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개항 직전 강위(姜瑋)의 현실 인식 = Gang Wi`s Consciousness of Reality right before Opening Por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7095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19세기 중반 조선 사회가 직면했던 서구 열강의 침략 위협과 민중세계의 도전이라는 대내외적 위기 상황에서 개화사상 형성을 통해 타개하고자 했던 강위의 현실 인식을 살펴봄으...

      본 논문은 19세기 중반 조선 사회가 직면했던 서구 열강의 침략 위협과 민중세계의 도전이라는 대내외적 위기 상황에서 개화사상 형성을 통해 타개하고자 했던 강위의 현실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개화사상 형성의 배경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임술민란이 일어나자 강위는 「의삼정구폐책」을 지어 민란 수습의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는 민란의 원인을 三政 운영의 문제로 파악했던 조정의 입장과는 달리 增稅와 賦稅不均 심화에 따른 流民化 현상에서 찾았고, 부세불균을 해소하기 위해 量田의 시행, 군역의 공평한 부과, 환곡제 개혁 등을 주장하였다. 나아가 그는 부세제도와 지주제 자체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개혁방안도 내놓았는데, 현실성이 떨어지는 土地再分配를 주장하기보다는 지대수취율의 경감과 빈부를 감안한 조세부과를 통해 농민경제의 안정화를 꾀하려 하였다. 하지만 그는 자신의 三政改革論이 세도정권 하의 조선의 현실에서 수용되어 시행되기는 어렵다고 보았다. 丙寅洋擾 발생 당시 강위는 斥邪論者들과 마찬가지로 서양에 대해 海防論的인 인식을 하고 있었다. 하지만 양요를 직접 경험하게 되면서 서양에 대한 그의 인식에 변화가 나타나게 되었다. 그가 開國論者로 변모하게 된 내적인 원인은 洋擾의 충격이었지만, 문호개방의 필요성을 확신하게 한 계기는 燕行에서 마련되었다. 연행을 통해 강위는 서양인들이 여전히 조선을 침략할 기회를 엿보고 있다는 점, 서양과 일체가 된 일본이 서양과 함께 조선을 쳐들어 올 가능성이 있다는 점, 청국이 더 이상 조선의 울타리가 되어 줄 수 없다는 점 등 냉엄한 국제정세를 확인하였다. 조선의 상황은 고립무원으로 강력한 적들에 둘러싸인 風前燈火와 같은 위태로운 형국이었던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그는 승산 없는 戰爭이 아닌 문호개방을 통한 외교적 해결에서 조선의 활로를 찾았던 것이다. 2차 연행에서 돌아온 후 강위가 위험을 무릅쓰고 공공연히 합종연횡을 말하였던 것은 그의 절박한 위기감의 표현이었고, 그 내용은 문호개방을 통한 부국강병의 달성을 지향하는 개국론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conducted to examine the background of the enlightenment thought by looking into the consciousness of reality of Gang Wi who tried to get over the threat of invasion of Western powers that Joseon Dynasty faced in the mid-19th century and...

      This study is conducted to examine the background of the enlightenment thought by looking into the consciousness of reality of Gang Wi who tried to get over the threat of invasion of Western powers that Joseon Dynasty faced in the mid-19th century and dangerous situations such as challenges of the public world by having the enlightenment thought. When Peasant Rebellion of 1862 occurred, Gang Wi suggested a specific method to solve the rebellion by writing 「Eusamjeonggupyechaek」. He found out the cause of the rebellion from the phenomenon of people wandering according to intensifying higher tax(增稅) and Inequality of taxation(賦稅不均) unlike the Royal Court`s position considering the cause as the problem of Three Financial Administration(三政)`s operation. In addition, he strongly recommended enforcement of Ryang-Jeon(量田) to solve inequality of tax collection, fair of military, and revolution of Hwangok(grain loan). Furthermore, he suggested a more fundamental reform plan about the tax collection system and a shareholding plan, and he made an effort to stabilize peasant economy through tax collection considering the reduction in land price collection rates and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instead of insisting land redistribution. However, he thought that it was hard to accept the reform theory about three financial administration(三政改革論) in Joseon Dynasty under the Clan Politics. Gang Wi perceived the consciousness of Haebangnon(海防論) about the West like people with the theory of Defending Orthodoxy and Rejecting Heterodoxy(ChoksaWijongnon, 斥邪衛正論) when French Disturbance of 1866 happened. However, as he experienced an invasion, his consciousness of the West was changed. He was internally changed into the person with the Idea of Opening of Korea because he was shocked by invasions of Western powers, but he was certain that an open-door policy was necessary by journeying to Yanjing. Through the journey to Yanjing, Gang Wi confirmed harsh international situations like western people were watching for an opportunity to invade Joseon, Japan joined with the West had a possibility of invading Joseon together with the Western countries, and Qing was unable to protect Joseon any longer. Joseon was alone and unaided, and it was in an extremely precarious state as surrounded by strong enemies. Such a situation, he sought solutions to overcome the diplomatic issues by opening a door instead of wars without the chance of winning. What Gang Wi talked about vertical and horizontal alliances(HapjongYeonhwoeng, 合從連衡) in face of danger after returning from the second journey to Yanjing was the expression of his pressing crisis, and the content was the Idea of Opening of Korea aiming at achieving 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 power through an open-door polic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