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세계화 시대의 생태리터러시를 함양하는 기독교교육 = Christian Education to Cultivate Ecological Literacy in the Era of Globaliza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lobalization and the wave of neoliberalism in the 21st century are causing the crisis of the ecosystem without origin by consuming finite resources and destroying the natural environment for profit creation. The acceleration of ecosystem crises a...

      The globalization and the wave of neoliberalism in the 21st century are causing the crisis of the ecosystem without origin by consuming finite resources and destroying the natural environment for profit creation. The acceleration of ecosystem crises across the globe makes people feel a sense of crisis about whether humans and other life forms are any longer sustainable on Earth. To solve this problem, human beings need to respect the complexity of living environment more and need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 natural world and use it in everyday life.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amines how to find alternatives by focusing on the concept of ‘shalom’ in the theological approach to the global environmental crisis, and proposes Christian education to cultivate ecological literacy as a method.
      The ‘Shalom’ of the Bible means that humans enjoy peace in all relationships, and the realm of peace extends beyond mankind to the natural world, the creation world of God. Therefore, Christians facing the crisis of the global environment first recognize that the creation world created by God is the creature of God like man, and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stand in this position of the earth, not the human position. And as responsible actors, human beings should do their best to care for the creation world with the sovereignty given by God. To this end, the ecological literacy presented in one way means the qualities and abilities to understand and practice the core principles of God’s creation world, or ecosystem, in order to create a sustainable society and community. This ecological literacy can be an important competency in establishing a peace relationship with the global environment in which humans live and achieving a sustainable society.
      Christian education that cultivates ecological literacy have to start from the perception of ecological paradigm. Human beings are the ones who have to communicate with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m, and peace is the state of harmony and coexistence in these various relationships. Therefore, arousing the diverse and complex relationships of human life, especially interdependence with the global environment, can be seen as the epistemological foundation of Christian education that cultivates ecological literacy. Based on the transition to ecological system thinking, it will be possible to create and spread sustainable peace culture when ecological conscience and style are fulfilled and ecological responsibility is fulfilled through ecological literacy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1세기의 세계화와 신자유주의의 물결은 이윤의 창출을 위해 유한한 자원을 소모하고 자연환경을 파괴함으로써, 유래 없는 생태계의 위기를 초래하고 있다. 지구 도처에서 발생하는 생태계 ...

      21세기의 세계화와 신자유주의의 물결은 이윤의 창출을 위해 유한한 자원을 소모하고 자연환경을 파괴함으로써, 유래 없는 생태계의 위기를 초래하고 있다. 지구 도처에서 발생하는 생태계 위기의 가속화는 인간을 비롯한 생명체들이 지구상에서 더 이상 지속가능한가에 대해 위기의식을 느끼게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인간은 살아 있는 환경의 복잡성을 보다 존중할 필요가 있으며, 자연계를 이해하고 일상생활에서 이용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지구환경의 위기에 대한 신학적 접근에서 ‘샬롬’ 개념을 중심으로 고찰하여 어떻게 대안을 찾을 수 있는지 검토해보고, 하나의 방법으로 생태리터러시를 함양하는 기독교교육을 제안하였다.
      성서의 샬롬은 인간이 모든 관계에서 평화를 누리는 것을 의미하는데, 평화의 영역은 인류를 넘어서 하나님의 창조세계인 자연세계까지 확장된다. 지구환경의 위기에 직면한 그리스도인은 먼저 하나님이 만드신 창조세계가 인간과 같은 하나님의 피조물임을 인식하고 나아가 인간의 입장이 아닌 이 땅의 입장에 서는 일이 필요하다. 그리고 인간은 책임 있는 행위자로서 하나님이 주신 통치권으로 창조세계를 돌보는 역할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하나의 방법으로 제시한 생태리터러시는 지속가능한 사회와 공동체를 만들기 위해 하나님의 창조세계, 즉 생태계의 핵심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실천하는 자질과 능력을 의미한다. 이러한 생태리터러시는 인간이 살아가고 있는 지구환경과 평화의 관계를 맺고 지속가능한 사회를 이루어나가는 데 중요한 역량이 될 수 있다.
      생태리터러시를 함양하는 기독교교육은 생태학적 패러다임에 대한 인식으로부터 출발해야 한다. 인간은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과 관계 맺고 소통해야 하는 존재이고, 평화는 이러한 다양한 관계 속에서 조화와 공존의 상태를 이루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간 삶의 다양하면서도 복잡한 관계들, 그중에서도 특히 지구환경과의 상호의존성을 일깨우는 것이 생태리터러시를 함양하는 기독교교육의 인식론적 토대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생태학적 체계 사고로의 전환에 기초하여 생태리터러시 교육을 통해 생태적 양심 및 양식을 갖고 생태적 책임을 다할 때에, 지속가능한 평화문화의 창출과 확산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겨레신문 홈페이지"

      2 "한겨레신문 홈페이지"

