-, 2001

      7 송언근, "지리다운 수업의 구성: 지리 지식의 구성 대상과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5 (15): 181-193, 2007

      8 신중성, "지리 교육의 실제" 성신여자대학교 출판부 286-, 1999

      9 박철웅, "지리 교과서 내용 체계에 대한 지리 교사의 인식과 분류 체계 분석" 8 (8): 67-81, 2001

      10 신동희, "지구 환경을 고려한 미래 지향적 지구 과학 교육과정 제안" 25 (25): 239-259, 2005

      11 류형순, "중학교 사회과의 수준별 교육 과정 운영 방안" 9 (9): 73-88, 2001

      12 유모경,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의 탐구 영역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3 (23): 494-504, 2003

      13 문호준, "중등 체육과 과학 교과서의 중복 내용 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4 (14): 25-39, 2007

      14 한국지리정보연구회, "자연 지리학 사전" 한울아카데미 856-, 2004

      15 이자원, "선진국 지리학사를 통해 본 지리교육의 중요성" 국토지리학회 44 (44): 427-441, 2010

      16 김왕근, "사회과 통합 문제와 역사, 지리, 일반 사회의 관계"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3 (3): 20-34, 2009

      17 최원회, "교원 자격 검정 표시 과목 공통 사회(지리) 및 지리의 기본 이수 과목별 주요 주제 설정" 42 (42): 648-665, 2007

      18 김영민,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지리학의 계열 혼란에 따른 문제 분석" 국토지리학회 38 (38): 461-470, 2004

      19 Hurd, P. D., "Transforming middle school science education" Teachers College Press 112-, 2000

      20 Isaacs, A., "The quest for integration : School mathematics and science" 106 (106): 179-206, 1997

      21 Anderson, H. O., "Teaching toward 2000" 67 (67): 52-53, 2000

      22 Hurd, P. D., "New minds for a new age : Prologue to modernizing the science curriculum" 78 (78): 103-116, 1994

      23 National Research Council(NRC),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ational Academy Press 262-, 1996

      24 김찬종, "Inferences Frequently Used in Earth Science" 한국지구과학회 23 (23): 188-193, 2002

      25 Duschl, R. A., "Earth science" 8 : 267-288, 2001

      26 Trend, R., "Deep time framework : A preliminary study of U. K. primary teachers‘ conceptions of geological time and perceptions of geoscience" 38 : 191-221, 2001

      27 Ault, C. A., "Criteria of excellence for geological inquiry : The necessity of ambiguity" 35 : 189-212, 1998

      28 Drake, S. M., "Creating integrated curriculum: Proven ways to increase student learning" Corwin Press, Inc 255-, 1998

      29 Trend, R., "An investigation into understanding of geological time among 10 and 11 year old children" 20 : 973-988, 1998

      30 김정률, "10학년 과학 교과서 지구 단원의 탐구 과제 분석" 한국지구과학회 26 (26): 501-510,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3-09 학회명변경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Instruction ->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 Instruc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7 1.07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 1.17 1.432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