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사회적경제 영역에서 청년참여 활성화를 위한 연구 : 대구·경북 사회적경제 청년종사자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invigorate youth participation in Social Economy : in Case of youth Participants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in Daegu and Gyungsangbukdo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7674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Youth unemployment rate in Korea is getting increased and it is becoming serious as a social problem, particularly in Daegu and Gyungsangbukdo. Going through this situation, Social Economy is getting paid attention as a solution for youth unemployment...

      Youth unemployment rate in Korea is getting increased and it is becoming serious as a social problem, particularly in Daegu and Gyungsangbukdo. Going through this situation, Social Economy is getting paid attention as a solution for youth unemployment in Daegu and Gyungsangbukdo. This study is to activate Social Economy in the local level, encouraging young field workers.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the ideas of Social Economy, Work Willingness, and the Current Situation that young field workers are facing with in Daegu and Gyungsangbukdo.
      Young workers, majoring in Social Economy in Deagu and Gyungsangbukdo are the main subjects for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In qualitative analyzing, Social Economy is recognized as a way of welfare, not as Alternative Economy. Furthermore, young workers in Social Economy are not satisfied with several reasons: Unstable Visionary Plan and Low Possibility of Company’s Growth, Value Conflict with the representatives and Insufficient Governmental Support.
      In quantitative analyzing, these four options have positive scales on Social Economy: Work Willingness, Awareness, Confidence and Satisaction Level. Work Willingness positively impacted on awareness, confidence and satisaction level particularly with path analyzing method. However, it was found that Awareness and Confidence had negative effects on Satisfaction Level. This study find out that Work Willingness is the most important to Work Willingness to activate youth participation in the field of Social Econom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II. 선행연구 4
      • 1. 대구·경북 사회적경제 4
      • 2. 사회적경제의 청년활동 8
      • III. 사회적경제 관련 정책 및 현황 11
      • I. 서론 1
      • II. 선행연구 4
      • 1. 대구·경북 사회적경제 4
      • 2. 사회적경제의 청년활동 8
      • III. 사회적경제 관련 정책 및 현황 11
      • 1. 사회적경제 관련 법제와 정책 11
      • 2. 사회적경제 관련 교육과정 설립 15
      • 3. 청년 취·창업 관련 프로그램 18
      • IV. 대구·경북지역 사회적경제 현황 22
      • 1. 대구·경북지역 청년활동 25
      • V. 연구분석 29
      • 1. 연구디자인 29
      • 2. 연구가설 30
      • 3. 연구 방법 31
      • VI. 연구내용 36
      • 1. 설문조사 분석 내용 36
      • 1.1. 기초 분석 36
      • 1.2. 이원적 분석 49
      • 2. 인터뷰조사 분석 내용 56
      • 2.1. 텍스트마이닝 56
      • 2.2. 청년종사자의 활동의지 57
      • 2.3. 청년종사자의 인식 59
      • 2.4. 청년종사자의 자부심 60
      • 2.5. 청년종사자의 만족도 61
      • VII. 요약 및 결론 65
      • 참고 문헌 6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