      3 변종헌, "평화문화 창출을 위한 평화교육의 방향과 과제" 한국윤리학회 1 (1): 263-292, 2018

      4 박정원, "평화교육" 오름 2011

      5 주은정, "초등교육에서 생태적 소양의 의미" 초등교육연구원 27 (27): 417-432, 2016

      6 양금희, "지혜와 평화가 서로 입맞춤할 때 —코메니우스의 ‘범지혜’에 나타난 평화교육 사상" 한국기독교학회 (99) : 289-319, 2016

      7 Weizsäcker, Ernst U. von, "지구환경 정치학" 아르케 1999

      8 Moltmann, Jürgen, "예수 그리스도의 길" 대한기독교서회 2017

      9 안병영, "세계화와 신자유주의 : 이념 현실 대응" 나남출판 2000

      10 이재기, "세계화·WTO·FTA 포커스" 한올출판사 2004

      1 "한겨레신문 홈페이지"

      2 "한겨레신문 홈페이지"

      3 변종헌, "평화문화 창출을 위한 평화교육의 방향과 과제" 한국윤리학회 1 (1): 263-292, 2018

      4 박정원, "평화교육" 오름 2011

      5 주은정, "초등교육에서 생태적 소양의 의미" 초등교육연구원 27 (27): 417-432, 2016

      6 양금희, "지혜와 평화가 서로 입맞춤할 때 —코메니우스의 ‘범지혜’에 나타난 평화교육 사상" 한국기독교학회 (99) : 289-319, 2016

      7 Weizsäcker, Ernst U. von, "지구환경 정치학" 아르케 1999

      8 Moltmann, Jürgen, "예수 그리스도의 길" 대한기독교서회 2017

      9 안병영, "세계화와 신자유주의 : 이념 현실 대응" 나남출판 2000

      10 이재기, "세계화·WTO·FTA 포커스" 한올출판사 2004

      11 김준호, "세계화: 이론적 재조망" 20 (20): 65-86, 2012

      12 Allemand, Sylvain, "세계화: 세계화는 신자유주의의 승리인가" 웅진지식하우스 2007

      13 Moltmann, Jürgen, "세계 속에 있는 하나님" 동연 2009

      14 심성보, "생태윤리학과 도덕교육의 새 지평" 7 : 151-172, 1995

      15 김기대, "생태소양 함양과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생태교육론" 한국문화사 2017

      16 박지원, "생태리터러시의 개념과 교육적 의미" 교육종합연구원 14 (14): 105-125, 2016

      17 박충구, "생명이 위협받고 있는 세계와 샬롬의 윤리" 74 : 123-154, 2012

      18 정진홍, "새천년 평화개념의 정립을 위한 연구" 새천년준비위원회 2000

      19 Wolterstorff, Nicholas, "Until justice and peace embrace" W.B. Eerdmans Pub. Co. 1983

      20 Capra, Fritjof, "The web of life" Anchor Books 1996

      21 Capra, Fritjof, "The new facts of life: Connecting the dots on food, health and the environment" 28 : 242-248, 2009

      22 Mcgrew, Anthony, "The globalization of world politics"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23 Macquarrie, John, "The Concept of Peace" SCM 1973

      24 Berry, Thomas, "The Christian future and the fate of earth" Orbis Books 2009

      25 Giddens, Anthony, "Sociology" Polity Press 2006

      26 Schumacher, E. F., "Small is beautiful" Abacus Press 1974

      27 Stotts Jack L., "Shalom : the search for a peaceable city" Abingdon Press 1973

      28 Volf, Miroslav, "Public faith in action" Brazos Press 2016

      29 Singer, Peter, "One world: the ethics of globalization" Yale University Press 2002

      30 "KBS 뉴스 홈페이지"

      31 Stassen, Glen H., "Just Peacemaking"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99

      32 Volf, Miroslav, "Flourishing" Yale University Press 2015

      33 Bowers, C. A., "Education, Cultural Myths, and the Ecological Crisi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2

      34 Wolterstorff, Nicholas, "Educating for Shalom: Essays on Christian Higher Education" W.B. Eerdmans Pub. Co. 2004

      35 Orr, David W., "Ecological literac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2

      36 Mische, M. Patricia, "Ecological Security and the Need to Reconceptualize Sovereignty" 14 (14): 389-427, 1989

      37 Prakash, Madhu Suri, "Ecological Literacy For Moral Virtue: Orr on moral education for postmodern sustainablity" 24 (24): 3-18, 1995

      38 손성현, "Der Okologische Jesus" 나무심는사람 2003

      39 Rifkin, Jeremy, "Biosphere politics: a new consciousness for a new century" Crown 1991

      40 Moltmann, Jürgen, "(오늘 우리에게)그리스도는 누구신가" 대한기독교서회 1997

      41 Giddens, Anthony, "(기로에 선) 자본주의" 생각의 나무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4 0.34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33 0.81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